時事.政治.社會/<시사IN> 공식 블로그

김대중 납치사건과 육영수여사 저격사건 영상

호남인1 2011. 2. 4. 09:49

 

이제는 말할수 있다.

 

金大中 拉致事件과 陸英修女史 狙擊事件

 

 

 

 

 

 

 

 

요런 넘 들이 아직도 우리사회에 많습니다.

*육영수 저격사건은 김대중 노무현 일당짓*

http://forum.chosun.com/bbs.message.view.screen?bbs_id=10119&message_id=590161

 

 

 

과연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의 실체는...??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003&articleId=3378895

 

 

박정희 대통령 저격사건 배경과 파장 (종합)

 

이 기사는 2005년 1월 20일 오전 10시 00분 이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남북.일본이 얽힌 삼각관계의 `흉사'..한일, 정략이용 흔적 "韓, 김대중사건 궁지 돌파구로.日, 실체규명보다 타협선택" (서울=연합뉴스) 인교준 기자

 

박정희(朴正熙) 대통령 저격사건은 당시 동족이면서 적대관계인 남과 북, 거기에 숙적인 일본이 엮인 삼각관계의 `흉사'라는 점에서 진상규명은 애초부터 불가능했던 것 아니냐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한일양국 모두 사건후 1백일 이상을 수사했지만 결론이 크게 달랐다는 점이 이를 잘 말해준다.한국 측은 북한의 조종에 의한 범죄라고 본 반면 일본 측은 `남한내 혁명을 위한' 망상에 사로잡혔던 문세광의 단독범행이라고 규정했던 것이다. 더욱이 저격범 문세광이 사건 직후 체포돼 128일만에 형장의 이슬로 사라져 `더는 말할 수 없기에' 실체적 진실규명은 이미 물건너 간 것 아니냐는 지적이 많다.

 

그럼에도 국내의 여러 사가(史家)들은 이 사건이 육영수 여사 절명이라는 현실 이외에, 특히 한일 양국이 서로 정략적으로 이용한 흔적이 역력하다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1973년 8월 당시 유신체제에 반대하는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 납치사건으로 위기에 처했던 박정희 정권이 이른바 문세광 사건을 계기로 돌파하려 했으며, 일본 측도 분명한 실체 규명보다는 정략적인 타협을 택한 것 아니냐는 것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 납치사건은 골자는 이렇다.

1972년 10월 유신정권 출범 즈음에 신병치료를 위해 일본으로 건너갔던 김 전 대통령이 일본에서 한국의 민주화를 염원하는 동포들과 함께 한국민주회복통일촉진국민회의(한민통)를 결성하자 그에 당황한 박 대통령과 중앙정보부가 한민통 결성식 일주일 전인 1973년 8월8일 납치를 강행한 것.

 

사건 직후 일본 측은 납치사건의 범인을 주일 한국대사관 김동운 1등 서기관 등 일당의 소행으로 결론을 내렸다. 박 정권이 그 배후라고 지목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당시 박 정권은 납치 자체가 실패한 것도 큰 충격이었지만 범행 일체가 백일하에 드러나면서 국제적으로 도덕적 위기에 몰리게 됐다는 점에서, 특히 일본에게는 `낯을 들 수 없는' 처지가 된 셈이다.

 

이게 바로 한일 양측의 `거래'가 시작되는 배경이다. 그런 상황에서 1974년 8월15일 저격범 문세광에 의한 박 대통령 저격사건이 발생한다.

 

사건 직후 저격범이 문세광이라는 재일 한국인으로 요시이 유키오라는 이름의 일본여권 소지자라는 사실이 드러나자 당시 노신영(盧信永) 외무부 차관은 우시로쿠(後宮) 주한 일본대사를 불러 "일본측이 일본인도 아닌 문세광에게 일본 여권을 발급해준 것은 분명히 일본측에 하자가 있다"며 발급 경위를 추궁한다. 한국 측의 `강공'은 이에 그치지 않는다.

 

당시 일본 측은 `재일 한국인의 범죄로서 일본 정부는 법률적 도의적 책임이 없다'는 입장을 보였으나, 한국 측은 들끓는 반일감정을 내세우며김종필(金鍾泌) 국무총리까지 나서 일본을 몰아부쳤다. 이에 일본 정부가 "도의적 책임까지 없다고 한 것은 지나쳤다"며 엄중한 수사를 할 것을 약속했다.

 

그럼에도 한국 측은 김 총리가 당시 다나카(田中) 일본 수상에게 친서를 보내"한일관계에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으름장을 놓는 가 하면 김동조(金東祚) 외무부 장관과 국회까지 나서 한일 관계를 우려했다. 이례적으로 박 대통령까지 나선다.그 해 8월30일 박 대통령이 우시로쿠 대사를 불러 사실상 `단교 위협'에 가까운 대일 강경조치를 전했다. 그 내용에는 이른바 문세광 사건을 대하는 일본측의 태도로 우방국 여하를 판단하겠으며 일본 측이 성실한 자세를 보이지 않는다면 한일간 기본조약도 재고할 수 있다는 의지가 담겨 있었다. 일국의 대통령이 일개 대사를 부른 것은 극히 드문 일로 통상적인 외교경로의 차원을 넘어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 측은 양국관계를 우려, 한국 측 요구대로 자국내에서 문세광 사건 수사에 착수하게 된다. 그리고 수사결과, 그 내용이 한국 측과 상당한 거리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문세광에 대한 사형 집행을 이유로 수사를 영구미제로 남겨둔 채 서둘러 종결한다. 김대중 납치사건의 범인으로 지목한 주일 한국대사관의 김동운 1등서기관에 대한 수사도 벌이지 않았음은 물론이다. 이외에 박 대통령 저격사건은 국내 정치적인 역학구도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는 지적이다.

 

김대중 납치사건으로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이 물러난 자리에 임명된 신직수씨가 박정희 대통령 저격사건으로 옷을 벗게 되며 그 몇년후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게 될 김재규씨가 그 자리에 오르게 되며, 대통령 경호실도 일명 `피스톨 박'으로 통하던 박종규씨가 사건의 책임을 지고 물러나고 차지철 시대가 열리게 된 것이다.

 

특히 차지철 경호실장은 별도의 정보라인을 운영하면서 중앙정보부의 보고를 가로채는 `월권'을 하게 되고, 이런 과정을 통해 중앙정보부장의 위상은 쪼그라들고 경호실장은 팽창하는 권력중심 이동이 생기게 됐다는 게 당시 정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이러한 왜곡된 권력구조가 1979년 10월26일 김재규 당시 중앙정보부장의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의 토양이 됐다는 시각도 있다.

 

 

김대중 납치사건 [김대중 납치, 김대중 사건]

김대중 사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80년 신군부의 거짓 사건에 대해서는 김대중 내란음모사건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김대중 납치사건(金大中拉致事件)은 일본으로 망명 중이던 김대중1973년 8월 8일 오후 1시경 도쿄호텔 그랜드팰리스 2210호실 부근에서 대한민국 중앙정보부 요원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에게 납치되어, 8월 13일에 서울의 자택 앞에서 발견된 사건이다.

 

사건의 배경

김대중은 1971년의 대통령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출마, 민주공화당 후보였던 박정희 현직 대통령에게 94만 표 차이로 석패했다. 박정희는 신승을 거두었지만, 민주주의 회복을 요구하는 김대중에게서 위기감을 느꼈다. 대선 직전 서울 동교동의 김대중 후보 자택에 폭탄이 배달되는 사건이 벌어졌으며, 대통령 선거 직후 열린 제8대 총선 과정에서는 지원유세에 나선 김대중이 탄 차량으로 14톤 대형트럭이 돌진하는 사건이 터진다. 김대중은 이 사고로 인해 골반 관절 부위에 부상을 당했다. 신변에 위협을 느낀 김대중은 교통사고 후유증과 지병의 치료차 일본으로 건너갔고, 1971년 11월, 국가 비상사태가 선포되고 이후 10월 유신이 선포되면서 일본으로 망명하는 길을 선택한다. 이후 일본과 미국을 중심으로 박정희 반대 투쟁과 민주화 운동을 진행했다.

박정희는 1972년10월 유신을 선포했다. 유신을 선포하기 전 박정희의 측근인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은 평양을 방문하여 김영주 조직지도부장과 회담을 가졌고, 그 답례로 박성철 제2부수상이 5월 29일부터 6월 1일까지 서울을 방문하여 이후락 부장과 회담을 가졌다. 그 결과 7월 4일에 조국통일 촉진을 위한 원칙에 대한 합의가 담긴 남북공동성명이 발표되었다. 이 역사적인 회담 결과 한국에서는 이후락에 대한 평가가 급상승했고, 박정희의 후계자라는 설까지 나돌게 되었다.

그런데 수도경비단장인 윤필용이 이후락과의 대화 중 “대통령이 나이가 드셨으니 후계자를 골라야 한다”라고 발언한 것이 알려졌고, 격분한 박정희는 두 사람 및 관계자를 체포하여 수사할 것을 명령했다. 그러나 측근이 반역자로 지목되는 상황은 박정희 정권에게 불리하기 때문에 이후락은 석방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후락은 박정희 대통령의 묵시적 승인 하에 박정희의 정적인 김대중을 납치할 계획을 세우게 되었다.[1]

 

사건 경위

김대중은 도쿄의 히비야 공원에서의 반(反)박정희 집회 참가를 앞두고 호텔 그랜드팰리스 2212호에 투숙하고 있었다. 1973년 8월 8일, 같은 호텔에 머물고 있던 양일동 한국민주통일당 대표의 초청을 받아 가진 회담을 끝내고 나오던 도중 누군가에게 습격을 당했고, 비어 있었던 2210호실에 감금되었다. 김대중은 이 방에서 마취약을 투여받아 의식이 없는 상태에서 오사카로 옮겨져 납치된 것으로 추정된다.

김대중은 나중에 “배를 탈 때 다리에 무게추를 달았다”고 증언했다. 바다에 수장될 위험이 있는 상황에 처해 있을 때 동해 일본측 해안에서 해상자위대 함정이 추격해 왔고, 사건이 발각될 것을 우려한 요원들은 계획을 변경하여 김대중을 부산까지 데려가서 풀어 주었다. 김대중은 납치 사건 닷새 뒤, 서울의 자택 앞에서 발견되었다.

 

사건 이후

사건을 조사한 일본 경찰은 주일 한국 대사관의 직원이 납치 집단에 포함되어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의 양해 없이 김대중을 납치해 한국으로 이송한 것은 일본의 주권을 침해한 것이라는 의견이 대두되었다. 1973년 8월 23일에 열린 참의원 법무위원회에서는 한국 정부기관의 관여 혐의, 주권 침해 여부, 김대중의 재도일(再渡日), 일본의 수사 상황 등을 정부 측에 물었다. 이에 대해 다나카 이사지 법무성 장관은 “나의 제6감으로 볼 때 이 나라 비밀 경찰의 소행이 틀림없다”라고 발언했다. 하지만 오히라 마사요시 외무성 장관은 사건에 대해 단정할 수는 없으며, (한국 정부의)해명 이후 일본의 태도를 결정하겠다고 답변했다. 이 사건으로 납치사건에 대해 동아일보를 비난한 논조를 올린 요미우리 신문은 대한민국 문교부로부터 1973년 8월 26일부로 요미우리 신문 서울지국에 대한 전면 폐국 명령을 받았다(사건이 종결된 후 요미우리 신문 서울지국은 1980년 1월 15일에 다시 개국하게 된다).

이어 한국 정부는 1973년 8월 25일 한국 대사관의 이상진 정무담당참사관을 통해 '일본 국회 등의 논의나 신문의 보도 등에서 한국 정부의 직원이 사건에 개입되어 있는 듯한 내용을 전개하는 것은 유감'이라는 뜻을 전달했다. 그러자 다나카 법무성 장관은 이러한 태도를 가리켜 "매우 괘씸한 변명이다"라고 지적하며, '한국 정부의 그러한 태도는 우리 국회에 대한 중대한 간섭'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1973년 9월 5일, 경시청은 주일 한국 대사관의 김동운 일등서기관을 용의자로 지목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일본 야당 측에서는 "한국 정부의 주권 침해에 대해 강력히 대응할 것"을 요청했으나 일본 정부 측은 "지금은 진상 규명이 첫째로, 현 단계에서는 주권 침해라고 볼 수 없으며, 지금과 같은 한국과의 관계를 변경할 생각은 없다"라고 답변했다.

1973년 9월 17일 한국 정부는 《김대중 납치 사건 수사 자료》를 발표하고, "용금호에 대해 면밀히 조사했으나, 현재까지 김대중 납치 용의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라고 일본 정부에 회답했다. 이어 9월 21일에는 일본 국회에서 내각 불신임안이 제출되었으나 부결되었다. 이 불신임안의 제출 이유에는 김대중 납치 사건이 포함되었다.

1973년 11월 1일, 한국 정부는 납치 사건에 대한 주일 한국 대사관 직원의 관여 혐의를 인정하고 사의를 표명하려는 의향을 표명했으며, 김동운 일등서기관을 면직시켰다(다만 이것은 김동운 일등서기관이 범인이라는 이유는 아니었다). 같은 날 박정희 대통령도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에게 납치 사건에 대해 공식 사과했다. 다음날에는 김종필 대한민국 총리가 일본을 방문해 다나카 총리와 회담을 가졌다.

이듬해인 1974년 8월 6일 일본 수사당국은 수사 보고서를 발표해 김대중 납치 사건의 범인 중 한 사람으로 김동운 일등서기관을 지목했다. 이에 한국 정부는 1974년 8월 14일에 그의 혐의에 대해 증거를 찾을 수 없었다고 일본 당국에 통보했다. 다음날에는 광복절 기념식장에서 일본에서 출생·성장한 재일 한국인 문세광이 박정희 대통령의 암살을 시도했다. 이로 인해 영부인 육영수가 피격되어 사망했으며, 시나 에쓰사부로 자유민주당 부총재가 9월 19일 일본 정부의 특사로 저격 사건의 진사를 위해 한국을 방문, 박정희 대통령과 회담을 가졌다.

1974년 10월 25일에 일본 당국은 한국 정부의 수사 결과는 납득할 수 없다며 상세한 설명을 요구했다. 한국 정부는 이 요청에 따라 1975년 7월 22일에 수사결과에 대해 다시 회답하면서, 사건 후 김동운 일등서기관의 직위 해제 이후 수사를 진행했지만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없어 1974년 8월 14일에 수사를 중단했으며, 이후 비밀리에 수사를 진행했으나 혐의를 입증할 증거가 없어 불기소 처분을 했으며, 이후 도쿄에서 그의 언동이 품위에 어긋난다고 보여 공무원의 지위를 박탈했다는 요지를 통보했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회답에 1975년 7월 23일미야자와 기이치 외무성 장관이 한국을 방문하여 양국의 정기 회담 개최에 합의하고 다음날 귀국했다. 귀국 즉시 미야자와 외무성 장관은 김대중 납치 사건의 결말이 지어졌다고 발언했다.

그러나 김형욱 전 중앙정보부장이 미국 의회에서 '김대중 납치 사건은 한국 중앙정보부의 범행'이라고 발언하면서 사건이 다시 불거졌다. 이어 1977년 7월 1일에 일본 교토통신과의 회견에서 증언을 두고 신빙성이 의심스럽다고 발언한 후쿠다 다케오 일본 총리를 비난하면서, "한일 두 정부가 반성하지 않고 계속해서 나의 명예와 신뢰성에 상처를 입혀 김대중 납치 사건의 진상에 대한 양국 국민의 눈을 가리려 한다면, 더욱 상세한 사실을 밝혀 양국 정부의 죄상을 고발하겠다"라고 밝혔다.

2006년 2월, 대한민국 외교통상부1947년부터 1974년 사이의 비공개 외교문서를 공개하였다. 이로 인해 당시 납치 사건과 관련된 많은 내용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본문 /워키백과/http://ko.wikipedia.org/wiki/%EA%B9%80%EB%8C%80%EC%A4%91_%EB%82%A9%EC%B9%98%EC%82%AC%EA%B1%B4

 

 

[와다하루키회고록] ‘대낮의 김대중 납치사건’ 한국 민주화운동 만나다

http://media.daum.net/culture/others/view.html?cateid=1026&newsid=20060901144609723&p=ha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