괭이눈속
학명: Chrysosplenium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범의귀과 >괭이눈속
범의귀과(―科 Saxifragaceae)에 속하는 약 55종(種)의 다년생초로 이루어진 속.
속명 Chrysosplenium의 어원은 그리스어 'Chrysos'(황금)와 'spleen'(비장)의 합성어로, 황금색 꽃이 피고 이 속에 속한 식물 중에 약으로 쓰이는 것이 있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괭이눈 (Chrysosplenium grayanum Maxim.)
남아메리카에 몇 종류가 자라고 나머지는 대부분 히말라야·중국·한국·일본 등지에서 볼 수 있다. 계곡의 가장자리나 어둡고 물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란다.
키는 10~20㎝ 정도이며 곧추서지 않고 옆으로 뻗는다. 잎은 홑잎으로 잎가장자리에는 작고 끝이 무딘 톱니가 있다. 이른봄에 피는 꽃에는 꽃잎이 없고 4장의 꽃받침이 십자형(十字形)으로 2장씩 마주보고 있는데, 처음에는 마주보는 1쌍이 다른 1쌍을 덮고 있으나 곧 활짝 벌어진다. 꽃은 노란색·하얀색·초록색·자주색 등을 띤다. 수술은 화반에 거의 달라붙어 있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익으며 열매 위쪽이 술잔처럼 양쪽으로 벌어졌다. 열매 속에 들어 있는 씨는 공기 중에 드러나 있고 씨의 겉에는 조그만 돌기들이 나 있다.
꽃이 마치 고양이눈을 닮았다고 해서 고양이눈, 즉 '괭이눈'으로 이름이 붙여졌다. 우리나라에는 애기괭이눈(C. flagelliferm)이 가장 흔하며, 이밖에도 산괭이눈(C. japonicum) 등 8종이 있다. 원문: 식물 | 브리태니커 申鉉哲 글
애기괭이눈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Schmidt)
지료출처: 야생화클럽/ 별꽃/민경화님 http://wildflower.kr/xe/20001994#comment_4738684
한국서식 괭이눈속 (Chrysosplenium) 11종 바로가기
가지괭이눈 (Chrysosplenium ramosum Maxim.)
괭이눈 (Chrysosplenium grayanum Maxim.)
금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var. sphaerospermum H.Hara )
누른괭이눈 (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
바위괭이눈 (Chrysosplenium macrostemon Maxim. ex (Franch. &Sav.))
산괭이눈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선괭이눈 (Chrysosplenium pseudofauriei H.Lev.)
애기괭이눈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Schmidt)
오대산괭이눈 (Chrysosplenium alternifolium var. sibiricum Ser. ex DC. )
털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Maxim. var. pilosum)
흰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N.Terracc.) H.Hara )
금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var. sphaerospermum H.Hara )
한국서식 괭이눈속 (Chrysosplenium) 11종 비교이미지
가지괭이눈 (Chrysosplenium ramosum Maxim.)
가지괭이눈 (Chrysosplenium ramosum Maxim.)
괭이눈 (Chrysosplenium grayanum Maxim.)
괭이눈 (Chrysosplenium grayanum Maxim.)
금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var. sphaerospermum H.Hara )
금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var. sphaerospermum H.Hara )
누른괭이눈 (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
누른괭이눈 (Chrysosplenium flaviflorum Ohwi)
바위괭이눈 (Chrysosplenium macrostemon Maxim. ex (Franch. &Sav.))
바위괭이눈 (Chrysosplenium macrostemon Maxim. ex (Franch. &Sav.))
산괭이눈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산괭이눈 (Chrysosplenium japonicum (Maxim.) Makino)
선괭이눈 (Chrysosplenium pseudofauriei H.Lev.)
선괭이눈 (Chrysosplenium pseudofauriei H.Lev.)
애기괭이눈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Schmidt)
애기괭이눈 (Chrysosplenium flagelliferum F.Schmidt)
오대산괭이눈 (Chrysosplenium alternifolium var. sibiricum Ser. ex DC. )
오대산괭이눈 (Chrysosplenium alternifolium var. sibiricum Ser. ex DC. )
털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Maxim. var. pilosum)
털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Maxim. var. pilosum)
흰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N.Terracc.) H.Hara )
흰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N.Terracc.) H.Hara )
금괭이눈 (Chrysosplenium pilosum var. sphaerospermum H.Hara )
=============================================================================================================================
바로가기
장미목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7.06 05:42
범의귀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야생화클럽/ 범의귀과 괭이눈속 비교식별포인트 / http://wildflower.kr/xe/3947565 별꽃/민경화님
大韓民國 植物目錄 4. - 4,903種중 (2108. 버드나무과 - 2732. 뽕나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지괭이눈 (0) | 2014.06.30 |
---|---|
괭이눈 (0) | 2014.06.30 |
헐떡이풀 (0) | 2014.06.29 |
바위수국 (0) | 2014.06.29 |
등수국 (0) | 201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