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괭이눈

호남인1 2014. 6. 30. 09:58

 

 

 

 

 

괭이눈

 

학명: Chrysosplenium grayanum Maxim. 

속명 Chrysosplenium은 희랍어 chrysos(황금의)와 spleen(비장)의 합성어로 황색꽃이 피는 것을 나타낸다.

 

이명: 금요자 /꽃말: 골짜기의 황금, 변하기 쉬운 마음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범의귀과 >괭이눈속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에 각처의 산지 /서식: 깊은 산 계곡의 반그늘지고 서늘한 습지 /크기: 화경(花莖)의 높이 5-20cm

생약명: 全草(전초)를 金錢苦葉草(금전고엽초)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초본

범의귓과(科)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땅 위로 뻗고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잎은 꽃줄기에 두 장씩 마주나며, 4~5월에 꽃줄기 끝에 엷은 황록색의 꽃이 핀다. 열매는 깊게 둘로 갈라지고 끝에 한 개의 세로 선이 있어 마치 고양이의 눈과 같다. 산과 들의 습지에서 자라며,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Chrysosplenium grayanum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괭이눈/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4149&mn=KFS_28_01_02_01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짧고 길이 0.5-2cm, 폭 0.5-1.8cm로 넓은 난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안으로 굽은 둔한 톱니가 있다. 꽃 바로 옆의 잎은 황색을 띤다. 

 

삭과는 2개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의 크기가 서로 다르며 끝에 1개의 봉선이 있어 햇볕하에서 보면 괭이의 눈과 같아 괭이눈이라 한다. 종자는 다갈색이고 윤채가 있으며 전체에 유두상의 잔돌기가 있다. 

 

화경(花莖)은 높이 5-20cm로서 털이 없으며 뻗는 가지는 꽃이 진 다음 자라면서 몇 쌍의 잎이 달리지만 모여서 나지않고 마디에서 새로운 뿌리가 발생한다. 꽃은 4-5월에 피고 지름 2mm정도로서 연한 황록색이며 화경이나 가지 끝에 모여서 핀다. 꽃 둘레의 잎은 연한 노란색이다. 꽃받침조각은 4개이고 곧게 서며 길이 1mm정도로서 둥글고 꽃잎은 없다. 수술은 4개이고 길이 0.5mm정도로서 꽃받침조각보다 짧으며, 꽃받침과 대생하고 꽃밥은 연한 노란색이다. 

 

줄기가 옆으로 뻗어가면서 지면에 닿는 부분에서 새로운 뿌리가 발생한다. 

전국에 각처의 산지에 분포한다. 

화경(花莖)의 높이는 5-20cm이다. 

주로 깊은 산 계곡의 반그늘지고 서늘한 습지에서 자란다. 

광선: 중생  /내한성: 강함  /토양: 척박  /수분: 습윤 

 

토양은 부엽 등의 유기물이 풍부하여 비옥한 것이 좋다. 여름철의 고온건조한 환경조건에 식물체가 고사하는 경우가 많으며 장마철에는 지하부의 통기성 부족과 과습에 의해서도 죽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한다. 

개화기: 5월  /삽목기: 4월, 9월, 10월  /이식기: 5월 

 

▶개화기가 빠르므로 이른 봄의 경관조성에 좋다. 따라서 보습성이 좋은 토양의 낙엽수림 하부 녹화용 지피식물로 이용하면 좋다. 초물분재는 물론 화단에 군식하여도 좋다.

 

全草(전초)를 金錢苦葉草(금전고엽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성분 : 지상부분은 flavonoid 배당체, chrysograyanin 0.02%가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정창을 치료하는데 신선한 괭이눈의 전초를 鹽膽水(염담수-간수)에 짓찧어 환부에 붙인다. 

 

특성

전국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으므로 특별한 보호방안은 필요없으나 인공적인 대량증식에 의해 경제작물로 이용하고 자생지외 보존을 실시한다. 

 

유사종

▶털괭이눈(C. pilosum Max.)

▶오대산괭이눈(C. alternifolium var. sibiricum Ser.) 

 

 

 

 

괭이눈

학명: Chrysosplenium grayanum Maxim.

 

크기: 5~20cm

개화시기: 4월~5월

꽃말: 골짜기의 황금, 변하기 쉬운 마음

 

특징

높이 5~20cm이고 잎은 마주나며 넓은 달걀모양 또는 달걀상 원모양으로 안으로 말리는 거치가 있으며 잎자루가 짧다. 꽃은 4~5월에 피고 연한 노란빛을 띤 녹색으로 가지의 끝부분에 모여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4개의 둥근모양으로 곧게 서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4개로 꽃받침조각보다 짧다. 열매는 삭과로 2개로 깊게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크기가 다르며 종자는 다갈색으로 윤기가 있으며 전체에 젖꼭지모양의 돌기가 있다.

다년생 초본으로 원산지는 한국이고 전국 각처의 산지에 분포하며 주로 산과 들의 습지에서 서식한다.

출처: 괭이눈 (국립중앙과학관 - 식물정보, 국립중앙과학관)

 

 

 

괭이눈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

산에서 자라며 4∼5월에 연한 황록색 꽃이 핀다.

 

학명: Chrysosplenium grayanum

분포지역: 한국·중국·쿠릴열도(남부)·일본

서식장소/자생지: 산과 들의 습지

크기: 꽃줄기 높이 5∼20cm

 

금요자라고도 한다. 산과 들의 습지에서 자란다. 줄기는 땅위로 벋고 마디에서 뿌리를 내린다.

꽃줄기는 곧게 서고 털이 없으며 높이는 5∼20cm이다. 잎은 길이 5∼20mm, 나비 5∼18mm로 꽃줄기에 2장씩 마주나는데 잎자루는 짧고 달걀 모양이며 안으로 굽은 톱니가 있다.

4∼5월에 연한 노란빛을 띤 녹색의 작은꽃이 피며 꽃 둘레의 잎은 연한 노란색이다. 꽃받침잎은 곧추서고 둥글며 수술은 4개이다. 꽃밥은 노란색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2개로 깊게 갈라지고 갈라진 조각은 크기가 서로 다르며, 끝에 1개의 봉합선이 있다. 종자는 다갈색에 윤기가 돌며 전체에 젖꼭지 모양의 돌기가 있다.

어린 순을 나물로 먹고 관상용으로 심는다. 한국·중국·쿠릴열도(남부)·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괭이눈 (두산백과)

 

 

사진출처

floma /http://floma.kr/xe/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범의귀과(Saxifrag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1.11 20:37

괭이눈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6.30 04:32

괭이눈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1.01.15 09:49

大韓民國 植物目錄 4. - 4,903種중 (2108. 버드나무과 - 2732. 뽕나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괭이눈  (0) 2014.06.30
가지괭이눈  (0) 2014.06.30
괭이눈속  (0) 2014.06.30
헐떡이풀  (0) 2014.06.29
바위수국  (0) 2014.0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