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정초과 (Eriocaulaceae) . 곡정초속 (Eriocaulon)
분류: 피자식물문 >단자엽식물강 >닭의장풀목 >곡정초과
피자식물문(Angiospermae)
단자엽식물강(Monocotyledoneae)
닭의장풀목(Commelinales)
곡정초과(Eriocaulaceae)
[식물] 외떡잎식물에 속한 과. 습기 있는 모래땅이나 늪 부근에서 많이 자란다. 잎은 볏과 식물과 비슷하며, 꽃은 뚜렷하지 않다. 전 세계에서 12속(屬) 1,100여 종(種)이 분포하며, 개수염, 곡정초 따위가 이에 속한다. 과명은 Eriocaulaceae이다.
Eriocaulon decangulare
습한 모래땅이나 늪 부근에서 많이 자란다. 여러해살이 또는 한해살이풀로 줄기는 알줄기와 비슷하거나 좀더 길다. 잎은 화본과와 비슷하고 밑부분에서 나거나 줄기에서 나오며 보통 줄 모양이다.
꽃은 뚜렷하지 않고 총포에 싸인 두상꽃차례로 달린다. 화피는 2개의 테를 이루는데, 바깥 테는 꽃받침과 비슷하다. 꽃자루는 잎보다 길며 밑부분에 잎집을 만든다. 열매잎은 2∼3개, 암술대는 2∼3개이며, 씨방은 꽃받침 위에 위치하고 2∼3실이다.열매는 삭과로 종자 속에 작은 배와 많은 배젖이 들어 있다. 꽃가루는 3핵이다.
주로 열대지방에서 자라지만 온대지방에서도 자란다. 대표적인 속(屬)은 곡정초속·신고난투스속·파에팔란투스속 등이다. 말려서 장식용으로 쓴다. 전세계에 13속 1,200여 종(種)이 분포한다. 출처 : 두산세계대백과 EnCyber
곡정초속(Eriocaulon)
분포
열대를 중심으로 분포하지만 일부는 온대에도 분포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10속의 1,000여 종 가량이 알려져 있다. 한국에는 곡정초·개수염·넓은잎개수염 등의 10여 종이 분포하고 있다.
특징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 초본이거나 아관목이다. 줄기는 짧으며, 잎은 뿌리에서 나거나 또는 줄기에서 드문드문 난다. 잎은 가느다랗고 길며 밑부분은 꼬투리가 된다. 꽃줄기는 잎 사이에서 많이 나오는데, 그 밑부분은 꼬투리 모양의 포엽으로 둘러싸여 있다. 꽃줄기의 끝에는 두상꽃차례가 달리는데, 꽃차례의 바깥쪽은 여러 개의 총포조각으로 싸여 있다. 꽃은 단성화로, 대부분 수꽃은 꽃차례의 가장자리 부분에, 암꽃은 중심부에 달리지만, 때로는 그 반대인 경우도 있다. 한편, 꽃받침과 꽃부리의 마디 사이가 길게 늘어난 것이 많다. 또, 꽃덮이 끝이 가늘게 갈라져서 털 모양이 되는 것도 있다. 수꽃의 수술은 2-6개로 중심에 퇴화된 암술이 있다. 암꽃의 씨방은 2-3개의 방을 가지는데, 방에는 1개의 밑씨가 만들어진다. 열매는 삭과이다.
속
• Blastocaulon
• 곡정초속 (Eriocaulon)
• Lachnocaulon
• Leiothrix
• Mesanthemum
• Paepalanthus
• Philodice
• Rondonanthus
• Syngonanthus
• Tonina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좀개수염 (Eriocaulon decemflorum Maxim.)
한국의 곡정초과(Eriocaulaceae) 1속
곡정초속 (Eriocaulon) 15종
곡정초속(Eriocaulon) 15종
1.가는개수염 (Eriocaulon tenuissimum Nakai)
2.가지곡정초 (Eriocaulon cauliferum Makino)
3,개수염 (Eriocaulon miquelianum Koern.)
4.검은개수염 (Eriocaulon parvum Koern.)
5.검은곡정초 (Eriocaulon atrum Nakai)
6.곡정초 (穀精草) (Eriocaulon sieboldianum Siebold &Zucc.)
7. 넓은꽃잎개수염 (Eriocaulon latipetalum Y.C.Oh &C.S.Heo)
8.넓은잎개수염 (Eriocaulon robustius (Maxim.) Makino)
9.실개수염 (Eriocaulon decemflorum var. nipponicum (Maxim.) Nakai)
10.애기곡정초 (Eriocaulon sphagnicolum Ohwi)
11.장흥곡정초 (Eriocaulon buergerianum Koern.)
12.제주검정곡정초 (Eriocaulon glaberrimum var. platypetalum (Satake) Satake)
13.좀개수염 (Eriocaulon decemflorum Maxim.)
14.큰개수염 (Eriocaulon hondoense Satake)
15.흰개수염 (Eriocaulon sikokianum Maxim.)
좀개수염 (Eriocaulon decemflorum Maxim.)의 열매
곡정초속(Eriocaulon) 15종
1.가는개수염
(Eriocaulon tenuissimum Nakai)
2.가지곡정초
(Eriocaulon cauliferum Makino)
3,개수염
(Eriocaulon miquelianum Koern.)
개수염 (Eriocaulon miquelianum Koern.)
개수염 (Eriocaulon miquelianum Koern.)
4.검은개수염
(Eriocaulon parvum Koern.)
검은개수염 (Eriocaulon parvum Koern.)
검은개수염 (Eriocaulon parvum Koern.)
5.검은곡정초
(Eriocaulon atrum Nakai)
검은곡정초 (Eriocaulon atrum Nakai)
(Eriocaulon sieboldianum Siebold &Zucc.)
곡정초 (穀精草) (Eriocaulon sieboldianum Siebold &Zucc.)
곡정초 (穀精草) (Eriocaulon sieboldianum Siebold &Zucc.)
7.넓은꽃잎개수염
(Eriocaulon latipetalum Y.C.Oh &C.S.Heo)
8.넓은잎개수염
(Eriocaulon robustius (Maxim.) Makino)
넓은잎개수염 (Eriocaulon robustius (Maxim.) Makino)
넓은잎개수염 (Eriocaulon robustius (Maxim.) Makino)
9.실개수염
(Eriocaulon decemflorum var. nipponicum (Maxim.) Nakai)
10.애기곡정초
(Eriocaulon sphagnicolum Ohwi)
11.장흥곡정초
(Eriocaulon buergerianum Koern.)
12.제주검정곡정초
(Eriocaulon glaberrimum var. platypetalum (Satake) Satake)
13.좀개수염
(Eriocaulon decemflorum Maxim.)
좀개수염 (Eriocaulon decemflorum Maxim.)
좀개수염 (Eriocaulon decemflorum Maxim.)
14.큰개수염
(Eriocaulon hondoense Satake)
큰개수염 (Eriocaulon hondoense Satake)
큰개수염 (Eriocaulon hondoense Satake)
15.흰개수염
(Eriocaulon sikokianum Maxim.)
흰개수염 (Eriocaulon sikokianum Maxim.)
흰개수염 (Eriocaulon sikokianum Maxim.)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수염 (0) | 2012.11.18 |
---|---|
곡정초 (穀精草) (0) | 2012.11.18 |
모새달 (0) | 2012.11.18 |
큰고랭이 (0) | 2012.11.17 |
솔방울고랭이 (0) | 2012.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