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배나무

호남인1 2012. 8. 1. 13:56

 

 

 

 

 

배나무

 

학명: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이명: 일본배,/영명: pear tree, Nashi /원산지: 한국, /꽃말 :온화한 애정

분류: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배나무속

 

배나무(Pyrus pyrifolia var. culta)는 돌배나무(Pyrus pyrifolia)의 재배종이다. 돌배나무는 한국·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 활엽소교목으로 높이는 5m 정도이다. 잎은 달걀모양이며 끝은 길게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바늘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산방꽃차례로서 4-5월에 가지 끝에 피며 흰색이다. 열매는 이과(梨果)로서 꽃받침이 떨어지고 10월에 다갈색으로 성숙한다. 기구재·기계재 또는 접목(接木)의 대목(臺木)으로 사용한다. 아스프바이치 형제에 관한 설화가 있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배나무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3608&mn=KFS_28_01_02_01

 

 

 

 

잎은 난상 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고 긴 점첨두이며 원저 또는 아심장저이고 길이 7-12cm, 폭 3.5-5cm로서 뒷면은 회록색이며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침상의 톱니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3-7cm로서 털이 없다. 가을에 황색으로 단풍진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이 5-10cm 정도로서 9월경 다갈색으로 익으며 꽃받침이 떨어지고 과경은 길이 3-5cm이다.

 

꽃은 5월에 피며 백색이고 양성화이며 총상화서를 이룬다. 화서는 털이 없거나 면모가 있고 꽃은 지름 3cm정도이며 꽃받침잎은 긴 점첨두이고 꽃잎은 난상 원형이며 암술대는 4-5개로서 털이 없다.

어린 가지는 갈색이며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유사종

▶콩배나무(P. calleryana var. fauriei) : 낙엽관목, 잎과 열매가 작고 가지에 가시가 있다.

▶위봉배나무(P. uipongensis) : 위봉산, 낙엽소교목, 작은 가지는 회갈색, 꽃받침잎은 결실후 탈락.

 

 

 

배나무의 기원지는 중국 서부, 혹은 남서부로 추정된다. 한국으로 배가 들어온 경로는 요동반도와 백두대간이다. 지금도 백두대간의 산악지역에는 아름드리 배나무가 많이 분포하고 있다. 한국의 남해안에서 일본으로 배가 전파되기도 하였다. 현재 과일을 위하여 재배하는 배나무는 동양계로 남방형인 일본배(한국배)와 북방형인 중국배 그리고 유럽계인 서양배로 크게 3종류로 구분하고 있다.

 

'배'라는 이름은 순수한 한국어로 알려지고 있지만, 중국어의 梨의 15세기 음인 'ㅂ.ㅣ'가 '배'로 변했다는 설도 있다.

 

한국에 자생하는 배나무는 재래종인 콩배와 함께 가장 널리 재배되는 돌배, 그리고 중국배의 근간인 산돌배가 있다. 또한 야생종으로 전남 광양의 백운산에 자생하는 백운배, 전북 위봉산의 '위봉배', 해남 두륜산의 '들배', 남해 용문산의 '용문배'가 있다.

 

배나무의 재배에 관하여는 삼국시대와 신라시대의 문헌에 기록이 남아있다.

 

한국에서는 품종육성의 노력으로 '단배'를 처음으로 '황금배', '추황배', '원황', '만풍배' 등의 품종이 육성되었다.

 

 

 

한국의 종

콩배나무 Pyrus calleryana var. fauriei (C.K.Schneid.) Rehder

서양배 Pyrus communis L.

청위봉배나무 Pyrus pseudocalleryana Uyeki

개위봉배나무 Pyrus pseudouipongensis Uyeki

돌배나무 Pyrus pyrifolia (Burm.f.) Nakai

배나무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산돌배 Pyrus ussuriensis Maxim. var. ussuriensis

• 취앙내 Pyrus ussuriensis var. acidula (Nakai) T.B.Lee

• 금강산돌배 Pyrus ussuriensis var. diamantica Uyeki

• 백운배나무 Pyrus ussuriensis var. hakunensis (Nakai) T.B.Lee

• 참배 Pyrus ussuriensis var. macrostipes (Nakai) T.B.Lee

• 남해배나무 Pyrus ussuriensis var. nankaiensis (Nakai) T.B.Lee

• 청실리 Pyrus ussuriensis var. ovoidea Rehder

• 털산돌배 Pyrus ussuriensis var. pubescens Nakai ex Kawamoto ex Nakai

• 문배 Pyrus ussuriensis var. seoulensis (Nakai) T.B.Lee

• 합실리 Pyrus ussuriensis var. viridis T.B.Lee

들배나무 Pyrus uyematsuana Makino

 

 

옛날부터 한국에서 자라던 배나무 종류로는 산돌배나무(P. ussuriensis)·참배(P. ussuriensis var. mcarostipes)·백운배나무(P. ussuriensis var. hakunensis)·돌배나무(P. pyrifolia)가 있으나 이들의 열매는 요즈음 먹는 배처럼 크지 않다.

이밖에 열매를 먹기 위해 옛날부터 심어왔던 종류는 추안네(P. acidula)·황실네(P. fauriei var. major)·청실네(P. macropuncta)·고실네(P. maximowicziana)·백실네(P. rufa) 등으로서 널리 알려진 금화배·함흥배·안변배·봉산배·봉화배를 만들어냈으나 현재는 일본배에 밀려 거의 자취를 찾아보기 힘들다.

 

요즈음 널리 심고 있는 배나무로는 일본의 중부 이남, 한국의 남부 및 중국 양쯔 강 근처에서 자라던 돌배나무를 개량한 일본배, 만주와 몽골 및 한국 북부지방에서 자라던 산돌배를 개량한 중국배의 중화배(P. ussuriensis var. sinensis)·중국소배(P. ussuriensis var. culta), 그리고 유럽 중부와 동남부에서 자라던 서양배(P. communis)가 있다. 이중 일본배를 가장 널리 심으며 특히 중부 이남에서는 만삼길을, 중부지방이나 북부지방에서는 장십랑을 많이 심는다.

 

배나무는 삼국시대부터 절이나 정원에 심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배수가 잘 되는 양지바르고 습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배나무가 자랄 때 물이 부족하면 열매의 겉이 매끈하지 않고 울퉁불퉁해지는 유부과(柚膚果)현상이나 과즙이 적고 딱딱해지는 돌배현상이 나타난다. 申鉉哲 글

 

 

 

 

배나무속(Pyrus) 18종

개위봉배나무 (Pyrus pseudouipongensis Uyeki)

금강산돌배 (Pyrus ussuriensis var. diamantica Uyeki)

남해배나무 (Pyrus ussuriensis var. nankaiensis (Nakai) T.B.Lee)

돌배나무 (Pyrus pyrifolia (Burm.f.) Nakai)

들배나무 ( Pyrus uyematsuana Makino)

문배 (Pyrus ussuriensis var. seoulensis (Nakai) T.B.Lee)

배나무 (Pyrus pyrifolia var. culta (Makino) Nakai)

백운배나무 (Pyrus ussuriensis var. hakunensis (Nakai) T.B.Lee)

산돌배 (Pyrus ussuriensis Maxim. var. ussuriensis)

서양배 (Pyrus communis L.)

위봉배 (Pyrus uipongensis Uyeki)

참배 (Pyrus ussuriensis var. macrostipes (Nakai) T.B.Lee)

청실리 (Pyrus ussuriensis var. ovoidea Rehder)

청위봉배나무 ( Pyrus pseudocalleryana Uyeki)

취앙네 (Pyrus ussuriensis var. acidula (Nakai) T.B.Lee)

콩배나무 (Pyrus calleryana var. fauriei (C.K.Schneid.) Rehder)

털산돌배 ( Pyrus ussuriensis var. pubescens Nakai ex Kawamoto ex Nakai)

합실리 (Pyrus ussuriensis var. viridis T.B.Lee)

 

 

 

 

 

배나무속(Pyrus)

 

장미과 배나무속에 속한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낙엽 교목이나 관목으로 높이는 2~3미터 정도이며, 잎은 둥글거나 넓은 타원형이다. 4월 중순이나 하순경 흰 꽃이 피며, 열매는 둥글고 수분이 많으며 단맛이 있다. 번식은 대목에다 눈접과 접붙이기를 하여 이루어지며 재배 품종이 많다.

 

특히 서양배(P. communis)를 가리키기도 한다. 전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과수 중 하나이며 지구상의 모든 온대지역에서 심고 있다.

 

배나무는 다 자라면 키가 13m까지 이르며 나무 위가 넓게 퍼지기도 하는데 사과나무보다 더 크고 더 곧게 뻗는다. 잎은 둥글거나 넓은 타원형이며 가죽질이고 아래쪽이 약간 쐐기처럼 생겼는데 꽃이 필 때 같이 핀다.

 

꽃은 너비가 25㎜ 정도이고 대개 흰색이다. 배꽃은 사과나무꽃과 비슷하지만 5개로 이루어진 암술대의 아래가 서로 떨어져 있는 점이 다르다. 대체로 배는 사과보다 달고 씹을 때의 감촉도 더 부드럽다. 배는 다육질의 과육 안에 석세포(石細胞 grit cell/stone cell)라는 단단한 세포가 있어 사과와 구별할 수가 있다. 배는 사과 모양으로 생긴 것도 있지만 보통 길쭉하여 줄기에 달린 쪽은 너비가 좁고 반대쪽은 넓다.

 

 

유럽 원산으로 보이는 배나무는 기원전 훨씬 이전부터 재배되어왔다. 유럽에서만도 고대로부터 수천 종의 변종이 개량되었고 그들의 이름도 만들어졌다. 신대륙에 식민지가 세워지자마자 영국인을 비롯한 여러 유럽인들에 의해 신대륙으로 들어갔으며, 일찍이 스페인 선교사들이 멕시코와 캘리포니아에도 배를 가지고 갔다.

 

번식은 대목에다 눈접과 접붙이기를 하여 이루어지는데 보통 서양배나무의 어린 나무에 접붙이기를 한다. 유럽에서 주로 쓰이는 대목은 퀸스(quince)로 배나무 대목에 접붙인 대부분의 나무들보다 열매가 더 빨리 열리는 아주 작은 나무를 만든다.

 

배나무는 수명이 50~75년 정도로 다른 나무에 비해 비교적 오래 사는데, 정성 들여 기르지 않거나 가지를 쳐주지 않으면 상당히 크게 자라기도 한다. 심은 지 4~7년 안에 충분한 양의 배가 열리기 시작하며, 20~25년 정도 자라면 50~90알을 수확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배는 전세계에서 심는 낙엽과수 중에서 사과에 이어 2번째로 중요하다. 미국에서는 사과·복숭아에 이어 3번째로 많이 심고 있다.

 

 

아시아를 빼고 세계적으로 배나무를 기르는 대부분의 나라에서 지금까지 가장 널리 심는 변종은 미국에서 바틀릿(Bartlett)으로 알려진 기욤 봉 크레티엥(Williams Bon Chrétien)이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뵈르 보스크(Beurre Bosc), 뵈르 당주(Beurre d'Anjou), 윈터 넬리스(Winter Nellis)와 같은 변종을 많이 심고 있다.

 

영국과 네덜란드에서는 콘퍼런스(Conference)를 가장 흔히 심으며, 이탈리아에서는 윌리엄스(Williams) 외에 쿠라토(Curato), 코스키아(Coscia), 파세 크라사네(Passe Crassane)를, 프랑스에서는 파세 크라사네를 많이 심는다.

 

1849년 프랑스에서 처음으로 개량한 두아엔 뒤 코미스(Doyenne du Comice)는 맛과 감촉이 뛰어난 배로 인정받고 있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지역에 따라 약간씩 다른 품종들을 심고 있다.

 

 

이탈리아가 세계 최고의 배 생산국이며 중국·미국이 그뒤를 따른다. 그밖에 프랑스·일본·스페인·독일·터키·오스트레일리아·불가리아·남아프리카 등도 꽤 많은 양을 생산하고 있다.

 

미국·캐나다·뉴질랜드·남아프리카·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대부분의 수확량을 통조림을 만드는 데 쓰고 있지만 유럽에서는 주로 후식이나 술을 담그는 데 쓰고 그다음으로 통조림을 많이 만든다. 출처: 브리태니커

 

 

 

 

 

 

 

 

 

 

 

=============================================================================================================================

바로가기

 

장미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배나무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목련  (0) 2012.08.01
백두산떡쑥   (0) 2012.08.01
반호테조팝나무   (0) 2012.08.01
바위말발도리   (0) 2012.08.01
민백미꽃   (0) 2012.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