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떡쑥
Gnaphalium hypoleucum DC.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 떡쑥속
학명: Gnaphalium hypoleucum DC.
종코드(url_no): /이명: 푸른떡쑥, 가을푸솜나물, 가지떡쑥, 불떡쑥 /영명: Autumn Cudweed /꽃말: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러시아 / 한국(전역) /서식: /크기: 높이 30-60cm / 개화기: 8~10월
생약명: ▶全草를 天水蟻草(천수의초)라 하며 약용한다.
한해살이풀
국화과에 속한 한해살이풀. 높이 30~60센티미터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잎은 다닥다닥 붙어 난다. 8~10월에 황색 두상화(頭狀花)가 줄기와 가지 끝에 산방(繖房) 꽃차례로 핀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한방에서 전초를 약으로 쓴다. 우리나라 각지와 일본에 분포한다. 학명은 Gnaphalium hypoleucum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금떡쑥 /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plantPilbkNo=27334
-------------------------------------------------------------
분류군 : Compositae(국화과)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지며 중앙부의 잎은 다닥다닥 호생하고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이저이며 원줄기를 얼싸안고 길이 4~5㎝,너비 2.5~7㎜로서 표면은 녹색이며 잔털이 있고 뒷면에 백색 면모가 밀생한다.
수과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0.5mm정도로서 잔점이 있고 관모는 오백색汚白色이다.
꽃은 모두 두상화로서 8-10월에 황색으로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의 산방화서에 달리고 소화경은 길이 2-4mm이며 총포는 구상 종형이고 길이 4mm, 나비 6-7mm이며 포린은 5줄로 배열되고 건막질로서 황색이며 바깥 것은 짧고 뒷면에 백색 털이 있다.
높이 30-60cm이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벌어지며 솜털에 싸여있다.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러시아 / 한국(전역)
형태
1년초
크기
높이는 30~60㎝이다
희귀, 특산식물 정보
[자료부족종]
평가내용:자료부족종 / 국가단위
생육 환경
들에서 자란다.
이용방안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에 이용된다.
▶全草를 天水蟻草(천수의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에 채취한다.
②약효 : 祛風(거풍), 宣肺(선폐), 化痰(화담), 解濕毒(해습독)의 효능이 있다. 流行性感氣(유행성감기), 咳嗽時 痰多(해수시 담다), 喘息(천식), 濕疹(습진), 下肢潰瘍(하지궤양)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10-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보호방안
자생지 확인이 필요하다.
특징
떡쑥(P. affine (D. Don) Anderb.)에 비해서 잎 앞면은 녹색이며, 암술대가 화관보다 길므로 구분된다.
=============================================================================================================================
익생양술대전
금떡쑥
Gnaphalium hypoleucum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산과 들의 풀밭 /번식: 실생·분주
약효: 온포기 /생약명: 추서곡초(萩鼠曲草) /채취기간: 8~10월(개화기)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평온하며, 달고 쓰다. /독성여부: 있다. /1회사용량: 8~10g /주의사항: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줄기는 약간 딱딱하고 곧게 서며 위쪽에서 가지를 친다. 전체에 흰 솜털이 덮여 있다. 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고 떡에 넣어 먹기도 한다. 온포기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금서곡(金鼠曲)이라 하며 진해·거담·거풍에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외상에는 짓이겨 붙인다.
효능
주로 소화기·호흡기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거담, 거풍, 건위, 기관지염, 습진 식체, 위궤양, 지혈, 진해, 천식, 하리, 해독, 해수, 후두염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마야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양산박/조천래님, 노루발님, 곰보배추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노루발님,
=============================================================================================================================
바로가기
국화목 | 식물도감(植物圖鑑)
국화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떡쑥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금떡쑥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1. (4,903種중 1.가래과 - 650.국화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솜나물 (0) | 2016.06.21 |
---|---|
왜떡쑥 (0) | 2016.06.21 |
떡쑥 (0) | 2016.06.20 |
떡쑥속 (0) | 2016.06.20 |
불로화 (0) | 2016.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