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싸리
학명: Lespedeza xPatentibicolor T.B.Lee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장미목 >콩과 >싸리속
원산지: 한국 /분포: 전라남도 진도. /크기: 높이 2m /서식지: 해안
낙엽활엽관목
진도의 해안에서 처음 발견되어 진도싸리라고 한다.
싸리와 비슷하나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잔가지에 털이 많아 잿빛이 돈다. 잎은 세쪽잎이고 검은 자주색 꽃이 핀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진도싸리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39639
잎은 3출엽이며 난형,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이고 둔두 또는 요두로서 엽맥의 연장인 침상의 돌기가 있으며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록색이며 잔털이나 긴 견모가 있다.
화서는 싸리와 같지만 퍼진 털이 있고 꽃은 길이 1cm정도로서 흑자색이며 꽃받침열편은 싸리와 조록싸리의 중간형이다.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수관이 치밀해지며 소지에 퍼진 털이 밀생한다.
----------------------------------------------------------------
표본번호: SNFA200103292081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412.leaf?plntSpcmNo=SNFA200103292081
학명 Lespedeza xPatentibicolor T.B.Lee /식물명: 진도싸리
채집일자: 1964.08.08 /표준지명: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사천리 ( 첨찰산 )
소장 기관: 서울대 산림자원학과 /동정일자: 2001.03.29 /동정자: 장진성
----------------------------------------------------------------------
주로 해안에서 자란다.
높이는 2m에 달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작은 가지는 가늘고 모가 난 줄이 있으며 퍼진 털이 빽빽이 있다.
잎은 세 장의 작은잎이 나온 잎이고, 작은잎은 달걀 모양·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긴 타원 모양이고 끝이 둥글거나 오목하게 들어가며 잎맥의 연장인 바늘 모양의 돌기가 있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색을 띤 녹색이며 잔털 또는 비단 같은 긴 털이 있다.
꽃이삭은 싸리의 꽃이삭과 같지만 퍼진 털이 있고, 꽃은 길이가 1cm 정도이며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이고, 꽃받침은 싸리와 조록싸리 꽃받침의 중간 형태이다.
겉으로 보기에 싸리와 같지만 털조록싸리의 특징이 많이 있다.
진도 해안에서 처음 발견되었기 때문에 진도싸리라는 이름이 붙었다.
전라남도 진도에 분포한다.
[출처] 진도싸리 | 두산백과
-------------------------------------------------------------------------------------------
콩과(Leguminos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1.04 06:20
싸리속 (Lespedeza)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1.03 13:12
진도싸리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0.04.23 13:02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갯씀바귀 (0) | 2013.01.10 |
---|---|
선씀바귀속 (Ixeris) (0) | 2013.01.10 |
삼색싸리 (0) | 2013.01.09 |
검나무싸리 (0) | 2013.01.09 |
부채싸리 (0) | 2013.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