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둥지란
학명: Neottia nidus-avis var. manshurica Kom.
종코드(url_no): 22982 /이명: 홍산무엽란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백합강 > 난초목 > 난초과 > 홍산무엽란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평북 대홍산), 일본 /서식: 숲속의 부식질이 많은 곳 /크기: 높이 15~45 cm /개화: 5∼6월
생약명:
다년생부생식물
숲속의 부식질이 많은 곳에서 자라는 부생식물(腐生植物)이다. 높이 15~45 cm이고 잎이 없으며 짧은 뿌리줄기에 육질근이 총생한다. 막질비늘조각이 밑에 달리고 위에는 수상꽃차례가 자라서 많은 꽃이 밀생한다. 꽃은 5∼6월에 피고 칙칙한 황색이며 지름 6∼7 mm이다. 꽃받침조각과 옆에 달린 꽃잎은 도란형이고 길이 5∼6 mm이다. 순판(脣瓣)은 옆에 달린 것보다 2.5∼3배 길고 중앙까지 2개로 갈라진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Orchidaceae(난초과)
잎이 없다.
막질비늘조각이 밑에 달리고 위에는 수상꽃차례가 자라서 많은 꽃이 밀생한다. 꽃은 5∼6월에 피고 칙칙한 황색이며 지름 6∼7 mm이다. 꽃받침조각과 옆에 달린 꽃잎은 도란형이고 길이 5∼6 mm이다. 순판은 옆에 달린 것보다 2.5∼3배 길고 중앙까지 2개로 갈라진다.
근경은 짧고 육질근이 총생한다.
근경(根莖)은 굵고 짧으며 가는 뿌리가 사방으로 많이 나와 새둥지모양을 이룬다.
한국(평북 대홍산), 일본에 분포한다.
높이 15~45 cm이다.
숲속의 부식질이 많은 곳에 난다.
여름에 전초와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주요 성분으로 쿠마린이 들어 있다. 민간에서 전간(癲癇)치료에는 우려낸 액체를 먹으며 헌데, 치질에는 달인 물로 씻는다.
============================================================================================================================
한국 야생난 한살이백과
홍산무엽란
Neottia nidus-avis (L.) L. C. Rich.
별칭: 새둥지란
출산/개화시기: 5~6월 /분포지역: 평북(대흥산)
생육특성
홍산무엽란은 평북(대흥산)에서 나는 다년생 균근식물이다.
생육환경은 나무 아래에서 약한 빛을 받으며 낙엽이 쌓여 부엽질이 아주 풍부하며 주변 상대습도가 높고 배수가 잘 되는 곳에서 자란다.
키는 15~45㎝이고, 잎은 칼집 모양으로 생겼으며 길이가 1.5~4㎝이다.
줄기는 전체가 황갈색이고 얇은 종이 같은 반투명한 막의 재질로 이루어진 칼집 모양의 잎이 어긋나며 윗부분에는 갈색의 짧은 선모가 있거나 혹은 없다. 뿌리줄기는 곧바로 서고 위쪽으로 향하는 많은 뿌리가 식물처럼 더부룩하게 모여 나며 안에는 공생하는 오키오마이시스(Orcheomyces)의 균사가 들어 있다.
꽃은 길이가 0.4~0.7㎝로 오황(汚黃)색이며 긴 꽃대에 꽃자루가 있는 여러 개의 꽃이 어긋나게 붙어서 밑에서부터 피기 시작하여 끝까지 피고, 포는 3각상으로 뾰족하다. 꽃잎과 꽃받침조각은 길이는 약 0.5㎝ 정도이고 거꾸로 선 달걀 모양으로 뒷면은 한 개의 맥이 있고 끝이 둔하며, 입술꽃잎의 길이는 1~1.2㎝로 깊게 2개로 나누어져 있고 둥근 돌출부는 안쪽에 작은 점이 있으며 긴 타원형이고 암술대는 길이가 약 0.4㎝ 정도이다.
============================================================================================================================
국립생물자원관
새둥지란
Neottia nidusavis (L.) Rich. var. manshurica Kom.
서식지: 침엽수림 /국내분포: 양강도, 평안북도 /해외분포: 러시아(사할린, 아무르, 우수리), 일본, 중국
개요
침엽수림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짧으며 가는 뿌리가 나와서 새둥지 모양처럼 된다. 줄기는 밤색이며 높이 25-45cm로 곧게 자라며, 줄기집 모양을 한 길이 1.5-4cm의 비늘잎 3-5장이 어긋난다. 꽃은 5-6월에 피며,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칙칙한 노란색이다. 포는 삼각형이고 막질이다. 꽃받침과 곁꽃잎은 긴 타원형으로 꽃받침이 약간 더 길다. 입술꽃잎은 도란형으로 밑부분이 깊게 2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로 도란상 타원형이다. 우리나라 북부지방에 자생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뿌리줄기는 굵고 짧으며 가는 뿌리가 나와서 새둥지처럼 된다. 줄기는 밤색, 곧게 자라며 높이 25-45cm, 아래에 줄기집 모양의 비늘잎 3-5장이 어긋나며 길이 1.5-4cm이다. 꽃은 줄기 끝에서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포는 막질이며 삼각형, 길이 5-6mm이다. 꽃받침은 긴 타원형, 길이 4-5mm, 폭 2.5mm, 끝은 둔하다. 곁꽃잎은 긴 타원형, 꽃받침보다 약간 짧다. 입술꽃잎은 도란형, 길이 1cm, 밑부분이 2갈래로 깊게 갈라진다. 열매는 삭과, 도란상 타원형, 길이 7-8mm, 폭 4-5mm이다.
생태
여러해살이풀로 부생란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6-7월에 익는다.
이용
관상용
해설
한라새둥지란(N. kiusiana T. Hashim. &Hatus)에 비해 전체가 크고 포엽의 길이가 1/2 정도이므로 구분된다.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현진오, 나혜련)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갈매빛/崠駐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키큰나무님,
이종순님, /http://www.shilla.or.kr/gboard/bbs/board.php?bo_table=flower_gallery&wr_id=2923&page=14&page=14
============================================================================================================================
바로가기
난초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홍산무엽란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새둥지란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2. (4,903種중 651. 굴거리나무과 - 1317. 때죽나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릅나무속 (0) | 2016.01.21 |
---|---|
한라새둥지란 (0) | 2016.01.21 |
애기무엽란 (0) | 2016.01.21 |
홍산무엽란속 (0) | 2016.01.21 |
콩짜개란속 (0) | 2016.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