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박쥐나무 (학명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Miq.) Ohwi)

호남인1 2011. 6. 16. 22:14

 

 

 

 

박쥐나무

학명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Miq.) Ohwi

이명: [누른대나무] [털박쥐나무]

(Alangium platanifolium) /분류 쌍떡잎식물강 > 산형화목 > 박쥐나무과 /분포 아시아 |

서식지  숲속 돌지대 /크기 약 3m 박쥐나무과(―科 Alangi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키는 3m가량이다. 잎은 어긋나며 잎가장자리가 3~5갈래로 얕게 갈라지고 털이 나 있다. 꽃은 5~7월에 잎겨드랑이에 취산(聚繖)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꽃은 노란빛이 조금 도는 흰색이며 8장의 꽃잎은 길이가 2.5~3㎝ 정도인 긴 끈 모양이고 뒤로 말려 우산을 펴놓은 것처럼 된다. 수술은 12개, 암술은 1개인데 수술과 암술의 길이는 거의 같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9월에 짙은 푸른색으로 익는다.

 

산지의 숲속에서 자라며 봄에 어린잎을 따서 나물로 먹는다. 뿌리는 팔각풍근(八角楓根)이라 해 한방에서는 진통제나 마취제로 쓴다. 이와 비슷한 단풍박쥐나무(A. platanifolium)가 거제도에서 자라는데 잎은 깊게 갈라지며 잎가장자리에 잔털들이 나 있다. 申鉉哲 글

 

 

 

박쥐나무 (학명 Alangium platanifolium var. macrophylum (S. et Z.))

박쥐나무는 숲속의 큰 나무 밑 음지에 살기 때문에 광합성을 하기 위해 작은 덩치에 비하여는 넓고 큰 잎을 가지고 있다.

잎 두께가 얇고 잎맥이 뚜렷하며 마치 박쥐가 날개를 편 모양과 닮았다하여 박쥐나무라 한다.

 

우리나라 어디에나 자라는 낙엽활엽수 관목으로 높이는 4m정도 자란다. 나무 껍질은 흑자색으로 외피는 흔히 벗겨진다.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원형이며 끝이 3∼5개로 얕게 갈라지며 양면에는 털이 있다.

 

꽃은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고 취산화서로서 잎 겨드랑이에서 나오고 5∼7월에 1∼4개의 백황색으로 핀다. 핵과는 짙은 푸른색이고 둥글며 9월에 익는다. 출처: 무지개세상

 

 

 

 

박쥐나무 (학명 Alangium platanifolium var. trilobum (Miq.) Ohwi)

• 잎   잎은 호생하고 사각상 심원형 또는 원형이며 길이와 폭이 각 7-20cm로서 끝이 3-5개로 얕게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형이며 점첨두이고 톱니가 없으며 표면은 황록색으로서 약간 짧은 털이 있으나 뒷면은 잔털이 드문드문 있고 기부는 약간 심장형이며 장상 맥이 있고 엽병은 길이 2-10cm로서 짧은 털이 있다.

• 열매 핵과는 난상 원형이고 길이 6-8mm로서 9월에 짙은 벽색으로 익는다.

• 꽃   취산화서는 액생 또는 액상생하며 털이 있거나 없고 1-4개의 꽃이 달리며 꽃은 양성으로서 5-7월에 피고 소화경에 환절이 있다. 꽃받침은 환상으로서 4-10개의 얕은 톱니가 있으며 꽃잎은 선형이고 8개이며 길이 25mm로서 누른 빛이 돌고 꽃이 피면 뒤로 말리며 기부가 서로 붙어있다. 수술은 12개이고 수술대는 길이 10mm로서 견모가 있으며 암술은 1개이고 암술대는 털이 없으며 꽃잎과 길이가 같다.

• 줄기 줄기는 밑에서 여러개가 올라와 수형을 만들고 수피는 흑자색으로 외피가 흔히 벗겨지고 소지에 털이 있으나 곧 없어진다.

• 원산지 한국

• 분포 ▶중국과 일본 북해도에도 분포한다. ▶전역의 표고 1,200m이하의 산야, 주로 중부 이북지역의 야산에서 자생한다.

• 형태 낙엽활엽성 관목, 수형:불규칙형

• 크기 높이 3-4m까지 자란다. 출처: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

 

 



 

 

 

 

 

열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