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고본

호남인1 2015. 12. 21. 22:52

 

 

 

 

 

 

고본

학명: Angelica tenuissima Nakai

 

 

 

 

 

 

 

 

종코드(url_no): 34704 /이명: 고번 /영명: /꽃말: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  > 산형화목  > 산형과  > 당귀속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만주, 시베리아 /서식: 심산지역 산록 /크기: 높이 30-80cm

생약명: 根莖(근경)및 根(근)을 藁本(고본)이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초본

미나리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80센티미터 정도이고 8~9월에 흰 꽃이 피는데 향기가 많이 난다. 뿌리는 한약재로 쓰이는데 두통, 진통, 진경(鎭痙), 통경제(通經劑) 등으로 사용한다.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Angelica tenuissima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고본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4704&mn=KFS_28_01_02_01

 

 

-------------------------------------------------------------

근생엽과 밑부분의 잎은 엽병이 길고 3회 우상으로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이고 윗부분에서는 엽병 전체가 엽초로 되어 굵어진다. 

 

분과는 편평한 타원형이고 길이 4mm정도로서 3개의 능선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꽃은 8-9월에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끝의 큰 산형화서에 달리고 총산경은 15-20개, 소화경은 20-22개이다. 포엽은 0-2개로서 총산경보다 짧으며 피침형이고 소포는 1-5개가 소화경보다 길며 꽃받침잎은 절두로서 밋밋하고 꽃잎은 5개로서 도란형이며 안으로 굽고 백색이다.

 

자방은 타원형이며 길이 0.5-1.5mm로서 녹색이고 수술은 5개이며 꽃밥은 자주색이다. 

높이 30-80cm이고 전체에 털이 없으며 향기가 강하다. 

 

뿌리를 복수초근(福壽草根)이라 한다. 

일본, 만주, 시베리아에 분포한다. 

심산지역 산록에서 자란다. 

 

 

 

 

 

 

 

 

=============================================================================================================================

생약명

 

 

根莖(근경)및 根(근)을 藁本(고본)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 가을에 캐어 莖葉(경엽)과 진흙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고본에는 精油(정유)가 들어 있고 그 주요성분은 3-butyl phthalide, cndilide다 根(근)에는 정유 1.5%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發表散寒(발표산한), 祛風止痛(거풍지통)의 효능이 있다. 風寒頭痛(풍한두통), 頭頂痛(두정통), 寒濕腹痛(한습복통), 설사, 산하, 風濕痛痒(풍습통양), 頭痛目腫(두통목종), 骨疼(골동) 및 春夏(춘하)의 傷寒(상한), 陽證頭痛(양증두통)에는 忌(기)한다. 

 

[ 藁本 ]

主風頭痛, 去頭風[本草]1).

○ 治巓頂痛, 腦齒痛. 引諸藥至頂上. 煎服末服並佳[丹心]2).풍두통을 치료하고 두풍을 몰아낸다(『증류본초』).

○ 정수리가 아픈 것과 골속과 이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고본은 다른 약의 기운을 정수리까지 끌고 간다

   [引經]. 달여 먹거나 가루내어 먹으면 좋다(『본초연의보유』).

[藁本] (동의보감 제2권 : 외형편, 2008. 3. 10., 휴머니스트)

 

 

 

 

육묘(育苗)

뿌리의 가뭄피해를 예방하는 것은 묘판에서나 본밭에서나 매우 중요한 일이다. 묘판에서는 흙의 적습상태가 유지되도록 3-4일마다 물을 주고 출아(出芽)하기 시작하면 덮었던 짚을 걷어버린다.

봄밭에서도 가뭄에는 항상 대비하여 미리부터 물을 자주 주어서 적습이 유지되도록 하여 싹이 나오면 짚을 깔아서 토양습기를 유지하도록 한다.

묘판기간에는 싹이 나온 뒤에 짚을 걷고 솎음을 겸하여 김을 매주어야 하며, 본밭에서는 웃거름주기와 겸하여 2-3번의 김매기를 해야한다.

또한 묘판기에는 9월 이후부터 꽃이 피기 시작하며, 본밭에서는 이보다도 이른 8월 상순부터 추태개화(抽苔開花)가 시작된다. 추태개화로 인하여 뿌리의 품질이 그리 나빠지지는 않지만, 뿌리의 비대(肥大)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채종용 이외의 것은 일찍부터 꽃봉오리를 제쳐버리는 것이 좋다. 

 

유사종

▶왜당귀(A. acutiloba Kitagawa): 일본 원산으로 우리 나라 각처에서 재배하는 다년초이다. 원줄기와 잎자루는 검은빛이 도는 자주색이다.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강하다. 

 

병충해

흰가루병과 노균병, 뿌리썩음병 및 줄기썩음병이 다소 발생한다. 토양해충 피해도 염려된다. 

 

▶흰가루병: 포리옥신이나 지오판수화제 1,000배액을 10a당 100ℓ씩 살포한다.

▶노륜병: 다코닐 및 다이젠 600배액이나 안트라콜 400배액을 살포한다.

▶뿌리썩음병 및 줄기썩음병: 종근을 우수풀룬으로 소독하여 심고 6월부터 8월까지 4번 정도로 6-6식 석회보르도액을 뿌려주면 된다. ※특히 유의할 것은 밭의 물빠짐을 잘 되게 하여 여름철의 습해(濕害)를 받지 않도록 해야 한다.

▶토양해충: 굼벵이나 거세미 피해가 염려되지만, 이것들에 대해서는 후란단 또는 다이아톤입제를 10a당 3~5kg를 밑거름과 같이 정식(定植)전에 밭에 고루 뿌려준다. 

 

 

 

 

 

 

 

 

=============================================================================================================================

익생양술대전

 

 

 

고본(藁本)

 

별칭: 지신(地新)·토궁(土芎)

학명: Angelica tenuissima

생약명: 고본(稿本) /자생지역: 깊은 산의 냇가나 바위틈, 산기슭 /번식: 씨

약효: 뿌리·꽃 /채취기간: 가을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특성: 따뜻하며, 맵다. /독성여부: 없다. /1회사용량: 뿌리 2~6g

주의사항: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어긋나는데 뿌리잎은 잎자루가 길고, 줄기잎은 잎자루 전체가 잎집으로 된다. 깃털 모양으로 3회 가늘게 갈라지는데 갈라진 조각은 가늘고 좁은 선 모양이다.

 

8~9월에 복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흰색의 오판화가 달려 피는데 큰 꽃자루는 10개쯤이며 작은 꽃자루는 많다. 꽃부리는 작으며 꽃받침조각은 5개가 안으로 굽는다. 수술은 5개이고 꽃밥은 자주색이다. 1개의 씨방은 하위이다.

 

열매

10월에 분과가 달려 익는데 편평한 원형이고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고본이라는 이름은 뿌리 위에 난 싹의 밑이 화고(禾藁 : 볏짚)와 비슷하다 하여 짚[藁]에서 나왔다[本]는 뜻에서 붙여졌다고 전해진다. 뿌리는 거칠고 큰 편이다.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친다. 전체에 털이 없고 향기가 많이 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한다. 복용 중에 맨드라미를 금한다.

 

효능

주로 운동계·피부과·부인과 질환을 다스리며, 치통에도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감기, 개창, 경련, 골절번통, 구충, 기미·주근깨, 대하증, 동통, 두통, 두풍, 발열, 변혈증, 복통, 부인병, 비뉵혈, 선창, 설사, 습진, 어혈, 월경과다, 유행성감기, 자한, 종독, 진통, 창종, 출혈, 치한, 치통, 토혈, 통경, 풍습, 해열

 

약초의 밑부분이 벼가 마른 것과 비슷하다고 하여 마를 고(藁), 뿌리 본(本)을 써서 고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고본이라는 이름은 당나라 ≪명의별록≫에 보면 “근상묘하(根上苗下)가 화고(禾藁 : 볏짚)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졌다.”고 하며, 명나라의 이시진(李時珍)은 옛 사람들이 이것을 향료로 많이 이용하였기 때문에 고본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

재배정보

 

 

 

1) 심는 방법

2년생에서 채취한 종자는 건실하지 못하고 풍산성을 유지하기 어려우므로 건실한 3년생에서 종자를 채취한다.

10월 중순~하순경에 종자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11월 초순에 파종하거나 노천매장 하였다가 봄에 일찍 파종한다.

 

생산력면에서는 직파재배가 유리하나 수량성이 낮고 규격품 생산이 어려우므로 육묘 이식 재배로 2년근을 생산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정식시기는 고랭지에선 4월 상순에, 중간 산지에서는 늦가을에 심는 것이 더 좋다.

정식 시 30cm 간격으로 깊은 골을 치고 10cm 간격으로 심는다.

묘는 크기별로 구분하여 중간묘를 1개씩 심고 묘가 부족하면 작은 묘를 2개씩 심는다.

 

 

번식방법

 

직파 및 육묘이식

(1) 가꾸기 포인트

꽃대가 8월 상순부터 올라오는 데 채종 할 것이 아니면 잘라 주는 것이 좋다. 추대하여 개화하면 뿌리가 비대생장을 하는데 지장을 준다.

 

 

 

2) 기후 및 토양

 

(1) 기후조건

비교적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란다.(중북부의 산간 고랭지에서 주로 재배)

 

(2) 토양조건

토심이 깊고 유기물 함량이 많으며 물빠짐이 좋은 식양질토나 사양질토가 적당하다.

 

 

 

3) 관리하기

 

(1) 거름주기

밑거름은 10a당 퇴비 1,500kg, 질소 4kg, 인산 6kg, 칼리 6kg을 주고 웃거름은 6월 중순과 8월 상순에 질소를 2kg씩 준다.

 

(2) 질병관리

ㆍ관련질병 - 토양선충, 흰가루병, 노균병토양선충은 뿌리에 기생하며 뿌리혹을 형성시켜 품질이 나빠지고 뿌리의 비대도 저해되어 수량이 감소된다.

화본과 작물과 윤작재배를 하고 묘에 선충이 이병되면 후라단 입제로 토양소독 후 심는다.

흰가루병과 노균병은 적용 약제를 살포하여 방제한다.

 

 

4) 수확하기

정식 후 당년 가을, 즉 줄기와 잎이 누렇게 변한 10월 하순에서 11월 초순 사이에 수확한다.

고본 [chinese lovage] (국립중앙과학관 - 식물정보, 국립중앙과학관)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청계(淸溪) / 이주경님, 거목님, 淸雅(청아)님, 相勳님, 유랑자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와룡산/노중현님,

 

 

 

 

 

 

 

 

=============================================================================================================================

바로가기

 

산형과(미나리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미나리과(산형과)의 속 목록 | 식물도감(植物圖鑑)

당귀 | 식물도감(植物圖鑑)

고본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5. - 4,903種중 (2733. 사초과 - 3470. 쐐기풀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메당근  (0) 2015.12.22
궁궁이  (0) 2015.12.22
지리강활   (0) 2015.12.21
갯강활  (0) 2015.12.21
삼수구릿대  (0) 2015.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