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복주머니란속

호남인1 2012. 12. 12. 20:38

 

 

 

 

 

복주머니란속

Cypripedium

 

 

 

 

분류: 피자식물문 >단자엽식물강 >미종자목 >난초과 >복주머니란속

 

피자식물문 (Angiospermae)

단자엽식물강 (Monocotyledoneae)

미종자목 (Microspermae)

난초과 (Orchidaceae)

복주머니란속 (Cypripedium)

 

광릉요강꽃 (Cypriped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복주머니란속은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며 지상부에 꽃을 피운 후 시든다. 보통 꽃은 하나가 줄기 끝에 피지만 노랑복주머니란과 얼치기복주머니란은 두개씩 핀다.꽃은 일반적으로 크며 곁꽃받침은 합쳐지는 진행 중에 있어서 꽃받침이 2개로 착각하기 쉽다.

 

입술꽃잎은 크고 주머니 모양이나 입구를 가리는 듯 예주가 彎曲突出한다. 화분은 점액 중에 섞여서 다른난과 같이 화분괴를 만들지 않는 것도 특징이다.

 

현재 분포의 중심은 2로 나뉘는데 맥시코 이북으로 13종, 구 대륙에 25종이 있으며, 지금까지 우리나라에는 복주머니란,광릉복주머니란, 노랑복주머니란, 털복주머니란 4종으로 분화되어 있었으나 2002년 이후 새로 발견된 것과 이영노 선생님이 일부 변종 품종을 추가하여 현재 19종이 되었다.

 

속명은 희랍어의 Kypris(지중해의 키프로스섬이며 미의 여신 비너스의 영토) + pedilon(靴, 샌들)로 입술꽃잎을 비너스의 황금신발에 비유했다고 합니다. 한가지 재미있는 것은 pedilon을 라틴어化 할 때 l 字를 잘못 빼먹은 것이 그대로 통용됬다고 한다.

 

본문출처 - 인디카 /http://www.indica.or.kr/xe/index.php?document_srl=1828711&mid=plant_data&page=4

 

노랑복주머니란 (Cypripedium calceolus L.)

 

 

개불알꽃 [lady's slipper]

 

난초과(蘭草科 Orchidaceae)에 속하는 몇몇 속(屬)의 식물들 가운데 입술꽃잎[脣瓣]이 슬리퍼처럼 생긴 꽃이 피는 종류.

 

개불알꽃속(Cypripedium)은 온대와 아열대지방에서 자라는 50여 종(種)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종류는 노랑개불알꽃(C. calceolus)이며, 분홍개불알꽃(C. acaule)은 영어로 흔히 모카신 플라워(moccasin flower)라고 한다. 대부분의 식물들은 줄기에 1~2송이의 꽃을 피우며, 키는 30~60㎝ 정도이다.

 

개불알꽃이라 부르는 또다른 종으로는 약 12종으로 이루어진 프라그미페디움속(phragmipedium) 식물들이 있다. 이들은 폭이 매우 좁은 잎을 지니며, 아메리카 대륙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다. 리본처럼 생긴 꽃잎을 지니는 1~6송이의 꽃이 꽃자루에 달리며, 키는 90㎝ 정도이다.

 

셀레니페디움속(Selenipedium)은 3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키가 4.5m까지 자란다. 잎은 접혀져 있으며, 꽃은 식물체의 꼭대기에 달리는 수상(穗狀)꽃차례로 무리져 핀다. 아시아 열대지방에서 자라며 50여 종으로 이루어진 파피오페딜룸속(Paphiopedilum) 식물들도 개불알꽃의 한 종류이다. 잎은 초록색으로 가죽질로 되어 있으며 반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꽃은 크고 광택이 나며 여러 가지 색깔을 띤다. 많은 잡종들이 개발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는 개불알꽃으로 부르는 여러 종류 중에서 개불알꽃속 식물 4종류만이 산과 들에서 자란다. 개불알꽃속 식물로는 경기도 광릉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진 광릉요강꽃(C. japonicum), 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개불알꽃(C. macranthum) 및 강원도 이북에서 자라는 털개불알꽃과 노랑개불알꽃이 있다. 이밖에도 파피오페딜룸속과 프라그미페디움속의 일부 종류들은 온실이나 집 안의 화분에 심고 있다.

출처: 브리태니커

 

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um Sw.)

 

 

 

한국서식 복주머니란속 (Cypripedium) 14종

 

겨자복주머니란 (Cypripedium sinapoides Y.N.Lee)

광릉요강꽃 (Cypriped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노랑복주머니란 (Cypripedium calceolus L.)

레분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um var. rebunense (Kudo) Miyabe &Kudo)

미색복주머니 (Cypripedium neoparviflorum Y.N.Lee)

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um Sw.)

분홍털복주머니란 (Cypripedium guttatum for. punicum Y.N.Lee)

양머리복주머니란 (Cypripedium agnicapitatum Y.N.Lee)

왕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um var. hoteiatsumorianum Sadovski)

자주복주머니란 (Cypripedium morinanthum Y.N.Lee)

장미빛복주머니란 (Cypripedium roseum Y.N.Lee)

털복주머니란 (Cypripedium guttatum var. koreanum Nakai)

흰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um for. albiflorum (Makino) Ohwi)

흰털복주머니란 (Cypripedium guttatum for. albiflorum Y.N.Lee)

 

미기록종

얼치기복주머니란 (Cypripedium x ventricosum)

산서복주머니란 (Cypripedium shanxiense S.C. Chen)

황금복주머니란 ( 가칭 )

 

양머리복주머니란 (Cypripedium agnicapitatum Y.N.Lee)

 

 

 

1. 겨자복주머니란

Cypripedium sinapoides Y.N.Lee

 

 

 

2. 광릉요강꽃

Cypriped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3. 노랑복주머니란

Cypripedium calceolus L.

 

 

 

4. 레분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um var. rebunense (Kudo) Miyabe &Kudo

 

 

 

5. 미색복주머니란

Cypripedium neoparviflorum Y.N.Lee

 

 

 

6. 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um Sw.

 

 

 

7. 분홍털복주머니란

Cypripedium guttatum for. punicum Y.N.Lee

 

 

 

8. 양머리복주머니란

Cypripedium agnicapitatum Y.N.Lee

 

 

 

9. 왕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um var. hoteiatsumorianum Sadovski

 

 

 

10. 자주복주머니란

Cypripedium morinanthum Y.N.Lee

 

 

 

11. 장미빛복주머니란

Cypripedium roseum Y.N.Lee

 

 

 

12. 털복주머니란

Cypripedium guttatum var. koreanum Nakai

 

 

 

13. 흰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um for. albiflorum (Makino) Ohwi

 

 

 

14. 흰털복주머니란

Cypripedium guttatum for. albiflorum Y.N.Lee

 

 

 

사진출처

floma /http://floma.kr/xe/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저 푸른 소나무처럼 /http://blog.naver.com/hayun21c/10114048138   

블로그 whitebirch /http://blog.daum.net/charikei/7164209

 

흰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um for. albiflorum (Makino) Ohwi)

 

난초과 식물은 모두 좌우대칭의 형태를 띠고 있으며, 가운데에 입술꽃잎이 나 있고 뒷면에는 길쭉한 꽃주머니를 달고 있다. 입술꽃잎에 핏줄 같은 맥이 그물 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 모양이 개의 불알처럼 생겼다 하여 개불알꽃이라 한다.  

 

이름이 천박하다 하여 복주머니란이라고도 하며, 둥글고 가운데에 구멍이 뚫려 있어 요강꽃이라고도 한다. ‘난’의 영어 이름인 orchid 역시 불알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꽃은 화려하지만 지린내가 나는데, 이 때문에 ‘까마귀오줌통’ 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산기슭의 풀밭에서 자라며 그늘보다는 양지쪽을 더 좋아한다. 억새나 조릿대와 같이 뿌리줄기로 자기복제를 하여 군락을 형성한다. 전세계에 분포하는 개불알꽃속의 식물은 약 45종으로, 우리나라에는 개불알꽃, 털개불알꽃, 노랑개불알꽃, 광릉요강꽃 등 4종이 있다.

 

높은 관상가치로 인하여 무분별하게 채취되고 있으며 재배 또한 아주 까다롭기 때문에 멸종위기에 있다. 1997년부터 산림청이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66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땅속줄기에 서너 개의 눈을 붙여서 포기나누기로 번식하는데, 떼어낸 땅속줄기를 눕혀서 묻어 놓으면 새싹이 나온다. 꽃이 아름다워서 정원 등에 관상용으로 심는다. 풀 전체를 류머티즘, 타박상 등에 처방한다.

 

난초과 (Orchid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1.28 08:52

 

 

 

15. 얼치기복주머니란 - 미기롤종

Cypripedium x ventricosum

 

 

 

16. 산서복주머니란 - 미기록종

Cypripedium shanxiense S.C. Chen

 

 

 

17. 황금복주머니란 ( 가칭 ) - 미기록종

 

흰복주머니란 (Cypripedium macranthum for. albiflorum (Makino) Ohwi)

 

 

Today Old pop   shomron

 

 

genre: Pop
sing  : Ann Breen

 

When You I Were Young
Maggie (메기의 추억)
 



 

 

 

 

============================================================================================================================

바로가기

 

 

난초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2. (4,903種중 651. 굴거리나무과 - 1317. 때죽나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랑복주머니란  (0) 2012.12.13
겨자복주머니란   (0) 2012.12.13
광릉요강꽃  (0) 2012.12.12
나도풍란   (0) 2012.12.12
흰나도제비란  (0) 2012.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