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방풍

호남인1 2015. 12. 27. 21:10

 

 

 

 

 

 

방풍

학명: Ledebouriella seseloides (Hoffm.) H.Wolff

 

 

 

 

 

 

 

 

 

 

 

종코드(url_no): 24992 /이명: 가는잎방풍, 개방풍, 신방풍 /영명: /꽃말: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  > 산형화목  > 산형과  > 방풍속

원산지: 중국 /분포: 제주, 중부·북부 지방 /서식: 건조한 모래흙으로 된 풀밭 /크기: 높이 1m.

생약명: 根(근)은 防風(방풍), 엽은 防風葉(방풍엽), 花(화)는 防風花(방풍화)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 초본(3-4년 후 열매를 맺은 뒤에는 죽는다.) 

미나리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 모양은 어긋나고 깃꼴로 갈라져 있다. 여름에 흰 꽃이 피며 뿌리는 약재로 쓴다. 학명은 Ledebouriella seseloides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방풍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4992&mn=KFS_28_01_02_01

 

 

 

 

-------------------------------------------------------------

잎은 호생하고 긴 엽병의 밑부분이 엽초로 되며 3회우상복엽이고 열편은 선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굳으며 많은 근생엽이 한군데에서 총생한다. 

 

분과는 편평한 넓은 타원형이고 한쪽이 납작한 종자를 결실한다. 

 

꽃은 7~8월에 피고 백색이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의 복산형화서에 많이 달리고 총산경 끝에서 5개 정도의 소산경이 갈라지며 각각 많은 소화가 달린다. 5개의 꽃잎은 안쪽으로 굽고 수술은 5개로서 황색 꽃밥이 달린다.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단일하나 밑으로부터 많은 가지를 내어 전체가 둥근 모양을 이루어 바람으로 굴러다니면서 씨를 떨어낼 수 있도록 되었으며 털이 없다. 

 

황백색으로서 방추형으로 되어 있다. 

 

중국 원산이다. 

북부지방에 다소 생산되나 중·남부지방에서는 별로 볼 수 없다. 

다년생 초본(3-4년 후 열매를 맺은 뒤에는 죽는다.)  

 

기후조건은 우리 나라 각지 특히 중·남부지방에서도 생산 할 수 있다. 토질은 적당한 습기가 있는 모래참흙이 가장 좋다. 

광선: 보통 

 

씨앗으로 번식한다. 따라서 직파법 또는 육묘 이식법으로 재배하는데, 육묘 이식법이 좋다. 

결실기: 9월, 10월 

 

 

 

 

 

 

=============================================================================================================================

생약명

 

 

根(근)은 防風(방풍), 엽은 防風葉(방풍엽), 花(화)는 防風花(방풍화)라 하며 약용한다.

 

⑴防風(방풍)

①봄, 가을에 채취하여 莖葉(경엽)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방풍에는 정유, mannitol, 苦味配糖體(고미배당체)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發表(발표), 祛風(거풍), 勝濕(승습),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外感風寒(외감풍한), 두통, 目眩(목현), 首筋硬直(수근경직), 風寒濕痺(풍한습비), 筋骨酸痛(근골산통), 四肢急痛攣急(사지급통연급), 파상풍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4.5-9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쓴다.

<외용> 粉末(분말)을 조합하여 塗布(도포)한다.

 

⑵防風葉(방풍엽)

①약효 : 중풍으로 인한 열로 땀이 많이 나는 것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3-9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防風花(방풍화)

①약효 : 心腹痛(심복통), 四肢拘急(사지구급), 行履不得(행이부득), 經脈虛羸(경맥허리), 筋骨間疼痛(근골간동통)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0.5-4.5g을 달여서 복용한다.

 

 

 

 

 

 

 

 

=============================================================================================================================

익생양술대전

 

 

방풍(防風)

 

별칭: 진방풍(眞防風)·산방풍(山防風)

학명: Ledebouriella seseloides

분포지역: 제주, 중부·북부 지방 /해외분포: 몽골, 러시아(시베리아, 아무르, 우수리), 중국(동북부)

생약명: 방풍(防風) /자생지역: 건조한 모래흙으로 된 풀밭 /번식: 실생·분주

약효: 뿌리 /채취기간: 10월~이듬해 4월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성: 따뜻하며, 쓰고 맵다. /독성여부: 약간 있다. /1회사용량: 4~6g

주의사항: 약간의 독이 있어 주의를 요한다. /동속약초: 갯방풍·갯기름나물·기름나물의 뿌리

 

뿌리에서 많은 뿌리잎이 모여난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3회 깃꼴겹잎으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선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고 약간 딱딱하다. 잎자루는 위쪽으로 갈수록 짧아지는데 밑 부분이 잎집으로 된다.

 

7~8월에 흰 꽃이 줄기 끝과 가지 끝에 겹산형 꽃차례로 많이 달려 핀다. 양성화이다. 꽃줄기 끝에서 5개 정도의 작은 꽃대가 갈라지며 꽃대마다 작은 꽃이 많이 달린다. 작은 꽃차례받침은 5~6개이며 댓잎피침형이다. 5개인 꽃잎은 안쪽으로 굽는다. 수술은 5개이고 황색 꽃밥이 달린다. 씨방은 하위이다.

 

열매

10월에 납작하고 넓은 타원형의 분과가 달려 익는데 한쪽이 납작한 씨를 결실한다. 어릴 때는 돌기가 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방풍나물이라고도 한다. 뿌리는 황백색의 방추형이다. 줄기는 하나이지만 밑에서 많은 가지를 내서 전체가 둥근 모양을 이루어 바람에 굴러다니면서 씨를 떨어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체에 털이 없다. 씨에서 싹이 난 지 3년 만에 꽃이 피고 스러지는데 열매를 맺은 뒤에는 죽는다. 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부드러운 어린잎은 식용하는데 옛날에는 어린 싹을 따서 죽에 섞어 먹기도 했다. 2년생 뿌리를 방풍이라 하며 약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효능

주로 운동계를 다스리며, 풍과 열증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감기, 관절염(화농성관절염), 냉한, 담, 두통, 복통, 습진, 신경통, 안면신경마비, 온풍, 유방동통, 유행성감기, 자한, 중독(식중독, 아편중독), 중풍, 진통, 통풍, 풍, 풍독, 풍열, 피부소양증, 해열, 현훈증소아질환: 경풍

 

 

 

 

 

 

 

=============================================================================================================================

식재의 재발견

 

 

방풍

 

학명: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영양 성분: 칼륨, 칼슘, β-카로틴

 

방풍은 예전에는 주로 약용식물로 사용했지만, 지금은 어린잎과 뿌리 모두를 사용할 수 있는 건강 식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향긋하면서도 쌉싸름한 맛의 방풍잎은 최근 웰빙 먹거리가 화두에 오르면서 새로운 식재료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방풍은 원방풍, 갯방풍, 식방풍 총 3가지 종으로 나뉜다. 식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종은 식방풍으로 발한, 해열, 진통을 진정하는 효능이 있다. 폐를 맑게 해주는 갯방풍은 강원도 강릉 일대에서 많이 수확되고 있다.

 

음식궁합

칼륨이 풍부한 방풍은 단백질이 풍부한 돼지고기와 먹으면 맛과 영양이 배가 된다.

 

방풍과 돼지고기

 

 

활용

파스타, 피자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일품 식재료

 

방풍잎을 파스타나 피자 등의 토핑으로 사용해 맛뿐만 아니라 시각적인 요소도 만족시킬 수 있다.

돌돌 말아 채 썬 방풍잎을 파스타 위에 올려 토핑으로 활용한 '방풍 파스타'는 보기에도 좋고, 맛도 좋아 일거양득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파스타뿐만 아니라 피자의 토핑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닭가슴살, 옥수수콘, 양파 등을 피자 위에 올린 후, 키위나 사과 드레싱으로 버무린 방풍채를 곁들이면 향긋한 맛을 동시에 느낄 수 있다.

 

방풍유자소스

다진 방풍잎과 유자 드레싱을 활용한 '방풍유자소스'는 상큼한 유자와 쌉싸름한 방풍잎이 조화를 이뤄 색다른 맛을 느낄 수 있다. 특히 방풍 유자소스를 월남쌈 위에 골고루 발라 오븐에 살짝 구우면 맛이 일품이다.(자료제공 : 여수시농업기술센터, 금오도방풍영농조합법인)

 

특징

방풍은 구하기 쉬운 식재료로 애피타이저 등 여러 가지로 활용할 수 있다. 즙으로 짜면 음용하기 편하고 요리에도 쉽게 이용 가능하다.

 

 

주요 생산지

1. 강원 강릉시

세부지역 : 해안가

수확시기 : 5월 말 ~ 10월

특징 : 강원 강릉시의 갯방풍은 현재로서는 생산면적이나 생산량이 많은 편은 아니지만, 점차 저변을 넓히고 있다.

 

2. 전남 여수시

세부지역 : 남면

수확시기 : 2월 말 ~ 6월 말

특징 :1. 금오도 방풍잎은 향긋하면서도 쌉싸래한 맛이 특징이다.

      2. 병해충이 적고 재배가 쉬워 친환경적 재배가 가능하다.

 

뿌리에는 해열·진통의 약리작용이 있어서 건조시켜 약재로 사용한다. 약성은 온화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달다. 감기로 전신에 통증이 있고 특히 관절과 근육에 동통이 심할 때 사용하면 열을 내려 주고 땀을 나게 하면서 통증을 가라앉힌다.

 

평소 체질이 허약하여 편두통이 있고 어지러운 증상을 느끼는 사람에게 유효하며, 피부질환에 습진이 생기고 소양증(搔痒症)이 심할 때도 많이 쓰인다. 빈혈로 두통이 있을 때에는 쓰지 않고, 강황(薑黃)·여로(藜蘆)와의 배합도 꺼린다.

 

대표적인 처방은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이 있다. 또, 옛날에는 어린싹을 따서 죽에 섞어 먹기도 하였다.

방풍 [防風]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두산백과

 

 

방풍[防風]

 

산형과의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kin:防風)의 뿌리 및 뿌리줄기를 사용해 만든 약재(한국, 중국, 일본).

 

방풍

방풍은 풍을 막아 준다는 뜻으로 풍병(風病)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약재이다. 병풍(屛風)이란 말도 이와 유사한 뜻으로 이명으로 사용되며 꽃의 향기가 강해서 난초나 향기 좋은 쑥에 비유되기 하였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약성은 맵고 달며 따듯하다.[辛甘溫]

 

방풍은 외감성 두통, 오한, 발열, 전신통, 인후통 등 모든 풍증(風症)에 효과가 있다. 풍한습의 사지관절동통, 파상풍, 근육경련, 중풍으로 인한 반신불수, 마비동통, 피부가려움증, 버짐 등에 쓰인다.

 

약리작용으로 해열, 항염증, 진경, 면역활성화, 항알레르기, 항궤양, 항균, 피부개선균 억제 등이 보고되었다.

 

방풍은 원주모양을 하고 있으며 아래쪽은 약간 가늘다. 바깥면은 엷은 갈색을 띠며 뿌리줄기의 윗부분에는 촘촘히 돌림마디모양의 세로주름이 있고 갈색의 털모양으로 된 엽초의 잔기가 붙어 있는 것도 있다. 뿌리에는 많은 세로주름과 가는 뿌리의 자국이 있다. 뇌두부위에 붓(筆)과 같은 잔털이 많으며 방사상무늬가 있다.

 

이명으로 중국방풍(中國防風), 원방풍(元防風), 회초(茴草), 병풍(屛風), 동예(銅藝), 동운(銅芸), 백비(百蜚), 백지(百枝), 회원(茴芸), 간근(蕳根), 필방풍(筆防風) 등이 있다.

방풍 [防風] (두산백과)

 

 

 

 

 

=============================================================================================================================

동의보감

 

 

主大風1)頭眩痛, 又主頭面去來風. 煎服末服皆佳[本草]2). ○ 治上部3)風邪之仙4)藥也[湯液]).

대풍으로 머리가 어지럽고 아픈 것과 두면풍이 갑자기 생겼다 없어졌다 하는 것[去來風]을 치료한다.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어도 좋다(『증류본초』).

○ 상초의 풍사를 치료하는데 아주 좋은 약이다(『탕액본초』).

 

각주

1 '大風'은 몹시 센 風邪를 말한다. 혹은 '腦風'과 같은 뜻으로 쓰이거나 혈이 허하여서 생긴 풍을 말하기도 한다.

방풍 [防風] (동의보감 제2권 : 외형편, 2008. 3. 10., 휴머니스트)

 

 

 

止汗, 又止盜汗. 水煎服之, 葉尤佳[本草].

방풍은 땀을 멎게 하고, 도한도 멎게 한다. 물에 달여 먹는데 잎이 더 좋다(『본초』).

방풍 [防風] (동의보감 제1권 : 내경편, 2002. 8. 19., 휴머니스트)

 

 

 

治四肢拘攣.煎湯服, 或丸服[本草]1).

팔다리가 당기고 떨리는 것을 치료한다.달여 먹거나 알약을 만들어 먹는다(『증류본초』).

 

각주

1 『證類本草』 卷七 草部上品之下總五十三種 「防風」(政和本 158쪽, 四庫本 306쪽). 원문과 들고남이 있다.

방풍 [防風] (동의보감 제2권 : 외형편, 2008. 3. 10., 휴머니스트)

 

 

 

治風脇痛.水煎服之[本草]1).

풍(風)으로 옆구리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물에 달여 먹는다(『증류본초』).

 

각주

1 『證類本草』 卷七 草部上品之下總五十三種 「防風」(政和本 157쪽, 四庫本 306쪽). 원문과 들고남이 있다.

방풍 [防風] (동의보감 제2권 : 외형편, 2008. 3. 10., 휴머니스트)

 

 

 

 

 

 

=============================================================================================================================

조선시대 식문화

 

 

방풍

 

정의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우리 나라의 산야에 자생하는 향약(鄕藥)의 하나로 약용식물로 재배한다.

 

역사

중국 북동부 화베이 내몽골 원산이며 약료작물로 재배한다.

 

활용음식

방풍의 어린 싹을 따서 죽을 쑤어 먹었다.

방풍죽이란 멥쌀에 방풍잎을 섞어 끓인 것으로 『도문대작 屠門大嚼』에서는 좋은 맛이 입안에 가득하여 3일이 지나도 가실 줄 모르는 향미로운 음식으로서 속간에서 으뜸가는 음식이라고 하였다.

또 『증보산림경제』 치포조(治圃條)에 방풍의 뿌리를 10월에 옮겨 이른봄에 나는 새싹으로 죽을 쑤면 그 맛이 매우 향미롭다고 기록되어 있다.

즉 “새벽이슬이 앉은 방풍의 새싹을 따다가 죽을 쑨다. 햇볕을 본 것은 좋지 않다. 멥쌀로 죽을 쑤어 쌀이 익고 반쯤 퍼졌을 때 방풍잎을 넣어 싼불에서 끓인다. 알맞게 되었을 때 차가운 사기그릇에 떠서 반쯤 식은 상태에서 먹는다. 반쯤 식은 상태로 죽의 적온을 맞추어 먹으면 그 향미가 더욱 가득하다.”고 하였다.

 

우리나라 음식에는 약이성 효과가 있는 식품을 음식에 적절하게 활용하였는데 방풍도 그 중의 하나이다.

 

기타

한방에서는 두해살이 뿌리를 감기와 두통 발한과 거담에 약으로 쓴다.뿌리에는 해열·진통의 약리작용이 있어서 건조시켜 약재로 사용한다. 약성은 온화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달다. 감기로 전신에 통증이 있고 특히 관절과 근육에 동통이 심할 때 사용하면 열을 내려 주고 땀을 나게 하면서 통증을 가라앉힌다.평소 체질이 허약하여 편두통이 있고 어지러운 증상을 느끼는 사람에게 유효하며 피부질환에 습진이 생기고 소양증(搔痒症)이 심할 때도 많이 쓰인다.

 

참고문헌

屠門大嚼 本草綱目 中藥大辭典(江蘇新醫學院 上海 科技出版社 1979).增補山林經濟 增補韓國食品硏究(尹瑞石 新光出版社 1974).

방풍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조선시대 식문화), 2003., 한국콘텐츠진흥원)

 

 

 

 

 

=============================================================================================================================

바로가기

 

산형과(미나리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미나리과(산형과)의 속 목록 | 식물도감(植物圖鑑)

방풍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5. - 4,903種중 (2733. 사초과 - 3470. 쐐기풀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전바디  (0) 2015.12.28
부전바디속  (0) 2015.12.28
바늘풀  (0) 2015.12.27
개미나리  (0) 2015.12.27
미나리속   (0) 2015.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