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지구엽초
Epimedium koreanum Nakai
학명: Epimedium koreanum Nakai
이명: 음양곽, 선령비(仙靈脾), 천양금(天兩金), 정초, 방장초, 강전 /영명: Korean Epimedium,
원산지: 한국,만주,우수리 /꽃말 : 당신을 붙잡아두다 /분류: 미나리아재비목 >매자나무과 >삼지구엽초속
분포: 중국 / 한국(경기도; 강원도) /서식지: 산지의 나무 그늘 /크기: 약 30cm
생약명: 莖(경) 및 葉(엽)은 淫羊藿(음양곽), 根莖(근경)은 淫羊藿根(음양곽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 초본
줄기는 30센티미터로 자란다. 잎은 뭉쳐나고 작은 잎에는 가는 톱니가 있다. 5월에 황백색 꽃이 총상 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말린 잎은 음양곽(淫羊藿)이라 하여 술에 넣어 강장제로 쓴다. 경기도 이북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삼지구엽초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26485
근생엽은 엽병이 길고 원줄기에 1-2개의 잎이 호생하고 3개씩 2회 갈라진다. 소엽은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길이5-13.5cm, 폭1.5-7.2cm정도로서 가장자리에 털같은 잔톱니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열매는 골돌로서 길이 10-13mm, 지름 5-6mm이다.
꽃은 4-5월에 피고 황백색이며 원줄기 끝의 겹총상화서에 밑을 향해 달리고 지름은 2㎝안팎이다. 꽃받침잎은 8개이지만 겉의 4개는 작으며 크기가 서로 다르고 일찍 떨어지지만 안쪽의 4개는 크며 크기도 비슷하다. 꽃잎은 4개로 긴 거(距)가 있고 1개의 암술과 4개의 수술이 있으며 꽃밥은 들창문처럼 터진다.
높이가 30cm에 달하고 줄기는 보통 총생하여 곧게 자라며 원줄기 밑을 비늘 같은 잎이 둘러 싼다.
근경은 단단하고 옆으로 뻗으며 잔뿌리가 많이 달리고 꾸불꾸불하다.
경기도 이북지방에서 자라며 키는 약 30㎝이다. 옆으로 기면서 자라는 1개의 뿌리줄기에서 여러 줄기가 나와 무리져 자란다.
잎은 1~2개씩 어긋나는데, 3개씩 2번 갈라져 있다. 잔잎은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심장 모양으로 움푹 패였으며, 잎가장자리에는 잔털들이 있다.
꽃차례(花序) - 총상꽃차례(총상화서)
연한 노란색 또는 흰색의 꽃은 이른봄에 줄기 끝에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루며 아래를 향해 핀다.
꽃은 지름이 10∼12mm이고 노란 색을 띤 흰색이다.
꽃받침조각은 8개인데, 안쪽의 4개는 크고 서로 같은 크기이며, 바깥쪽의 4개는 작고 서로 크기가 다르다.
4장의 꽃잎에는 꼬리처럼 생긴 기다란 거(距)/긴 꿀주머니가 달려 있다.
수술 4개, 암술 1개이며 수술은 수술대와 꽃밥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고 수술 가운데가 창문처럼 열려 꽃가루가 나온다.
열매는 골돌(蓇葖)로 길이 10∼13mm의 양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이다.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자라며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고 잔뿌리가 많이 달린다.
줄기는 뭉쳐나고 높이가 30cm이며 가늘고 털이 없으며 밑 부분은 비늘 모양의 잎으로 둘러싸인다.
줄기 윗부분은 3개의 가지가 갈라지고 가지 끝마다 3개의 잎이 달리므로 삼지구엽초라고 한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뭉쳐나고 잎자루가 길다.
줄기에 달린 잎은 길이 5∼13.5cm의 달걀 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 부분은 하트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털 같은 잔 톱니가 있다.
한방에서는 식물체 전체를 음양곽(陰羊藿)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최음·강장·강정·거풍 효과가 있다.
가을에 줄기와 잎을 따서 그늘에 말린 것을 음양곽(淫羊藿)이라고 하는데 이는 예로부터 널리 알려진 강장제·강정제로 차를 끓여 마시거나 술을 빚어 마셨고, 발기부전이나 만성관절염, 월경불순의 치료제로도 쓰였다.
관상용으로 정원이나 화분에 심기도 하는데, 배수가 잘되는 반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잔잎이 3장씩 모여 있어 삼지구엽초라 부르는데, 노루오줌 이나 꿩의다리 도 잔잎 3장이 모여 달리기 때문에 삼지구엽초라고 불리기도 한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로는,
옛날 중국에 어떤 양치기가 있었는데 수백마리의 양을 몰고 다녔다. 그 많은 양 가운데 숫놈 한마리가 있었는데 이 숫양은 사시사철 발정하여 날마다 암양과 관계를 계속하지만 전혀 피로의 기색이 없었다.
양치기는 이 양을 유심히 살피게 되었는데, 어느 날 이놈이 슬그머니 양들의 무리를 떠나 골짜기로 처진 것을 알았다. 양치기가 몰래 따라가 보았더니 이상하게 생긴 이름 모를 풀을 마구 뜯어 먹더라는 것이다.
양치기는 바로 이 풀이 정력제라고 생각하고 시험삼아 자신도 뜯어먹어 봤더니 용솟음치는 정력을 달랠 수 없었다. 양치기는 양의 정력을 발동시켰다 하여 이 풀을 음양곽이라고 이름 짓게 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삼지구엽초로 담은 술을 음양곽주라고 하며 일명 선령비주라고도 한다. 한국·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생육환경
입지환경으로 지형은 계곡에서 산록부이고, 방위는 북서-북동,경사는 5-35도가 적당하고 토심은 깊고 건-적윤한 곳이 알맞다. 해발고는 200-600m이고, 울폐도는 65-75%정도가 알맞다.
▶광선: 음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습윤
재배.번식 방법
반그늘에 재배하는 것이 안전하며 토양은 부엽을 풍부히 사용한 비옥한 토양이 좋다. 약간 서늘한 온도조건이 좋고 특히 여름철의 고온조건은 피한다. 왕성한 생장기인 봄에서 여름철에 걸쳐서는 이식을 금하는 것이 안전하다.
씨뿌리심기
이 식물은 씨앗으로 번식시키기 곤란하다. 따라서 주로 씨뿌리로 재배한다. 씨뿌리를 심는 시기는 11월과 4월이다. 씨뿌리를 이식하는 법은 대단히 쉽다. 먼저 밭에 밑거름으로 10a당 두엄 750kg을 주고 땅을 잘 고른 후 이랑나비 30cm, 포기사이 18cm정도로 심는다. 심은 후 싹이 트고 자람에 따라 묽은 복합비료를 3~4회 덧거름으로 주면 결과가 더욱 좋다.
▶파종기: 7월 ▶이식기: 10월, 11월 ▶결실기: 8월
식용법으로 봄에 어린 잎과 꽃잎을 따다가 나물로 해먹는데 어릴 때는 쓴맛이 별로 없으므로 가볍게 데쳐서 찬물에 헹구기만 하면 된다.
莖(경) 및 葉(엽)은 淫羊藿(음양곽), 根莖(근경)은 淫羊藿根(음양곽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淫羊藿(음양곽)
①여름-가을에 채취하여 햇볕 또는 그늘에서 말린다.
②성분 : 莖(경)과 葉(엽)에는 icariin을 함유하고 잎에는 더욱 精油(정유), ceryl alcohol, hentriacontane, phytosterol, tannin, 油脂(유지)가 함유되어 있으며 지방유 중의 지방산은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이다.
③약효 : 補腎(보신), 强陽(강양), 祛風(거풍), 除濕(제습)의 효능이 있다. 불임, 음위, 발기불능, 倦怠無力(권태무력), 小便淋瀝(소변임력), 筋骨攣急(근골련급), 반신불수, 腰膝無力(요슬무력), 류머티즘에 의한 마비와 통증, 四肢不仁(사지불인)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15g을 달여 복용한다. 술에 담그거나 膏劑(고제), 丸劑(환제), 散劑(산제) 등으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⑵淫羊藿根(음양곽근)
①성분 : 음양곽의 근경에는 des-o-methylicariin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虛淋(허림), 白濁(백탁), 白帶(백대), 월경불순, 소아야맹증, 膿(농)이 안터진 癰疽(옹저), 천식발작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하거나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중부 내륙지방이 주 분포지역으로 90년대 이후 강장제로 알려져 자생지 및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한 종이다.
▶잎이 3개씩 2회 갈라지므로 삼지구엽초 라고 한다.
▶약용으로 중요한 식물로 재배작물로 개발 가능성이 높다.
▶식물을 경제작물로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 다양한 상품화 및 개발 가능성이 있는 식물이다. 이 식물은 물에 넣어 끓이면 잎과 줄기가 빳빳해지는 특성이 있다.
▶환경부에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지정번호 식-66) /희귀, 특산식물 정보 - [취약종] 평가내용:취약종 / 국가단위
유사종
전국적으로 삼지구엽초로 오인되어 남획이 유통되고 있는 식물종이 많으므로 일반인들에 대한 계몽이 필요하다.
▶꿩의 다리(Thalictrum aquilegifoium L.) : 완도군 약산도, 대관령 및 설악산 주변
▶꿩의다리아재비(Caulophyllum robustum Max.) : 태백산 주변
▶연잎꿩의다리(Thalictrum coreanum Lev.) : 설악산 주변
▶외국산 삼지구엽초 :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상당수
---------------------------------------------------------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한극서식 8속의 종
깽깽이풀속 (Jeffersonia) 1종
깽깽이풀 (Jeffersonia dubia (Maxim.) Benth. &Hook.f. ex Baker &S.Moore)
꿩의다리아재비속 (Caulophyllum) 1종
꿩의다리아재비 (Caulophyllum robustum Maxim.)
남천속 (Nandina) 1종
남천 (Nandina domestica Thunb.)
매자나무속 (Berberis) 8종
당매자나무 (Berberis poiretii C.K.Schneid.)
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Rupr. var. amurensis)
매자나무 (Berberis koreana Palib.)
섬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Nakai)
연밥매자나무 (Berberis koreana var. ellipsoides Nakai)
왕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Nakai)
일본매자나무 (Berberis thunbergii DC.)
좁은잎매자 (Berberis koreana var. angustifolia Nakai)
뿔남천속 (Mahonia) 2종
뿔남천 (Mahonia japonica (Thunb.) DC.)
중국남천 (Mahonia fortunei (Lindl.) Fedde)
삼지구엽초속 (Epimedium) 1종
삼지구엽초 (Epimedium koreanum Nakai)
세잎풀속 (Achlys) 1종
세잎풀 (Achlys japonica Maxim.)
한계령풀속 (Leontice) 1종
한계령풀 (Leontice microrhyncha S.Moore)
=====================================================
삼지구엽초속
Epimedium Linne 英 : Barrenwort 日 : Ikari-so Zoku
구대륙의 온대지방에 약 20종, 우리나라에는 1종, 다년초. 근경이 발달.
잎은 보통 2~3회 갈라진 겹잎. 작은 잎에는 가시모양의 톱니, 경생잎은 보통 1~2장.
꽃은 총상화서, 보통 줄기 끝에 1송이가 붙거나 꽃과 마주 붙음.
꽃받침은 8장, 꽃잎 모양으로 2줄 늘어서고, 바깥것은 작음.
꽃잎은 4장, 흔히 거(距:떨어질 거)가 있음. 수술은 4개. 꽃밥은 위 끝에 2개의 판 조각이 있음.
자방은 1실, 열매는 가느다란 삭과.
이영노 저 "한국식물도감"
---------------------------------------
사진출처
floma / http://floma.kr/xe/?mid=WildFlower
============================================================================================================================
바로가기
매자나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뿔남천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삼지구엽초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삼지구엽초 [三枝九葉草]의 효능과 복용방법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나리 (0) | 2012.09.03 |
---|---|
산매자나무 (0) | 2012.09.03 |
연밥매자나무 (0) | 2012.09.02 |
왕매발톱나무 (0) | 2012.09.02 |
매발톱나무 (0) | 2012.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