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꽃하늘지기

호남인1 2012. 11. 17. 08:38

 

 

 

 

 

꽃하늘지기

학명: Bulbostylis densa (Wall.) Hand.-Mazz. 

 

이명: 꽃하늘직이, 실하늘직이, 실하늘지기, 꽃하눌직이,

분류: 피자식물문 >단자엽식물강 >사초목 >사초과 >모기골속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각처에 분포한다. /크기: 화경(花莖)은 높이 5-40㎝ /생육환경: 산과 들의 풀밭.

 

한해살이풀.

높이는 5~40센티미터 정도로 자라며, 줄기는 뿌리에서 뭉쳐나고 실처럼 가늘다. 7~8월에 우산 모양의 꽃이 피고, 이삭은 긴 타원 모양으로 갈색이다. 우리나라 곳곳의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꽃하늘지기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35358

 

 

줄기보다 많고 짧으며 실모양이고 폭 0.3-0.5㎜이다. 엽초는 연한 갈색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1-4㎝이고 끝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수과는 세모진 도란형이며 길이 0.8mm로서 황백색이다.

화경(花莖)은 높이 5-40㎝로서 가늘며 각각 2-3개의 잎이 밑부분에 달린다. 화서는 산형이고 화경끝에서 화축이 2-3회 갈라지고 각 소화경 끝에 1개의 소수가 달린다. 정소수는 대가 없고 측소수는 길이 3-5mm, 지름 1.5mm로서 대가 있으나 모두 긴 타원상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포린은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막질이고 길이 2mm로서 털이 없으며 중륵은 녹색이지만 그 밖의 것은 갈색이고 윗가장자리에 털이 약간 있다. 암술대는 길이 0.7㎜로서 끝이 3개로 갈라져서 밑부분이 수과끝에 사마귀처럼 남는다. 수술은 3개 또는 2개이며 수과 밑부분에 가시같은 털이 없다.

근경이 없고 수염뿌리가 많으며 잎과 화경이 뿌리에서 총생한다.

---------------------------

 

벼목 사초과 한해살이풀. 높이 15∼60㎝. 줄기는 모여나고, 잎은 나비 1.5∼4㎜이며 잎집에 털이 있고 때로는 줄기나 잎에도 털이 있다.

 

꽃은 7∼10월에 산형꽃차례를 이루고, 2∼3회 갈라진 가지 끝에 작은 이삭이 달린다. 작은 이삭은 긴 달걀꼴이고 다갈색이며 털이 없다. 비늘조각은 넓은 달걀꼴이며 끝에 짧고 둔하고 뾰족한 돌기가 있다. 암술머리는 2개이고 암술대는 편평하며 털이 있다.

 

열매는 넓은 타원형의 수과(瘦果)이고 그물눈모양의 무늬가 있다. 작은이삭은 1∼2개이며, 잎이 바늘모양인 것을 가는하늘지기, 잎집과 잎에 털이 많은 것을 털하늘지기라 한다. 논두렁이나 산기슭 습지에 자란다.

 

온대로부터 열대에 걸쳐 분포하는 잡초로서 변이종이 많다. 한국·타이완·중국·일본·카프카스·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무지개세상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없고 수염뿌리가 많다. 줄기는 뿌리에서 뭉쳐나고 실처럼 가늘며 높이가 5∼40cm이다. 잎은 실처럼 가늘고 줄기보다 짧으며 2∼3개가 줄기 밑동에 달린다. 잎집은 연한 갈색이고 길이가 1∼4cm이며 끝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꽃은 7∼8월에 핀다. 꽃차례는 우산 모양을 이루는데, 줄기가 끝에서 2∼3번 갈라지고 갈라진 작은 줄기 끝에 1개의 작은이삭이 달린다. 작은이삭은 긴 타원 모양으로 길이가 3∼5mm 정도이고 익으면 갈색을 띤다. 수술은 2∼3개이고,

 

씨방은 하위(下位)이며, 암술머리는 끝이 3개로 갈라진다.열매는 수과이고 세모진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황백색이다. 제주도·경상남도·강원도·경기도·함경북도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꽃하늘지기 | 두산백과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표본

 

 

그러나 국립과학관의 표본자료는 이 이식물에 대해 2가지가 존재한다.

 

아래는 국립과학관의 설명문이다.

 

한해살이풀로 원산지는 한국이다. 제주도, 경상남도, 강원도 등에 분포하며 주로 양지 바른 풀밭에서 자란다.

 

일반적 특징

높이 5~40cm로 줄기는 뿌리에서 모여나고 잎은 실 모양으로 가늘며 줄기보다 짧다. 잎집은 연갈색으로 털이 없고 끝이 갈라진다. 꽃은 7~8월에 피고 산형화서로 꽃줄기 끝에서 2~3번 갈라지며 작은 꽃줄기의 끝에 1개의 작은 이삭이 달린다. 작은 이삭은 긴 타원 모양이고 갈색으로 익으며 2~3개의 수술을 갖는다. 암술머리는 3개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로 노란빛을 띤 흰색이고 세모진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다.

 

 

   - 국립중앙과학관의 표본사례. 1

         

   국립과학관, 무지개세상의 표본

 

 

 

  국립중앙과학관의 표본사례. 2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 국립과학관 . 네이버자연도감등의 표본사례

 

국가기관의 표본이라도 하루빨리 정리가 되였으면 좋겠다.

 

 

 

모기골속 (Bulbostylis) 2종

꽃하늘지기 (Bulbostylis densa (Wall.) Hand.-Mazz.)

모기골  (Bulbostylis barbata (Rottb.) Kunth)

 

 

사진출처 -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

 

사초과(Cyper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1.15 12:16

꽃하늘지기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06.23 16:03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랭이속 (Scirpus)  (0) 2012.11.17
방울고랭이  (0) 2012.11.17
모기골  (0) 2012.11.17
층층고랭이  (0) 2012.11.17
좀바늘사초  (0) 2012.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