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쇠물푸레

호남인1 2012. 1. 2. 09:45

 

 

 

 

쇠물푸레

 

학명: Fraxinus sieboldiana

이명: 풀파랑,솔피낭(제주),계룡쇠물푸레, 좀쇠물푸레나무,수정목(水精木), 수청목(水靑木), 진피수(榛皮樹), 수창목(水蒼木),쇠물푸레나무, 영명: /원산지: 한국 /꽃말 (Fraxinus rhynchophylla, 뜻: 겸손)

분류 : 용담목 > 물푸레나무과 /분포 아시아 | 서식지  바위틈, 계곡 /크기 약 10m

 

물푸레나무과(―科 Oleaceae)에 속하는 낙엽교목.

물푸레나무'는 나뭇가지를 절라서 물에 담가 놓으면 물이 푸르게 변한다 해서 붙은 이름이라고 하는데 '쇠물푸레나무' 또한 마찬가지다. '쇠물푸레나무'의 '쇠' 는 작다는 뜻을 나타내는데 즉, '쇠'는 '小' 에서 유래했다는 의미가 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쇠물푸레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12.leaf?plntIlstrNo=28318

 

 

 

중부 이남에서 흔히 자라며 키는 10m 정도이다. 잎은 마주나는데 5~9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져 있다.

 

5월경에 흰 꽃이 새 가지의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원추(圓錐)꽃차례로 피며, 꽃받침과 꽃잎은 짧고 가늘다. 9월에 홍자색으로 익는 열매는 씨를 감싸고 날개가 발달하여 길이가 2㎝ 정도 된다. 잎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가 없는가에 따라 변종을 구분하기도 한다. 목재는 단단하여 건축재·기구재·운동기구 등으로 사용되며 메마른 땅에 적당한 조림수종이다.

 

습열(濕熱)이 많아서 발생한 이질에 황련(黃連)과 같이 쓰고, 대하(帶下)에 목단피(牧丹皮)가루와 함께 꿀로 환약을 만들어 복용하며, 간화(肝火)로 인한 다래끼, 안구충혈, 동통에 물을 넣고 달여서 환부를 세척한다. 해수와 천식에 진해, 거담작용을 나타낸다.

 

 

 

쇠물푸레 (학명: Fraxinus sieboldiana Bl.)

쇠물푸레는 소의 물푸레나무란 뜻으로 추정하고 있다.

물푸레나무나 들메나무보다는 인가 가까이 야산에 흔히 자라고 나무가 질겨 노간주 나무와 함께 흔히 소의 코뚜레나무로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한국·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용담목 물푸레나무과의 낙엽활엽수 소교목으로 나무높이는 10m, 지름은 20∼30cm에 이르기도 한다.

 

나무 껍질은 회갈색으로 갈라지지 않아 매끄럽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작은 잎이 5∼7장으로 된 깃털모양의 겹잎이다. 작은 잎은 긴타원꼴로 길이 5∼10㎝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얕은 톱니가 있다.물푸레나무나 들메나무에 비하여 작은 잎의 크기가 훨씬 작다. 잎 표면은 초록빛이고 뒷면 주맥에 흰빛 털이 있으며 중앙에 큰 잎자루는 표면에 홈이 있고 옆으로난 작은 잎자루는 짧다.

 

꽃은 암수 딴 나무로서 4∼5월에 흰꽃이 원뿔꽃차례로 새 가지의 꼭대기 또는 잎 겨드랑이에 달린다.수꽃과 양성화가 다른 그루에 핀다. 꽃잎은 가늘고 4장이 떨어져 나며 양성화에는 암술 1개와 수술 2개가 있다.

 

열매는 길이 2cm 정도의 시과이고 좁은 거꾸로 선 피침형이며 끝이 둥글거나 날카로우며 9-10월에 붉은 자주빛으로 익는다.

 

목재는 변재·심재 모두 엷은 갈황색이며 단단하고 점성이 강하므로 야구 방망이, 라켓의 테두리, 기구류(器具類)에 쓰인다. 출처: 무지개세상

 

번식은 가을에 익는 종자를 서리가 내리기 전에 채취하여 노천매장하였다가 파종한다.

 

 

이용

▶농·산촌지역의 가로수나 척박한 임지에 유용한 조림수종으로 적합하다.

▶목재는 재질이 단단하고 견고하여 건축재나 가구재,기구재,운동구재로 사용한다.

 

▶물푸레나무/쇠물푸레나무/좀쇠물푸레의 수피를 秦皮(진피)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 가을에 枝皮(지피) 또는 幹皮(간피)를 벗겨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물푸레나무의 수피에는 aesculin(esculin), aesculetin(esculetin) 및 그 외 6-β-d-glucoside인 aesculin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燥濕(조습), 平喘(평천), 止咳(지해), 明目(명목)의 효능이 있다. 세균성이질, 腸炎(장염), 白帶下(백대하), 만성기관지염, 目赤腫痛(목적종통), 淚液分泌過多症(누액분비과다증), 魚鱗癬(어인선)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4.5-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또는 丸劑(환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달인 液(액)으로 씻는다.

 

유사종

좀쇠물푸레(var.angustata Bl.):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거의 없다.

 

 

 

쇠물푸레(진피)는 맛은 쓰고 성질은 차가운약으로 열을 내리고 습을 말리는 약재이다.열을 내리고 습을 말리는 동시에 간과 담에 있는 열을 내려주고 간의 열로 인한 눈의 통증이나 이상 증세에 많이 응용된다.뇨산증,이질,장염,여성의 대하등 습열이 원인이 되는 질환과 설사등에 이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눈을 밝게한다.  간열(肝熱)도 없앤다.  성분 에스쿨린과 에스쿨레틴은 혈압을 높이고 장윤동운동을 억제하며 이뇨작용, 혈액응고억제작용을 나타내고, 에스쿨린은 소염작용을, 에스쿨레틴은 이담작용을 나타낸다.  습열설사, 이질, 대하, 자궁출혈, 장출혈 등에 쓴다.  급성 및 만성 대장염, 세균성이질, 위염, 기관지염 등에도 쓴다. 혈압을 높이는 작용, 장윤동운동 억제작용, 거담작용, 진통작용, 이뇨작용, 혈액응고억제작용, 소염작용, 이담작용, 해열, 해수, 천식, 진해, 거담, 간열, 명목, 습열설사, 다래끼, 이질, 대하, 자궁출혈, 장출혈, 급성 및 만성 대장염, 세균성이질, 눈물분비과다증, 위염, 기관지염 및 만성기관지염에 효험있다.

 

청열. 거습작용간, 담, 대장경에 적용하여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고 눈을 밝게 한다. 간열도 없앤다. 주로 5~10g을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염증약으로서 소대장염, 설사, 류머티스성 관절염에 쓴다.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며 눈을 밝게한다.  간열(肝熱)도 없앤다.  성분 에스쿨린과 에스쿨레틴은 혈압을 높이고 장윤동운동을 억제하며 이뇨작용, 혈액응고억제작용을 나타내고, 에스쿨린은 소염작용을, 에스쿨레틴은 이담작용을 나타낸다.  습열설사, 이질, 대하, 자궁출혈, 장출혈 등에 쓴다.  급성 및 만성 대장염, 세균성이질, 위염, 기관지염 등에도 쓴다.  하루 6~12g을 물로 달이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

 

열리하중(熱痢下重)백두옹(白頭翁) 75g, 황백(黃柏) 113g, 황련(黃連) 113g, 진피 113g에 물 7되를 넣고 2되가 되도록 끓여서 졸인 다음 찌꺼기를 제거하고 1되를 온복한다.  그래도 낫지 않을 때는 1되를 더 복용한다. [상한론, 백두옹탕]

 

만성 세균성 이질진피 11g, 생지유(生地楡), 춘피(椿皮) 각 11g을 달여 복용한다. [하북중약수책]

 

하리(下痢)진피 11g을 물로 달여 설탕을 넣고 나누어 복용한다. [흑룡강상용중초약수책]

 

적안(赤眼) 및 안청상창(眼晴上瘡)진피 40g을 백자(白磁) 사발에 넣고 깨끗한 물 1큰되를 넣어 봄, 여름에는 식사를 할 동안 담그어 군청색이 되면 그 즙을 젓가락에 감은 솜에 묻혀서 안와(眼窩)의 누선(淚腺) 쪽으로부터 넣어 전체에 퍼지게 한다.  그 횟수는 식간에 3~5회로 한다.  통증이 있더라도 참고 누워서 더운 즙을 떨구어 넣는다.  1일 10번 이상 반복하면 2일이면 낫는다.  초(醋)와 나복(蘿蔔: 무)를 피한다. [근효방]

 

맥립종(麥粒腫), 숙변진피 11g, 대황(大黃) 7.5g을 물로 달여 복용한다.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하북중약수책]

 

부인의 적백 대하, 자궁 출혈이 멎지 않을 때진피 113g, 단피(丹皮) 75g, 당귀신(當歸身)의 중간 부분 37.5g을 술로 씻어서 볶은 후 가루내어 정제한 벌꿀로 벽오동씨 만한 크기의 환을 만들어 매일 아침 19g을 더운 물로 복용한다. [본초휘언]

 

소아의 경풍(驚風)으로 인한 발열 및 변증열(變蒸熱)진피, 복령 각 3.8g, 감초 2g, 등심(燈心) 20뿌리를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아과촬요]

 

어린선(魚鱗癬: 피부가 건조하여 고기비늘 모양으로 갈라지고 각질 증식이 일어나는 피부병. 유전성 각화증의 하나로 심상성(尋常性) 어린선과 선천성 어린선으로 나눈다.)진피37.5~75g에 물 반 대야를 넣고 달인 물로 환부를 매일 또는 2일에 1번씩 나올 때가지 계속 씻는다.  달인물은 데우면 3번까지 쓸 수 있다. [전전선편, 피부병]

 

세균성 이질진피의 탕제: 40ml당 생약 30g을 함유한 것으로 소아 환자 50례를 치료하였다.  1세 이하는 하루에 8~10ml, 1~3세는 10ml, 3세 이상은 15ml를 4회로 나누어서 경구 투여한 결과 체온이 정상으로 회복되는데 필요한 기간은 평균 1.9일, 대변 횟수가 정상으로 회복되는데 필요한 기간은 평균 8.1일 이었다. 

 

만성 기관지염진피로 농도 1:1의 분무액을 제조하여 1회 2ml를 분무기로 aerosol실에 분사하여 1일 1회 30분간 흡입한다.  또 엑스로 만든 정(錠: 1정당 엑스 0.3g을 함유)을 제조하여 1회 2정씩 1일 3회 복용한다.  모두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두화(佛頭花) - 포토  (0) 2012.01.04
수골무꽃 - 포토  (0) 2012.01.03
좀미나리아재비 - 포토  (0) 2012.01.02
솜양지꽃 - 포토  (0) 2012.01.02
솜다리   (0) 2012.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