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섬댕강나무

호남인1 2012. 11. 5. 10:13

 

 

 

 

 

 

섬댕강나무

Abelia coreana var. insularis (Nakai) W.T.Lee &W.K.Paik 

 

 

 

 

학명: Abelia coreana var. insularis (Nakai) W.T.Lee &W.K.Paik 

영명: Insular Abelia  분류: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산토끼꽃목 > 인동과> 댕강나무속

원산지: 한국(특산식물) : 분포: 한국(경상북도 울릉군) /크기: 높이 80cm정도 자란다. 

 

낙엽 활엽 관목 

높이 1미터 정도로,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 밑부분은 줄기를 감싼다. 5월에 연한 황색 꽃이 꽃줄기 끝에 두 개씩 달리고 열매는 9월에 익는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울릉도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섬댕강나무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32056

 

 

잎은 대생하며 난형, 넓은 난형,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고 점첨두 또는 미철두(微凸頭)이며 예저이고 길이 3-5cm로서 상반부에 몇 개의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없다. 엽병은 길이 4~6mm로서 대생한 두 개가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 싼다.

열매는 둥글고 9월에 성숙한다.

꽃은 5월에 피고 연한 황색이며 가지끝에 달리고 화경에 두 개씩 달리며 화경은 길이 3~4mm로서 털이 없고 소화경도 길이 0.5~1.5mm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통도 털이 없으며 길이 7~9mm이고 열편은 4~5개로서 도피침형이며 꽃이 필 때는 길이가 5mm에 달하고 화관통부는 길이 5~7mm이다.

높이가 80cm에 달하고 원줄기에 여섯 줄의 홈이 있으며 가지는 붉은 빛이 돌고 털이 없다.

 

 

--------------------------------------------

울릉도 특산식물이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식물로 털댕강나무와 비슷하지만 잎과 꽃받침통에 털이 없다. 일본인인 나카이(Nakai)가 처음 발견하여 일본의 학회에 보고하였으며, 그 후 계속된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울릉도에만 살고 있는 식물로 밝혀졌다.

• [형태]

• 낙엽관목으로 높이가 0.5~1.5m 정도에 달하고 원줄기에 6줄의 홈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난형 또는 타원형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끝이 뾰족하다. 잎의 길이는 3~5㎝ 정도 이며, 상반부에 몇 개의 톱니가 있고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는 대생한 두 개가 원줄기를 완전히 둘러싼다. 꽃은 5월에 가지 끝에서 연한 황색으로 피며고 한 화경에 2개씩 달린다. 열매는 둥굴고 9월에 익는다.

• [생태]

• 울릉도의 500~900m 정도의 산지 비탈면에서 생육하고 있으며, 유성번식을 하고 있다. 또한 자생지가 점점 파괴되고 있어 도동의 자생지의 경우 천연기념물 제51호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생육환경

암반이 많은 바위 틈이나 골짜기의 햇빛이 많이 쪼이는 지역에서 자생한다. 특히 댕강나무속이 자라는 곳은 거의 석회암 지대이며 매우 건조한 곳에서도 잘 견딘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 수분: 보통 

 

번식방법

실생 및 삽목에 의한다. 

결실기: 9월 

 

이용방안

정원수나 관상용으로 식재하고 새 잎과 순은 나물로 식용한다. 

 

보호방안

자생지가 1~2곳으로 개체수가 매우 적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 내외 보전. 

 

유사종

▶댕강나무(A. mosanensis T. Chung): 잎은 긴 난형이며 길이 3-7㎝로 매화잎과 비슷하고 가장자리가 매끈하다. 

 

특징

▶댕강나무속은 석회암 지대의 대표적인 식생이다.

▶도동의 섬개야광나무, 섬댕강나무 군락이 천연기념물 제51호로 지정되어 있다.

ⓐ소재지:경북 울릉 남면 도동

ⓑ지정사유:특산식물자생지,

ⓒ면적:49,587㎡이다. 도동 항구에서 시가지를 향하여 오른쪽의 암벽 능선을 따라 분포해 있는 군락이다. 이 두 수종은 모두 울릉도 특산종으로 소위 진희한 식물의 자생지로서 그 가치가 인정되고 있다. 절벽처럼 된 곳인데 향나무가 군데군데 자라고 틈틈히 울릉도 특산인 섬기린초의 작은 군락이 있다. 능선에 따라서 섬개야광나무와 섬댕강나무가 있었으나 섬개야광나무는 많이 없어졌다. 

 

댕강나무  (Abelia mosanensis T.H.Chung ex Nakai)

------------------------------------------------------

 

댕강나무속(Abelia) 8종

 

꽃댕강나무  (Abelia mosanensis T.H.Chung )

댕강나무  (Abelia mosanensis T.H.Chung ex Nakai)

바위댕강나무 (Abelia integrifolia Koidz.)

섬댕강나무 (Abelia coreana var. insularis (Nakai) W.T.Lee &W.K.Paik)

좀댕강나무 (Abelia serrata Siebold &Zucc.)

주걱댕강나무  (Abelia spathulata Siebold &Zucc.)

줄댕강나무 (Abelia tyaihyoni Nakai)

털댕강나무 (Abelia coreana Nakai)

 

섬댕강나무 (Abelia coreana var. insularis (Nakai) W.T.Lee &W.K.Paik)

 

 

 

 

 

=============================================================================================================================

바로가기

 

산토끼꽃 | 식물도감(植物圖鑑)

인동 | 식물도감(植物圖鑑)

댕강나무 | 식물도감(植物圖鑑)

섬댕강나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줄댕강나무  (0) 2012.11.05
털댕강나무  (0) 2012.11.05
  (0) 2012.11.04
콩과  (0) 2012.11.04
애기병꽃  (0) 2012.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