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참깨 (학명: Sesamum indicum L.)

호남인1 2011. 7. 20. 18:37

 

 

 

 

참깨 (학명: Sesamum indicum L.)

영명: sesame /원산지: 인도 또는 아프리카 열대 지방 /꽃말: 기대한다

 

분류 쌍떡잎식물강 > 통화식물목 > 참깨과 > 참깨속 /분포 아프리카, 아시아 /크기 약 1m benne라고도 함.

참깨과(─科 Pedaliaceae)에 속하며 많은 유형과 변종을 가지는 곧추선 1년생 식물.

 

 

옛날부터 씨를 얻기 위해 재배해왔는데, 씨는 식품과 조미료로 만들었으며 품질 좋은 기름을 추출했다. 중동과 아시아 요리에서는 씨를 통째로 광범위하게 쓰고 있다.

 

 

참깨는 아시아 또는 동아프리카가 원산지로 추정되나 지금은 세계적으로 대부분 열대, 아열대, 남반구 온대 지역에서 심고 있다. 모세 이전 시대에 이집트인들은 씨를 갈아 가루로 만들어 썼다. 중국인들은 5,000년 전부터 참깨를 이용했는데, 수세기 동안 기름을 태워 나온 그을음으로 가장 품질이 뛰어난 먹을 만들었다. 로마인들은 씨를 커민과 섞어 간 뒤 가루반죽에 뿌려 빵을 만들었다. 〈

 

 

아라비안 나이트 Arabian Nights〉의 〈알리바바와 40인의 도둑 Ali Baba and the Forty Thieves〉에 나오는 '열려라 참깨'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한때 참깨는 신비스런 힘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었으며 지금도 마력을 지닌 것으로 여기고 있다.

 

생육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변종은 키가 0.5~2.5m 정도 자라는데, 가지가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 1~3송이씩 핀다. 껍질을 벗긴 씨는 크림색 또는 진주빛의 흰색이고 길이가 약 3㎜이며 편평한 달걀 모양이다. 씨방벽은 마르면 벌어져 씨가 흩어져나오기 때문에 참깨를 수확할 때는 매우 조심스럽게 손으로 작업해야 손실을 막을 수 있다. 20세기 중반 씨가 흩어져나오지 않는 변종이 개량되어 참깨를 기계로 수확할 수 있게 되었다.

 

 

참깨를 한자로 호마(胡麻)라고 하는데, 호마를 통일 신라시대에 재배했다는 기록이 있는 점으로 보아 한국에서도 아주 오래전부터 재배한 것으로 추정된다. 주로 기름을 짜는 데 쓰는데, 기름을 짜고 난 깻묵은 사료로도 쓰인다.

 

한국의 경우 재배면적이 점점 감소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많은 양의 참깨를 외국에서 수입하고 있다. 꽃은 연한 보라색으로 늦여름에 잎 사이에서 피며, 오동나무꽃과 비슷하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익으며, 네모난 모양이다. 주요품종으로는 해남, 안동, 수원 11호, 수원 9호 및 최근에 육성된 수원 21호, 풍년깨와 광산깨가 있는데, 품종에 따라 재배지역이 다르다. 물이 많거나 잘 빠지지 않는 곳에서는 재배하기 힘들며, 생육기간중 높은 기온과 햇볕이 잘드는 지역이 참깨 재배에 좋다. 출처: 브리태니커

 

 

 

 

참깨 (학명: Sesamum indicum L.)

참깨참깨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그 씨이다. 서아시아가 원산지인 한해살이풀로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등에 널리 분포하는 유료작물(油料作物)이다.

 

 

줄기는 곧추서고 네모지며 잎과 더불어 부드러운 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마주나기 하거나 윗부분에서 때로 어긋나기 한다. 잎자루는 긴타원형 또는 바소꼴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밑부분이 3개로 갈라지기도 하며 잎자루 밑부분에는 노란색 작은 돌기가 있다.

 

통꽃인 꽃은 7-8월에 피며 흰색 바탕에 연한 자줏빛으로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고 꽃부리는 입술 모양이며 윗입술 꽃잎은 2개, 아랫입술 꽃잎은 3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4개 가운데 2개가 길고 1개의 암술이 있다. 열매는 삭과로 원기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익으면 끝에서부터 터져서 깨가 쏟아져 나온다.

 

 

참깨는 빛깔에 따라 검정깨·흰깨·누른깨로 나뉘고 특성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참깨는 지방이 45-55%, 단백질이 36% 들어 있으며, 비타민 B1·E도 많다. 기름은 식용하고, 깨소금을 만들어 조미료로 쓰며, 떡·엿·과자 등에 넣기도 한다 인조버터·비누원료·올리브기름 대용으로도 쓴다.

 

미국에서는 참기름을 다른 기름과 섞어서 샐러드유를 만든다고 하며, 또 점착제, 화장품 원료·약용으로도 쓰인다. 지방유가 들어 있으므로 자양강장 및 변비치료에 좋고 다른 생약과 배합하면 허약체질·병후 회복용으로 유효하며, 염증 등에 외용되고 해독제, 완화제, 연고 등으로 이용된다. 깻묵은 사료·비료로 이용한다. 공업용으로는 선박 기관의 냉각제, 등화유로 이용된다.

 

 

한국에는 중국을 통해서 들어 왔고 개량종으로 수원 9호, 풍년깨 등이 우수 품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참깨 (학명: Sesamum indicum L.) 사진/2011/07 경기 안성 보체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