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취나물속 (Saussurea)

호남인1 2012. 12. 25. 18:29

 

 

 

 

 

취나물속

Saussurea

 

분류 :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초롱꽃목 >국화과 >취나물속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합판화아강(Sympetalae)

초롱꽃목(Campanulales)

국화과(Compositae)

취나물속 (Saussurea)

 

 

 

취나물

 

취나물한국의 채소 요리이다. 참취를 비롯한 여러 나물을 한데 어우러서 만드는 나물 요리이다.

취나물에 쓰는 재료들은 대개 독특한 향을 가지고 있다. 제철에 먹을 때는 아주 영양가가 좋은 음식으로 생각되며 취나물은 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음식 중 하나로 손꼽힌다. 먼저 소금간을 해서 원 채소의 뻣뻣함을 사그러뜨린다. 대개는 물에 삶거나 물에 담가둔다.

팬에 볶은 다음에는 들기름을 뿌려준 다음 반찬으로 내놓는다. 취나물이 들어가는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비빔밥이 있다.

 

취의 종류

취나물에 쓰이는 식물을 라 하며, 모두 국화과에 속한다.

 

곰취속 (Ligularia)

곰취 (Ligularia fischeri)

무산곰취 (Ligularia japonica)

미역취속 (Solidago)

미국미역취 (Solidago serotina)

미역취 (Solidago japonica)

참취속 또는 개미취속 (Aster)

벌개미취 (Aster koraiensis)

참취 (Aster scaber)

수리취속 (Synurus)

수리취(개취) (Synurus deltoides)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구와취 (Saussurea ussuriensis Maxim.)

 

 

곰취·수리취 등 취자가 붙는 산나물의 총칭.

 

가장 대표적인 것이 참취(Aster scaber)이지만 이외에 같은 쑥부쟁이속(─屬 Aster)에 개미취(A. tataricus)·옹굿나물(A. fastigiatus) 등을 비롯하여, 다른 속에 속하는 미역취(Solidago virga-aurea var. asiatica)·곰취(Ligularia fischeri)·곤달비(L. stenocephala)·분취(Saussurea seoulensis)·그늘취(S. uchiyamana)·금강분취(S. dismantiaca)·각시서덜취(S. macrolepis)·버들분취(S. maximowiczii)·구와취(S. ussuriensis)·수리취(Synurus deltoides)·큰수리취(S. excelsus) 등을 일컬어 취라고 한다. 출처: 브리태니커

 

북분취 (Saussurea mongolica (Franch.) Franch.)

 

 

한국서식 취나물속 (Saussurea)의 종

가야산은분취 (Saussurea pseudogracilis Kitam.)

각시서덜취 (Saussurea macrolepis (Nakai) Kitam.)

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Fisch.) Fisch.)

경성서덜취 (Saussurea koidzumiana Kitam.)

구와취 (Saussurea ussuriensis Maxim.)

그늘취 (Saussurea uchiyamana Nakai)

금강분취 (Saussurea diamantica Nakai)

긴분취 (Saussurea recurvata (Maxim.) Lipsch.)

긴산취 (Saussurea umbrosa var. herbicola Nakai)

깃덤불취 (Saussurea manshurica var. pinnatifida Nakai)

꼬리서덜취 (Saussurea subtriangulata Kom.)

남포분취 (Saussurea chinnampoensis H.Lev. &Vaniot)

너울취 (Saussurea nomurae Kitam.)

담배취 (Saussurea conandrifolia Nakai)

당분취 (Saussurea tanakae Franch. &Sav. ex Maxim.)

덤불취  (Saussurea manshurica Kom.)

두메분취 (Saussurea tomentosa Kom.)

두메취 (Saussurea triangulata Trautv. &Mey.)

묘향분취 (Saussurea myokoensis Kitam.)

무등취 (Saussurea nipponica Miq. subsp. higomontana (Honda) Im)

물골취 (Saussurea stenolepis Nakai)

백설취 (Saussurea rectinervis Nakai)

백운취 (Saussurea insularis Kitam.)

버들분취 (Saussurea maximowiczii Herd)

버들취 (Saussurea amurensis Turcz. ex DC.)

북분취 (Saussurea mongolica (Franch.) Franch.)

분취 (Saussurea seoulensis Nakai)

비단분취 (Saussurea komaroviana Lipsch. var. komaroviana)

빗살서덜취 (Saussurea odontolepis Sch.Bip. ex Herd)

사창분취 (Saussurea calcicola Nakai)

산각시취 (Saussurea umbrosa Kom.)

산골취 (Saussurea neoserrata Nakai)

서덜취 (Saussurea grandifolia Maxim.)

솜분취 (Saussurea eriophylla Nakai)

은분취 (Saussurea gracilis Maxim.)

자병취 (Saussurea chabyoungsanica H.T.Im)

큰각시취 (Saussurea japonica (Thunb.) DC.)

큰비단분취 (Saussurea komaroviana var. macrophylla Chung)

태백취 (Saussurea grandicapitula W. Lee et H.T. Im)

털분취 (Saussurea rorinsanensis Nakai)

홍도서덜취 (Saussurea polylepis Nakai)

흰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for. albiflora (Kitam.) Kitam.)

 

 

취나물은  산채나물의 대명사라고 할만큼 많은사람들이 선호하고 애용하는 산채나물입니다

이 취나물을   채취하기부터  장기 보관까지의 전부를  소개합니다

 

가: 취의 채취

이른봄부터 우리나라의 전지역의 산에서 볼수있는 취나물은 그종류만도 여러 종류가 있으며 참취, 개미취, 각시취, 미역취, 곰취 등이 있으며 그중에서 참취와 곰취가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데  이 취들을 산에가서 채취 합니다.

 

1.채취

취잎이 5잎가량 나왔을때[4월초] 채취하틑것이 가장 좋지만  다른 나물과는 달리  꽃대[동]이 나온후에도 채취가 가능합니다. 취나물은 처음에는 배추나 채소처럼 포기로 되어있지만  동[꽃대]이 올라오면 잎은 마주달리는데 동이 5센티가량 올라올때까지는  채취가 가능하며 동[꽃대]가 쇠어서 뜯기지 않을때까지는  가능합니다  

 

 

나. 취나물 요리

 

1.삶기

채취한 취나물을 팔팔끓는물속에 넣고 취나물의 줄기가 익을대까지 삶습니다

이때 손가락,엄지와 검지로 줄기를 눌러보아서 물렁하다고 느낄때까지 삶습니다.

 

2.나물무치기

취나물속에는 단백질, 칼슘, 인, 철분, 비타민 B1·B2, 니아신 등이 함유되어 있는 알칼리 식품으로 맛과 향기가 뛰어나므로 모든 영양소와 향이 그대로 상아있도록 무치는 것이 최상의 요리법입니다. 그러므로 다른 인위적인 양념이나 조미료가 필요없으며 간은 가는소금이나 재래된장으로  양념은 깨소금과 소량의 참기름이면 족합니다 어떤분들은 참기름도 사용하지 않는 분들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취향에 다라서 만들면 됩니다,

 

우선 잘 삶아진 취나물을 물기를 짜낸다음 한데 뭉친후 가로한번 세로로 한번 칼질을 하여 나룰을 먹기좋게 만듭니다

 

양념은 깨소금과 재래된장에 참기름소량을 넣어 잘섞은다음 가는 소금이나 간장으로 간을 마춥니다 하지만 된장이 들어갔으므로  별로 간이 들어가지 않아도 됩니다.

 

만들어놓은 양념장에 취나물을 넣고 무쳐내면 맛있는 취나물 무침이 됩니다

 

다.취나물 보관

취나물을 오랫동안 보관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1.말려서 보관하기

잘 삶겨진 취나물을  물기를 밴다음 햇볕에 말려서 보관하면 되는데 이 방법은 오랫동안 보관할수는 있어서 좋지만 싱싱함이 덜하여짐이 아쉽습니다 다시 조리할때는  말린취나물을 물에 불린다음 다시 한번 끓는물에 데쳐내어  가의 2번 방법으로 무쳐내면 됩니다

 

2.냉동고에 보관하기

이 방법은 잘 삶겨진 취나물의 물기를 밴다음 냉동고에 그대로 얼려서 보관하는 방법인데 싱싱한 취나물을 그대로 느낄수 있어서 좋지만 냉동고의 면적이 많이 필요로 합니다. 다시 조리할때는 얼은 취나물을 꺼내어  해동시킨다음 가의 2번 방법으로 무쳐내면 됩니다.

원문 /취나물 의 모든것

spdjajsl /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8&dirId=8020108&docId=1337547&qb=7Leo64KY66y87IaN&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0&pid=RLDnAU5Y7vKssvxGcd8sssssssN-508546&sid=UNlPiXJvLDMAADx4Czk

 

 

 

한국서식 취나물속 42종

 

1. 가야산은분취

Saussurea pseudogracilis Kitam. /가야산은분취

 

 

2. 각시서덜취

Saussurea macrolepis (Nakai) Kitam. /각시서덜취

 

 

3. 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Fisch.) Fisch. / 각시취

 

 

4. 경성서덜취

Saussurea koidzumiana Kitam. /경성서덜취

 

 

5. 구와취

Saussurea ussuriensis Maxim. /구와취

 

 

6.  그늘취

Saussurea uchiyamana Nakai ''/그늘취

 

 

7. 금강분취

Saussurea diamantica Nakai /금강분취

 

 

8. 긴분취

Saussurea recurvata (Maxim.) Lipsch. /긴분취

 

 

9. 긴산취

Saussurea umbrosa var. herbicola Nakai

 

 

10. 깃덤불취

Saussurea manshurica var. pinnatifida Nakai /깃덤불취

 

 

11. 꼬리서덜취

Saussurea subtriangulata Kom. /꼬리서덜취 

 

 

12. 남포분취

Saussurea chinnampoensis H.Lev. &Vaniot /남포분취

 

 

13. 너울취

Saussurea nomurae Kitam. / 너울취

 

 

14. 담배취

Saussurea conandrifolia Nakai /담배취

 

 

15. 당분취

Saussurea tanakae Franch. &Sav. ex Maxim. /당분취

 

 

16. 덤불취

Saussurea manshurica Kom. /덤불취

 

 

17. 두메분취

Saussurea tomentosa Kom. /두메분취

 

 

18. 두메취

Saussurea triangulata Trautv. &Mey. /두메취

 

 

19. 묘향분취

Saussurea myokoensis Kitam.

 

 

20. 무등취

Saussurea nipponica Miq. subsp. higomontana (Honda) Im /무등취

 

 

21. 물골취

Saussurea stenolepis Nakai /물골취

 

 

22. 백설취

Saussurea rectinervis Nakai /백설취

 

 

23. 백운취

Saussurea insularis Kitam. /백운취

 

 

24. 버들분취

Saussurea maximowiczii Herd /버들분취

 

 

25. 버들취

Saussurea amurensis Turcz. ex DC. /버들취

 

26. 북분취

Saussurea mongolica (Franch.) Franch. /북분취

 

 

27. 분취

Saussurea seoulensis Nakai /분취

 

 

28. 비단분취

Saussurea komaroviana Lipsch. var. komaroviana /비단분취

 

 

29. 빗살서덜취

Saussurea odontolepis Sch.Bip. ex Herd /빗살서덜취

 

 

30. 사창분취

Saussurea calcicola Nakai /사창분취

 

 

31. 산각시취

Saussurea umbrosa Kom. /산각시취

 

 

32. 산골취

Saussurea neoserrata Nakai /산골취

 

 

33. 서덜취

Saussurea grandifolia Maxim. /서덜취

 

 

34. 솜분취

Saussurea eriophylla Nakai /솜분취

 

 

35. 은분취

Saussurea gracilis Maxim. /은분취

 

 

36. 자병취

Saussurea chabyoungsanica H.T.Im /자병취

 

 

37. 큰각시취

Saussurea japonica (Thunb.) DC. /큰각시취

 

 

38. 큰비단분취

Saussurea komaroviana var. macrophylla Chung /큰비단분취

 

 

39. 태백취

Saussurea grandicapitula W. Lee et H.T. Im /태백취

 

 

40. 털분취

Saussurea rorinsanensis Nakai /털분취

 

 

41. 홍도서덜취

Saussurea polylepis Nakai /홍도서덜취

 

 

42. 흰각시취

Saussurea pulchella for. albiflora (Kitam.) Kitam. /흰각시취  

 

 

 

분취 (Saussurea seoulensis Nakai)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꽃향기많은집 - bond9/http://cafe.daum.net/sunyuricyh/Achh/12708

고사리사랑 어내인내 http://cafe.daum.net/fernlove/GbuN/1217?docid=3920956429&q=%BA%CF%BA%D0%C3%EB&re=1

산과 야생화 풀씨/http://cafe.daum.net/jk88suh/GgBx/1909?docid=3508939444&q=%BA%CF%BA%D0%C3%EB&re=1

자연을 배우는 사람들 /http://cafe.daum.net/zabaesa

큰바우 /http://cafe.daum.net/bklovewildflower/PfYl/160?docid=18gCd|PfYl|160|20111208071128&srchid=IIMyUw38500#A192DE53A4EDFE48A323D7F&srchid=IIMyUw38500

다산드림 /http://blog.daum.net/guninbang/485

산행정보기록 /산석님 /http://blog.daum.net/comchobo/669

설야 /http://blog.naver.com/snowyard0803/100154729679

세상의 모든꽃을 본다. http://blog.daum.net/charikei/7163333

이영호의 야생화 /http://www.skyspace.pe.kr/zboard/view.php?id=pds&no=10839

사진찍는재미 /http://ohk64.blog.me/89775974

영지의 들꽃정원 /http://blog.daum.net/kokosaanel/17254149

---------------------------------------------------------------------------------------------------------------

 

두메분취 (Saussurea tomentosa Kom.)

 

 

국화과 (菊花科)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09.10 15:53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취  (0) 2012.12.26
북분취   (0) 2012.12.25
구와취  (0) 2012.12.25
흰조뱅이  (0) 2012.12.25
조뱅이  (0) 2012.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