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나팔꽃

호남인1 2016. 2. 15. 18:05

 

 

 

 

 

 

나팔꽃

Pharbitis nil (L.) Choisy

 

 

 

 

 

 

 

 

 

학명: Pharbitis nil (L.) Choisy

종코드(url_no): /이명: 털잎나팔꽃 /영명: Lobedleaf Pharbitis. Morning glory /꽃말: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강 > 가지목 > 메꽃과 > 나팔꽃속

원산지: 아시아 /분포: /서식: /크기: 길이 3m /개화: 7~8월

생약명: 종자를 牽牛子(견우자)라 하며 약용한다.

 

덩굴성 1년초

메꽃과(科)에 속한 한해살이풀. 줄기는 덩굴지고 왼쪽으로 2~3미터쯤 감아 올라가며, 잎은 세 갈래로 깊이 갈라졌다. 여름에 자색, 백색, 홍색 등의 나팔 모양의 꽃이 아침 일찍 피었다가 낮에는 오므라든다. 씨는 견우자라 하여 약재로 쓰인다. 원산지는 아시아이고, 학명은 Pharbitis nil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나팔꽃 / http://www.nature.go.kr/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plantPilbkNo=25511

 

 

 

 

 

 

-------------------------------------------------------------

분류군:Convolvulaceae(메꽃과)

 

 

잎은 호생하며 엽병이 길고 심장형이며 보통 3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끝이 날카롭거나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표면에 털이 있다.

삭과는 숙존악이 있고 구형이며 3실이고 각 실에 2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견우자(牽牛子)라고 하며 하제(下劑)로 사용한다.

 

꽃은 남자색, 백색, 적색 등 여러 색이 있고 7~8월에 피며 엽액에 1~3송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열편은 좁고 길게 뾰족해지며 뒷면에 긴 털이 난다. 화관은 지름 10-23cm로서 깔때기모양이다. 꽃봉오리는 붓끝모양이고 오른쪽으로 잡힌 주름이 있으며,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원줄기는 덩굴성으로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가면서 길이 3m정도 자라고 전체에 밑을 향한 털이 있다.

 

원산지

아시아 원산.

 

분포

관상용으로 흔히 심고 있다.

 

형태

덩굴성 1년초.

 

크기

길이 3m에 달한다.

 

생육 환경

기후와 토질은 별로 가리지 않으나 습한 곳이 생육에 좋다.

토양: 보통 /수분: 습윤

 

꽃/번식방법

씨앗으로 번식하는데, 대개는 직파법으로 재배한다.

▶씨뿌리기: 파종기는 5월초·중순경이 적당하다. 비가 온 후 습기가 있는 날 30cm의 간격으로 씨앗을 직파한다. 씨앗은 한 구멍에 2~3알씩 넣고 흙을 덮어준다.

 

재배특성

재배시간은 4월 상순부터 11월상순까지가 표준이나 前作(전작)이나 토지이용 관계로 5월중순부터 11월 중순쯤인 경우도 있다. 관리는 일손이 극히 안 든다. 생육하는데 따라서 덩굴을 척척 뻗어나게 해주고 꽃을 계속 피게 해 주면 좋다. 지면을 뻗어나가 서로 얼키게되므로 아래쪽으로 된 부분의 落果(낙과)는 피할 수 없다.

 

허실없이 완전하게 열매를 맺게 하기 위해서는 튼튼한 지주를 세우는 것이 좋으나 이렇게 할려면 많은 資材(자재)와 勞力(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放任(방임)으로 재배되고 있다. 김매기나 사이갈이도 생육 초기쯤에서 한두번 해줄뿐으로서 족하며, 줄기잎이 무성한 다음에는 그러할 필요도 없다.

결실기: 9월

 

 

 

 

이용방안

▶관상용.

 

종자를 牽牛子(견우자)라 하며 약용한다.

①7-10월 과실이 익었을 때 덩굴에서 잘라내어 쪼개서 종자를 꺼내어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나팔꽃의 종자는 pharbitin(樹脂配糖體類(수지배당체류)), nilic acid, gallic acid를 함유한다. Pharbitin은 혼합물이며 oxyfatty acid의 각종 carbonic acid ester의 배당체이다. 化(감화)에 의해서 얻을 수 있는 pharbitic acid는 적어도 4종류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이다. 이 밖에 alkaloid로서 lysergol, chanoclavine, penniclavine, isopenniclavine, elymoclavine을 함유한다.

③약효 : 瀉水(사수), 降氣(강기), 살충의 효능이 있다. 浮腫(부종), 喘滿(천만), 痰飮(담음), 脚氣(각기), 蟲積食滯(충적식체-기생충에 의한 소화불량), 大便秘結(대변비결)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0.3-1g을 丸劑(환제) 혹은 散劑(산제)로 만들거나 또는 5-10g을 달여서 복용한다.

 

보호방안

햇빛이 잘 들고 잘 통하는 過乾(과건), 過濕(과습)한 토지는 좋지 않으나, 그 밖에서는 잘 생육한다. 나팔꽃은 고온기가 길수록 무성하므로 기후로서는 고온기가 긴 지성이 알맞는다고 말할수 있다. 이 식물은 열대지방이 원산으로서 고온을 좋아하므로 寒冷地(한냉지)나 高冷地(고랭지)에서는 수량이 적고 품질도 좋지 않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좋다.

 

유사종

▶둥근잎나팔꽃(P. purpurea)

 

병충해정보

줄기잎을 식해하는 해충은 적다. 모의 시절에 거염벌레 따위의 뿌리를 잘라 먹는 해충이 약간 있을 정도이다.

병해로서는 큰무늬병(斑紋病(반문병):Cercospora ipomoeae WINT.)과 점무늬병(斑點病(반점병))의 2종이 있으며, 대부분 큰 무늬병이 많다. 病徵(병징)은 처음에는 잎이 암갈색의 圓形(원형) 또는 多色形(다색형)의 병무늬를 만들고, 병무늬는 물러서 비가 계속 오면 구멍이 뚫어지는 수도 있다. 또한 이 병무늬가 넓어짐에 따라서 다른 병무늬를 합하고 또한 다른 잎으로 感染(감염)하고, 결국 잎은 말라서 떨어진다.

 

방제방법

큰무늬병은 빠른 것은 처음 꽃이 필 때쯤부터 보이기 시작한다.

보통은 8월 중순~9월상순의 高溫期(고온기)로서, 바람이 잘 통하지 않은 곳, 질소비료 과용으로 지나치게 무성했을때 火山灰質土壤(화산회질토양)에서 비료부족 상태가 길게 계속되었을때 등으로 나타난다. 두병 모두 6-6식 보드도액을 뿌려주면 된다. 특히 이병은 한곳에 발생하면 급속하게 번지므로 발견되면 즉시 약제살포를 해야 한다.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천지님,

 

 

 

 

 

 

 

============================================================================================================================

바로가기

 

가지 | 식물도감(植物圖鑑)

메꽃 | 식물도감(植物圖鑑)

나팔꽃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나팔꽃  (0) 2016.02.15
미국나팔꽃속  (0) 2016.02.15
흰메꽃  (0) 2016.02.15
흰큰메꽃  (0) 2016.02.15
큰메꽃  (0) 2016.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