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는다리장구채
학명: Silene jenisseensis Willd.
이명: 짤룩장구채, 짤룩대나물 /영명: Dry Silene /원산지: 한국,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중심자목 >석죽과 >장구채속
분포: 중국, 몽골, 러시아 / 한국(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인제군, 평창군)
크기: 높이가 25cm에 달한다. /생육환경: 산지의 메마른 초지, 암석지에서 자란다. /결실기: 9월
생약명: 근(根)을 銀柴胡(은시호)라 하며 약용한다.
여러해살이풀.
높이 25센티미터 정도로 자라며, 뿌리잎은 뭉쳐나고 줄기잎은 어긋맞게 난다. 7~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황백색 꽃이 핀다. 강원 이북의 산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가는다리장구채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29091
근생엽은 총생하고 원줄기에서는 대생하며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길이 7-13cm, 폭 2-7mm이며 양끝이 좁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처럼 된다. 잎은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포와 연결되고 털이 없거나 깔깔하다.
삭과는 타원형이며 9월에 익으면 끝이 6개로 갈라지고 겉에 꽃받침이 남아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황색이고 윗부분의 엽액과 끝에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1-2cm이고 포는 밑부분이 넓어져서 막질로 되며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꽃받침은 원통형이고 길이 1cm정도로서 털이 없으며 10맥이 있고 끝에 5개로 갈라지며 꽃잎은 5개이고 끝이 2개로 갈라지며 현부(舷部)는 길이 5mm가량이다. 수술은 10개, 화주는 3개이다.
높이가 25cm에 달하고 연약하며 줄기는 여러 대이고 가지가 없으며 털이 없거나 밑이 짧은 털로 덮인다.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25cm 정도로 곧게 자라며, 뿌리잎은 뭉쳐나고 줄기잎은 어긋난다. 7~8월에 황백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강원, 평안, 함남 등지에 분포한다.
꽃차례(花序) -
7∼8월에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황백색의 꽃이 피고, 작은꽃대는 길이가 1∼2cm이다. 포는 밑부분이 넓고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으며 꽃받침은 원통형으로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5개인데 끝이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서 타원형이고 끝이 6개로 갈라지며 겉에 꽃받침이 남아 있다. 흰장구채에 비해 꽃이 작고 뿌리잎은 좁고 길다.
강원도 고산지역에 10곳 미만의 자생지가 있으며, 개체수는 매우 적다.
근(根)을 銀柴胡(은시호)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 가을에 채취하여 잎, 줄기,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대나물근(根)에는 triterpenoid saponins이 함유되어 있고 aglycone은 gibsogenin이다.
③약효 : 淸熱(청열), 凉血(양혈)의 효능이 있다. 虛勞肌熱(허로기열), 骨蒸(골증), 노학, 手心灼熱(수심작열), 盜汗(도한), 小兒五疳(소아오감), 羸瘦(이수)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9g을 달여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유사종
▶끈끈이대나물(S. armeria L.): 전체가 분을 뒤집어쓴 것같이 흰빛이 나고, 털이 없다. 잎은 난형, 넓은 피침형, 길이 3-4.5㎝, 잎자루는 없다.
▶울릉대나물(S. foliosa Maxim.): 줄기는 밀생, 잎은 선상 피침형, 길이 3-5㎝, 보통 털이 없다.
▶층층장구채(S. macrostyla Maxim.): 잎은 피침형, 피침상 선형, 잎겨드랑이에 잎이 밀생한 짧은 가지가 나온다.
▶오랑캐장구채(S. repens Person):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전체에 잔털이 퍼져 있다. 잎은 피침형, 긴 타원상 피침형, 길이 3-5㎜이다.
===============================================================================================================================
장구채속(Silene) 20종
가는끈끈이장구채 (Silene antirrhina L.)
가는다리장구채 (Silene jenisseensis Willd.)
가는장구채 (Silene seoulensis Nakai)
갯장구채 (Silene aprica var. oldhamiana (Miq.) C.Y.Wu)
끈끈이대나물 (Silene armeria L.)
끈끈이장구채 (Silene koreana Kom.)
달맞이장구채 (Silene alba (Mill.) E. H. L. Krause)
말냉이장구채 (Silene noctiflora L.)
명천장구채 (Silene myongcheonensis S.P.Hong &H.K.Moon)
분홍장구채 (Silene capitata Kom.)
애기장구채 (Silene aprica Turcz. ex Fisch. &C.A.Mey.)
양장구채 (Silene gallica L.)
오랑캐장구채 (Silene repens Patrin)
울릉장구채 (Silene takeshimensis Uyeki &Sakata)
장구채 (Silene firma Siebold &Zucc.)
층층장구채 (Silene macrostyla Maxim.)
털장구채 ( Silene firma for. pubescens (Makino) Makino)
한라장구채 (Silene fasciculata Nakai)
호산장구채 (Silene foliosa Maxim.)
흰장구채 (Silene oliganthella Nakai)
================================================================================================================================
사진출처
가는다리장구채는 높이 25cm정도로 높은 산지역 기슭에서 자라는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다른 이름으로 짤룩장구채, 짤룩대나물, 은시호(銀柴胡), 銀胡(은호), 山菜根(산채근), 沙參兒(사삼아), 白根子(백근자), 土蔘(토삼)등으로 불린다. 일본명은 아시보소템마(脚細まんてま)이며 꽃말은 ‘동자의 웃음’이다.
가는다리장구채에서 ‘가는다리’라는 말은 보통 장구채보다가 줄기가 가늘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고 장구채라는 이름은 꽃이 통부가 볼록하고 긴 타원형이며 씨방이 맺히면 장구를 치는 채와 닮은 모양에서 유래되었다. 은시호, 은호, 산채근, 사삼아, 백근자, 토삼 등은 본초강목에 나오는 약재명으로 한방에서 석죽과의 장구채 종류의 뿌리를 부르는 이름이기도하다. 일본명에도 가는다리(脚細)라는 말이 들어가 있다.
옛날 중국에 호(胡)진사 아들이 학질을 앓을 때 이와 비슷한 병을 앓던 머슴이 땔감으로 쓰던 풀로 완치했다는 이야기를 듣고 그 풀을 아들에게 먹여 치료했다고 해서 이풀을 땔감시(柴)와 성씨 호(胡)를 붙여, 시호(柴胡)라고 불렀다한다.
잎은 뿌리근처에서는 뭉쳐나고 원줄기에서는 마주난다. 모양은 선형 또는 선상 피침형이고 위로 올라갈수록 점차 작아져서 포와 연결되고 털이 없거나 깔깔하다.
꽃은 7〜8월에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황백색으로 피고, 작은꽃대는 길이 1〜2cm이다. 포는 밑 부분이 넓고 가장자리에 잔털이 있다. 꽃받침은 원통형으로 끝이 5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5개인데 끝이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서 타원형이고 끝이 6개로 갈라지며 겉에 꽃받침이 남아 있다. 흰장구채에 비해 꽃이 작고 뿌리 잎은 좁고 길다.
가는다리장구채는 우리나라(영주시 등) 특산식물이며 중국, 몽골, 러시아 등에도 분포한다. 한방에서 뿌리를 은시호(銀柴胡)라 하며 성질이 약간 차고 맛은 달고 하며 triterpenoid saponins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허로기열(虛勞肌熱), 도한(盜汗-식은땀), 노학(오래된 학질), 소아발열, 복부팽만 등에 약재로 사용한다.
원문출처 - 류시언의 소백산 야생화[83] 가는다리장구채
사진출처
야생화겔러리 / http://floma.kr/xe/?mid=WildFlower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wfc_01
가는다리장구채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05.18 02:06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는대나물 (학명: Gypsophila pacifica Kom.) (0) | 2011.07.21 |
---|---|
가는오이풀 - 포토 (0) | 2011.07.21 |
연(蓮) 연꽃(蓮花) - 이미지모음 (0) | 2011.07.21 |
털별꽃아재비 (학명: Galinsoga ciliata) (0) | 2011.07.21 |
참나리 - 포토 (0) | 2011.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