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씀바귀속(Ixeridium)

호남인1 2013. 1. 11. 10:17

 

 

 

 

 

씀바귀속

Ixeridium

 

분류 :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초롱꽃목 >국화과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합판화아강(Sympetalae)

초롱꽃목(Campanulales)

국화과(Compositae)

 

씀바귀속(Ixeridium)은 국화과의 한 속이다. 선씀바귀속(Ixeris)에 포함될 때도 있다.

 

주요 종

씀바귀 Ixeridium dentatum (Thunb. ex Mori) Tzvelev

흰씀바귀 Ixeridium dentatum for. albiflora (Makino) H.Hara

 

흰씀바귀 (Ixeridium dentatum for. albiflora (Makino) H.Hara)

 

 

 

한국서식 씀바귀속(Ixeridium) 2종 바로가기

씀바귀 (Ixeridium dentatum (Thunb. ex Mori) Tzvelev)

흰씀바귀 (Ixeridium dentatum for. albiflora (Makino) H.Hara)

 

씀바귀 (Ixeridium dentatum (Thunb. ex Mori) Tzvelev)

 

 

 

 

 

한국서식 씀바귀속(Ixeridium) 2종의  비교 이미지

 

1. 씀바귀

Ixeridium dentatum (Thunb. ex Mori) Tzvelev /씀바귀

 

 

2. 흰씀바귀

Ixeridium dentatum for. albiflora (Makino) H.Hara /흰씀바귀

 

 

 

씀바귀와 선씀바귀

 

 

씀바귀김치

• 지역 : 충남, 경북

• 이칭 : 속새김치(경북)

소금물에 10일 정도 삭힌 다음 씻어 물기를 뺀 씀바귀에 양념(고춧가루, 멸치젓국, 다진 파ㆍ마늘, 통깨)을 넣고 버무린 김치이다. 씀바귀는 쓴맛이 나는 국화과의 식물로 고채, 씸배나물, 속새라고도 하며 쓴맛이 있으나 그 독특한 풍미 때문에 이른 봄에 채취한 뿌리와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씀바귀의 쓴맛은 소금물에 데쳐서 물에 여러 번 헹구거나 찬물에 30분 이상 담가두면 된다. 경북에서는 속새김치라고도 한다.

 

출처

전통향토음식 용어사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2010.7.5, 농촌진흥청

 

 

사진출처

floma /http://floma.kr/xe/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

---------------------------------------------------------------------------

 

국화과 (菊花科)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09.10 15:53

선씀바귀속 (Ixeris)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1.10 07:04

씀바귀 - 효능과 이용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01.07 06:21

씀바귀무침(나물) | 獨立軍의 料理法 2012.04.21 17:00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씀바귀   (0) 2013.01.11
씀바귀   (0) 2013.01.11
좀씀바귀  (0) 2013.01.11
벋음씀바귀  (0) 2013.01.11
벌씀바귀  (0) 2013.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