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커피나무의 꽃

호남인1 2011. 7. 17. 14:57

 

 

 

 

커피나무 (학명 Coffea arabica)

영명: coffee tree /원산지: 아프리카, 아시아

 

분류 쌍떡잎식물강 > 꼭두서니목 > 꼭두서니과 /분포 아프리카, 아시아 | 서식지  따뜻하고 습한 지역 /크기 약 6m~8m

꼭두서니과(─科 Rubiaceae) 커피속(─屬 Coffea)에 속하는 열대산 상록관목.

 

 

그 열매를 가공하여 기호식품으로 사용한다. 커피는 아랍어 'qah-wah'에서 그 이름이 유래한 것으로 보이지만, 몇몇 어학자들은 에티오피아 남서부의 케파 주가 그 출원지라는 소문에 따라 케파와 연결짓고 있다. 25종(種) 이상의 커피식물은 대부분 동반구의 열대지역에서 야생으로 자라고 있다.

 

커피나무(Coffea arabica)가 제일 먼저 알려지고 재배된 종으로 지금은 주로 라틴아메리카에서 재배되고 있다. 로부스타커피나무(C. robusta)는 동아프리카와 콩고 강 유역이 원산지로 지금은 아프리카와 마다가스카르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다. 두 종 모두 아시아에서도 재배된다.

 

 

야생상태에서는 키가 8~10m에 이르는 상록관목으로 자란다. 가지에 자스민 향이 나는 작은 흰 꽃송이가 달린다. 열매는 길이가 15~18㎜이고 붉은색으로 익으며 다육질의 과육과, 평탄한 면에 나란히 붙어 있는 2개의 씨로 이루어져 있다. 각 씨는 얇고 단단한 내과피와 미세한 막질의 외피에 의해 둘러싸인다.

 

커피나무는 많은 변종이 만들어졌는데, 이중에는 씨가 큰 마라고기페커피나무(C. arabica var. maragogype), 품질이 좋은 버번커피나무(C. arabica var. bourbon), 품질이 뛰어나고 브라질에서 재배하는 카투라커피나무(C. arabica var. caturra) 등이 있다. 로부스타커피나무는 커피나무보다 더 강하고 병에 대한 저항력도 강하며 열매도 많이 맺힌다.

 

커피나무는 않은 따뜻하고 습한 기후에 적응되어 있다. 출처: 브리태니커

 

 

 

커피나무 (학명 Coffea L/)속

커피나무커피속(Coffea) 식물의 총칭으로 꼭두서니과의 목본으로서 90여 종을 포함한다. 보통 커피 수확을 위해 재배되는 것으로는 아라비카커피·리베리카커피·로부스타커피 등이 있다.

 

이 중, 아라비카커피(Coffea arabica)가 가장 널리 재배되는데, 높이는 1.2-1.3m 정도이다. 나무껍질은 흰색이고, 잎은 달걀 모양으로 마주난다. 꽃은 흰색이다. 열매는 장과로 짙은 홍색인데, 안에는 2개의 씨가 들어 있다.

 

한편, 리베리카커피(Coffea liberica)는 높이가 10-l5m 정도이고 나무껍질은 짙은 갈색이며 열매가 큰데, 품질이 좋지 못하다.

또한, 로부스타커피(Coffea canephora)는 가지가 많고 2년만에 수확하며 열매의 살이 적다. 모두 아프리카가 원산지로 열대에서 자란다. 씨는 커피의 원료가 된다.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커피나무 (학명 coffee tree)

꼭두서니과 커피속(coffea)에 속하는 상록관목.

 

세계적으로 25종 이상이 분포하고 있다. 야생 상태에서는 키가 8~10m에 이르며, 가지에 자스민 향기가 나는 작은 흰 꽃송이가 달린다. 열매는 길이 15~18㎜로 붉은색이며, 다육질의 과육과 평탄한 면에 나란히 붙어 있는 2개의 씨로 이루어져 있다. 씨는 얇고 단단한 내과피와 미세한 막질의 외피에 둘러싸여 있다.

 

아라비카커피나무(Coffee arabica )가 제일 먼저 알려지고 재배된 종이며, 주로 라틴아메리카에서 재배된다. 로부스타커피나무(Coffee robusta )는 동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서 널리 재배된다. 출처: 오픈토리

 

 

 

 

 

 

 

커피나무의 꽃 /사진 2011.07 경기 안성 화훼집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