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서양수수꽃다리(라일락)

호남인1 2013. 1. 20. 16:11

 

 

 

 

 

 

서양수수꽃다리

학명: Syringa vulgaris L. 

 

이명: 라일락, 라이락크, /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물푸레나무목 >물푸레나무과 >수수꽃다리속

원산지: 유럽 남부. /분포: 각지에 식재하고 있다. /크기: 높이 4m 정도. 

 

낙엽활엽관목.

높이는 5미터 안팎이며 잎은 마주나고, 늦봄에 끝이 네 갈래진 작은 대롱 모양의 꽃이 5월에 핀다. 개량 품종에 따라 엷은 자줏빛, 붉은빛, 흰빛, 푸른빛 등이 있으며 향기가 좋아 관상용으로 많이 가꾼다. 우리나라에서는 흰빛이 대부분이다. 원산지는 캅카스와 아프가니스탄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서양수수꽃다리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24909

 

 

잎은 대생하고 길이 5~12cm 의 넓은 난형 또는 난형이며 예두 또는 점첨두이고 아심장저 또는 절저이다. 톱니가 없고 양면에 털이 없으며 광택이 나고 엽병은 길이 2-2.5cm이다.

삭과는 타원형 첨두이고 길이는 9~15mm로 9월에 익는다.

꽃은 4~5월에 피며 지름 2cm로서 향기가 짙고 원추화서는 전년지 끝에서 대생하며 길이 7-12cm로서 화축에 선상의 돌기가 있고 소화경은 길이 2mm이하이며 백색, 자색, 적색의 많은 원예품종이 있다. 꽃받침은 4개로 갈라지며 길이가 서로 같지 않고 끝이 뾰족하며 선모가 있고 화관통은 길이가 10-15mm로서 끝 부분이 4갈래로 갈라지며 열편은 길이 4-7mm로서 타원형 둔두이다. 수술은 2개로서 화통 윗부분에 달리고 밖으로 나오지 않으며 화분은 황색이고 암술은 길이 5mm이며 암술머리는 2개로 깊게 갈라지고 황색이며 자방은 녹색이다.

높이 4m정도이고 어린 가지는 털이 없으며 회갈색이고 피목이 뚜렷하지 않지만 2년지는 회갈색이며 둥근 피목이 있다. 줄기는 많이 갈라진다.

------------------------------------------------------------------------------------------------------------------------------

 

라일락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관목. 높이 5m 정도. 잎은 달걀꼴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며 마주나고, 길이는 5∼12㎝로 긴 잎자루가 있다.

꽃은 봄에 피는데, 지난해의 잎겨드랑이에서 생기는 원추꽃차례에 새 잎이 돋아남과 동시에 수십 송이의 꽃이 피어나고, 꽃병 모양의 꽃받침 위에는 꽃부리가 4갈래로 벌어진다.

 

꽃색깔은 엷은 자색이지만 원예품종은 백·청·홍색 및 짙은 자주색 등 여러 가지가 있고 향기가 진하다. 

꽃에서는 기름을 얻고, 줄기는 잘라 그 속의 심을 뽑아낸 뒤 담뱃대를 만드는데, 라일락을 때때로 파이프 트리(pipe tree)라 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번식은 포기나누기·접목·꺾꽂이 등의 방법이 있는데 씨를 심기도 한다.

시링가속은 유라시아대륙 온대를 중심으로 30종 정도 알려져 있는데 그 중 10종 가량이 관상용 꽃나무로 재배되고 있다.

프랑스어로는 리라(lilas)라고 하며, 구미에서는 꽃나무로 중요시된다.

원산지는 동유럽 남부이다

 

 

미스킴라일락과 라일락, 개회나무

글 /러브ski /다음 오픈지식

 

라일락이 개회나무에 속하지만, 우리 나리에 분포하는 개회나무를 뜻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수수꽃다리가 꽃개회나무의 꽃은  연붉은 자주색이고, 개회나무는 흰색의 꽃을 핀다. 

털개회나무인 수수꽃다리가 4월에 꽃을 피우는 것과는 달리 꽃개회나무와 개회나무는 지역(기온)에 따라서 다르지만 5월~8월 사이에 꽃을 낸다.

 

미스킴라일락은  수수꽃다리의 미국식 이름이다.

미스킴 라일락은 그들의  순수라일락인 흰색의 꽃보다도 그네들에게더 인기를 끌고 있는데, 이는 라일락보다 꽃이 오래피는 편이고,  향도 오래가며 키우기가 상대적으로 더 쉽다는데서 그렇다.

그런데, 꽃이 피기 전에 나무(가지)의 모양이나 이파리를 가지고는 일반인들이 구분하기는 어렵다.

 

미스킴라일락(수수꽃다리, 정향나무)은 개회나무에 일종이며, 이를 해방 직후에  미국 농무성에 근무하던 미더교수가 원종을 채집해서 이를 미국으로 가져가서 개랭했던데 기인하다. 그 당시에 미스킴이라고 서양식으로 여성들의 성만따서 부르는 서양식 호칭이 일반적이었는데, 그래서 미스킴을 미더교수가 수수꽃다리를 개량해서  개량종을 만들고는 그 원종을 밝히기 위해서 붙인 이름으로 보이는데, 일설에서는 털개회나무의 이름인 수수꽃다리라는 명칭을 떠오르지 않아서, 당시에 농무성에서 근무했던 우리 나라 여자직원의 성이 金氏였다는 것에 착안해서 그렇게 불렀다는 말도 있지만 이것은 확실치가 않다.

 

개회나무, 라일락, 정향나무, 리라꽃나무라고 하는 물푸레 나무과에 속하는 봄철 가장 향기가 좋은 꽃나무의 이름은 나라마다 달리 불리는데, 영어권의 명칭은 라일락이고, 중국식 표현법은 정향나무, 불란서식으로는 라라꽃나무이다.

우리 나라의 명칭은 수수꽃다리인데, 이것은 수수를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개회나무가 처음 꽃봉오리를 낼 때, 꽃봉오로가 뭉쳐진 모양새가 마치 붉은 수수의 모습과 흡사해서 수수꽃다리라고 부른 것이다

 

 

 

생육환경

반음수이나 양지에서 잘 자라며 내한성이 강하고 공해 및 병충해에도 강하다. 수분이 있는 사질양토에서 잘 자라나 아무곳에서나 잘 자라는 식물로 전국에서 재배가 가능하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번식방법

이식이 용이하다. 

결실기: 9월 

 

이용방안

내건성 식물로 Roof Garden에 이용하면 좋고 향기가 좋아서 향수의 원료로 이용되며, 정원수나 공원수로도 좋다. 

 

유사종

▶수수꽃다리(S. dilatata Nakai): 라일락보다 꽃이 작다. 

 

병충해정보

▶백분병: 잎에 흰가루가 생긴다.

▶반점병: 반점이 생긴다.

▶모충: 5-6월에 잎에 실을 감고 그 속에서 식해한다.

▶교절충: 줄기에 구멍을 뚫는 해충

▶솜벌레 

 

방제방법

▶백분병과 반점병: 타이젠을 뿌린다.

▶모충: 디프테렉스나 데나뽕을 뿌려 구제한다.

▶교절충: 구멍에다 마라손을 스포이트로 주입하면 효과적이다.

▶솜벌레: 유산 니코틴을 뿌려 구제한다. 

 

 

사진출처

김창집의 오름이야기 /http://blog.daum.net/jib17/13744607

 

 

물푸레나무과(Ole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1.13 12:21

수수꽃다리속 (Syringa)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1.13 12:17

서양수수꽃다리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0.04.26 13:09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들빼기  (0) 2013.01.21
고들빼기속   (0) 2013.01.21
수수꽃다리  (0) 2013.01.20
흰정향나무  (0) 2013.01.19
정향나무  (0) 2013.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