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복합꽃차례(複合花序)

호남인1 2012. 9. 7. 20:22

 

 

 

 

 

 

복합꽃차례(複合花序)

 

3. 복합꽃차례(複合花序)

 

꽃차례형이 2회 이상 중복해 있는 꽃차례를 겹꽃차례라고 한다.

 

동일형식이 반복된 것을 동형(同型)겹꽃차례, 부분적으로나 전체적으로 형식이 다른 것을 이형(異型)겹꽃차례라고 한다.

동형인 경우는, 총상꽃차례가 총상으로 모여 있으면 꽃차례형 이름 앞에 <겹>이나 <복>을 붙여서 겹총상꽃차례나 복총상꽃차례 라고 읽는다. 미나리과를 꽃차례의 특징에서 산형과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미나리과의 대부분은 홀꽃차례의 산형꽃차례가 아니고 겹(복)산형꽃차례이다.

 

산형꽃차례가 다시 산형으로 달릴 경우는 겹(복)산형꽃차례[複傘形花序]라고 한다.

그러나 권산꽃차례가 총상으로 달리듯이 서로 다르게 달리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전자의 동형복(겹)꽃차례[同形複花序]에 대하여 이형복(겹)꽃차례[異形複花序]라고 하며, 권산총상꽃차례[卷산總狀花序]라고도 한다.

 

이형겹꽃차례인 경우는 두상총상꽃차례라고 하는 등, 말단의 형식 이름 다음에 전체 형식의 이름을 붙여 읽는다.

 

원추꽃차례(圓錐花序) Panicle / 돌단풍 (Mukdenia rossii) 의 꽃모양

 

 

복합 꽃치례는 대략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분류해 볼수 있다.

 

 

3-1. 동형복합꽃차례(同形複合花序)

 

3-1-1. 복수상꽃차례(複穗状花序) Compound spike

3-1-2. 복총상꽃차례(複總狀花序) Heterothetic compound raceme

       - 복총상꽃차례(複総状花序) Heterothetic compound raceme

       - 원추꽃차례(圓錐花序) Panicle

3-1-3. 복산형꽃차례(複繖型花序) Compound (double) umbel

3-1-4 인상꽃차례(藺狀花序) Anthela

3-1-5 복두상꽃차례(複頭狀花序) Compound capitulum

 

3-2. 이형복합꽃차례(異形複合花序)

3-2-1. 권산총상꽃차례(卷繖総状花序)

3-2-2. 두상산방꽃차례(頭狀繖房花序)

3-2-3. 취산산방꽃차례(聚繖繖房花序)

       - 취산산방꽃차례(聚繖繖房花序) Cymose corymb

       - 밀추꽃차례(密錐花序) thyrsus

 

 

복산형꽃차례(複繖型花序) / 참조팝나무 (Spiraea fritschiana SCHNEID)

 

원추(圓錐)꽃차례는 다수의 꽃이 모여서 전체로서 거의 원뿔형을 이룬 것의 총칭이기도 한데, 실체는 겹총상꽃차례인 것이 많다.

총상꽃차례가 다시 총상으로 달린 경우를 복총상꽃차례[複總狀花序]라 하며, 밑부분의 가지일수록 길기 때문에 전체가 원추형으로 되므로 원추꽃차례[圓錐花序]라고도 한다.

 

취산꽃차례가 총상 또는 겹총상으로 모인 원추꽃차례를 밀추(密錐)꽃차례라고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두상꽃차례가 산방상으로 달릴 경우 두상산방꽃차례[頭狀傘房花序], 포도의 경우와 같이 취산꽃차례가 총상 또는 복총상으로 모여서 달릴 때는 밀추꽃차례[密錐花序]라고 한다.

 

꽃차례형에는 특정한 식물군만의 고유한 것도 있다. 등대풀에서 보이는 배상꽃차례는 수술 하나로 핀 수꽃[雄花(웅화)] 몇 개가 병[壺(호)] 모양의 그릇 속에 있는 것으로서 취산꽃차례의 특수형으로 생각되며 다육(多肉)으로 된 병 모양의 그릇 속에 아주 작은 꽃이 다수 달려 있다.

 

꽃덮이가 없거나 또는 눈에 안 띄는 수꽃이 모여서 가늘고 길며 보통은 아래로 처진 이삭으로 된 것을 미상(尾狀)꽃차례라고 하며, 버드나무과·가래나무과·나도밤나무과·자작나무과 등에서 볼 수 있다. 미상꽃차례의 식물군을 묶어서 미상꽃차례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미상(尾狀)꽃차례 / 자작나무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Miq.) Hara)

 

 

3-1. 동형복합꽃차례(同形複合花序)

 

꽃차례형이 2회 이상 중복해 있는 꽃차례를 겹꽃차례라고 한다.

 

꽃차례의 동일형식이 반복된 것을 동형(同型)겹(복)꽃차례라고 한다. 

총상꽃차례가 총상으로 모여 있으면 꽃차례형 이름 앞에 <겹>이나 <복>을 붙여서 겹총상꽃차례나 복총상꽃차례 라고 읽는다.

예를 들어 미나리과를 꽃차례의 특징에서 산형과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미나리과의 대부분은 홀꽃차례의 산형꽃차례가 아니고 겹(복)산형꽃차례이다.

 

                         복산형화서 / 일당귀 (Angelica acutiloba (Siebold &Zucc.) Kitag.)의 화서

 

 

 

 

3-1-1. 복수상꽃차례(複穗状花序) Compound spike

 

- 복수상꽃차례 - 이삭 꽃차례 있어서 꽃대 두서너 갈래 피는 꽃차례이다. 보리.조, 따위 이에 해당한다.

- 겹이삭꽃차례 - 꽃대 두서너 갈래 갈라진 이삭 꽃차례. , 보리 따위 이에 해당한다.

 

수상꽃차례가 다시 수상으로 배열하는 것을 복수상꽃차례[複穗狀花序]라 하며,화본과식물의 꽃이 이에 속한다.

즉, 이중의 수상꽃차례이며, 그 단위가 되는 수상꽃차례를 작은이삭[小穗]이라고 한다.

이삭 꽃차례(수상화서)에 있어서 꽃대가 두서너 갈래로 피는 꽃차례이다. 조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복수상꽃차례 /  (학명: Setaria italica (L.) P.Beauv.)

 

 

 

3-1-2. 복총상꽃차례(複總狀花序) Heterothetic compound raceme

 

- 복총상꽃차례(複総状花序)  - 꽃대 이상으로 갈라지고, 갈래 부분에서 각각 총상 꽃차례 이루 꽃차례.

- 원추꽃차례(圓錐花序) Panicle - 총상 꽃차례 하나. 이삭 () 차례 가지 나누어 최종 가지 총상 꽃차례 되며, 전체 원뿔 모양 이루고 있다. 남천이나 따위에서 있다.

 

원추꽃차례는 다수의 꽃이 모여서 전체로서 거의 원뿔형을 이룬 것의 총칭이기도 한데, 실체는 겹총상꽃차례인 것이 많다.

총상꽃차례가 다시 총상으로 달린 경우를 복총상꽃차례[複總狀花序]라 하며, 밑부분의 가지일수록 길기 때문에 전체가 원추형으로 되므로 원추꽃차례[圓錐花序]라고도 한다.

 

복총상화서 - 남천 (Nandina domestica Thunb)의 꽃차례

 

 

 

3-1-3. 복산형꽃차례(複繖型花序) Compound (double) umbel

 

                                                                              

Compound (double) umbel-이중(복)산형화서                                               Compound (triple) umbel-삼중(복합)산형화서

 

- 복산형꽃차례 - 산형 꽃차례 꽃대 다시 부챗살 모양으로 갈라져 피는 꽃차례. 당근, 미나리, 참나물 따위에서 있다.

복산형화서 /영어 compound umbel 각각의 산형꽃차례가 다시 산형으로 달려 전체 꽃차례를 이루는 모양. 산형과 식물의 대부분은 산형꽃차례보다는 겹산형꽃차례를 이룬다.

 

복산형화서 - 미나리(Oenanthe javanica (Blume)의 꽃차례

 

 

 

3-1-4. 인상꽃차례(藺狀花序) Anthela

      

- 인상꽃차례 - 옆가지가 주축보다도 높고 그 선단은 동일양식을 반복하는 복합 꽃차례의 1형

 

 

 

 

 

 

인상꽃차례 (藺狀花序.인상화서)Anthela - 왕골(Cyperus exaltatus var. iwasakii T.Koyama)

 

3-1-5. 복두상꽃차례(複頭狀花序) Compound capitulum

      

- 복두상꽃차례 - 우리나라에서는 공식적으로 분류하고 있지 않지만 꽃이 화상(꽃받침)을 완전히 둘러싸고 있는 형태를 말한다.

꽃이 피어있는 모습은 완전한 구형에 가까우며 국화과 식물의 경우 절굿대 (Echinops ritro)류에서 나타난다. 

 

 

 

 

복두상화서(複頭狀花序) - 에키놉스(절굿대) Echinops ritro

 

 

 

3-2. 이형복합꽃차례(異形複合花序)

 

산형꽃차례가 다시 산형으로 달릴 경우는 겹(복)산형꽃차례[複傘形花序]라고 한다.

그러나 권산꽃차례가 총상으로 달리듯이 서로 다르게 달리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전자의 동형복(겹)꽃차례[同形複花序]에 대하여 이형복(겹)꽃차례[異形複花序]라고 하며, 권산총상꽃차례[卷산總狀花序]라고도 한다.

 

이형겹꽃차례인 경우는 두상총상꽃차례라고 하는 등, 말단의 형식 이름 다음에 전체 형식의 이름을 붙여 읽는다.

 

3-2-1. 권산총상꽃차례(卷繖総状花序)

3-2-2. 두상산방꽃차례(頭狀繖房花序)

3-2-3. 취산산방꽃차례(聚繖繖房花序)

       - 취산산방꽃차례(聚繖繖房花序)

       - 밀추꽃차례(密錐花序) thyrsus

 

밀추꽃차례 (밀추화서) - 강아지풀(Setaria glauca (L.) P.Beauv.)

 

 

3-2-1. 권산총상꽃차례(卷繖総状花序)

 

권산+총상 ;권산꽃차례가 총상으로 달리는 경우다.

권산꽃차례가 총상으로 달리듯이 서로 다르게 달리는 경우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를 이형복(겹)꽃차례[異形複花序]라고 하며, 권산총상꽃차례[卷總狀花序]라고도 한다.

 

 

 

3-2-2. 두상산방꽃차례(頭狀繖房花序)

두상꽃차례가 산방상으로 달릴 경우

하나하나의 두상꽃차례는 마치 하나의 꽃처럼 보이며, 이러한 두상꽃차례산방(繖房)꽃차례처럼 달린다.

 

두상산방꽃차례(頭狀繖房花序) / 톱풀 (일지호)(Achillea alpina, Achillea sibirica)

 

 

 

3-2-3. 취산산방꽃차례(聚繖繖房花序)

 

- 취산산방꽃차례(聚繖繖房花序) Cymose corymb

- 취산화서가 산방상으로 달리는 꽃차례 꿩의비름, 거지덩쿨,흰말채나물,구름범의귀,보리수,가는기린초, 등이 이에 속한다.

- 산방취산화서 라 하기도 한다.

 

 

취산산방꽃차례(聚繖繖房花序) Cymose corymb - 꿩의비름 (Hylotelephium erythrostictum (Miq.) H.Ohba)

 

 

 

       - 밀추꽃차례 (密錐花序) thyrsus

 

취산꽃차례가 총상 또는 겹총상으로 모인 원추꽃차례를 밀추(密錐)꽃차례라고 한다.

꽃이 밀집한 복합화서로써 화촉의 분지상태는 일정하지 않으나 전체적으로는 원추형인 화서를 이룬다.

포도류 ,비름속(긴이삭비름, 각시비름 ,등) 강아지풀속(강아지,강아지풀,,등), 댕강나무속,등이 이에 속한다.

 

 

밀추꽃차례(密錐花序) thyrsus / 층꽃나무 (Caryopteris incana (Thunb.) Miq.)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꿩의비름   (0) 2012.09.08
둥근잎꿩의비름   (0) 2012.09.08
산형과(미나리과)  (0) 2012.09.07
젓가락나물  (0) 2012.09.07
왜미나리아재비   (0) 2012.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