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시호
학명: Bupleurum latissimum Nakai
종코드(url_no): 35510 /이명: /영명: /꽃말: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쌍떡잎식물 > 산형화목 > 산형과 > 시호속
원산지: 한국(특산식물) /분포: 한국(경상북도 울릉군) /서식: 해안의 숲 속 /크기: 키 60cm
생약명: 根(근)을 柴胡(시호)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 초본
미나릿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 60센티미터 내외로, 잎자루가 긴 잎이 밑부분에서 뭉쳐나며 위로 올라가면서 잎자루가 없어진다. 7~8월에 황색 꽃이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달린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울릉도에 분포한다. 학명은 Bupleurum latissimum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거의 2줄로 배열되어 호생하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청색이며 근생엽은 총생하고 엽병은 길이 12-18cm로서 밑부분이 넓으며 안쪽에 있는 것과 원줄기를 감싼다. 엽신은 넓은 난형이고 11맥이 있으며 끝이 뾰족하고 밑부분이 수평이거나 심장저로서 갑자기 좁아지며 길이 6~13cm, 폭 4.5~11cm이고 가장자리는 파상(波狀)이다.
밑의 경생엽은 짧은 엽병에 날개가 있으며 원줄기를 감싸고 11개의 조선이 있으며 윗부분의 것은 엽병이 없고 긴 타원상 난형이며 완전히 원줄기를 감싼다. 총포와 작은 총포는 각각 5장, 끝이 뾰족하고 밑은 심장형이다.
꽃은 황색으로 줄기나 가지끝에 겹산형화서로 달린다. 포엽과 소포엽은 각 5개이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이 심장저이고 소화경과 자방에 털이 없다. 꽃받침은 거의 없으며 꽃잎은 도란형이고 황색으로서 안쪽으로 굽으며 끝이 뾰족하고 5개의 수술은 꽃잎과 호생하며 꽃밥은 난형이고 황색이다.
높이가 60cm에 달하고 털이 없으며 세로로 능선이 있다.
근경이 갈라진다.
해안의 숲 속에 난다.
생약명
▶根(근)을 柴胡(시호)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과 가을에 뿌리를 캐어 莖苗(경묘)와 진흙을 제거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表(표), 裏(리)의 和解退熱(화해퇴열), 疏肝解鬱(소간해울), 昇腸(승장)의 효능이 있다. 寒熱往來(한열왕래), 胸滿脇痛(흉만협통), 口苦耳聾(구고이농), 두통, 目眩(목현), 下痢脫肛(하리탈항), 월경불순, 子宮下垂(자궁하수), 말라리아를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9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멸종위기 2급] [특산식물] [멸종위기종] 평가내용:멸종위기종 / 국제단위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섬시호
개설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Ⅱ급에 해당하는 식물로 한때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어 표본만 전해지다가 최근에 자생지가 여러군데에서 발견되었다. 일본인인 나카이(Nakai)가 처음 발견하여 일본의 학회에 보고하였으며, 그 후 계속된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울릉도에만 살고 있는 특산식물로 밝혀졌다.
형태
높이 60㎝까지 자라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뿌리와 줄기는 굵고 갈라지며 털이 없고, 세로로 능선이 있다. 잎은 표면이 녹색이고 뒷면이 회청색이며, 거의 두 줄로 배열된다. 넓은 달걀모양인 잎은 11맥이 있고, 밑부분이 심장저로 갑자기 좁아지며, 길이 6~13㎝ 정도이다.아래쪽 잎은 잎자루에 날개가 있고 원줄기를 감싸며 위부분의 잎은 날개가 없다. 꽃은 7~8월에 피고 황색이다. 소화경(小花梗)과 씨방에 털이 없고, 포엽(苞葉)[꽃의 아래에서 봉오리를 싸는 잎]과 소포엽은 난형이며, 각각 5개이다.
생태
울릉도의 바닷가의 숲속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현재 자생지가 많이 파괴되어서 절벽 부근만 남아있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표리의 화해퇴열, 소간해울, 승양 등에 효능이 있으며, 한열왕래, 흉만협통, 목현, 하리탈항, 월경불순, 자궁하수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 이창복, 『대한식물도감』(향문사, 1980)
• 이유미·이원열,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도감』(생명의나무, 1997)
• 『울릉군 원색식물도감』(울릉군, 2002)
• 고경식·전의식, 『한국의 야생식물』(일진사, 2003)
• 이유미, 『한국의 야생화』(다른세상, 2003)
• 김무열, 『한국의 특산식물』(솔과학, 2004)
• 신현탁,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우신출판사, 2005)
출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솜다리님, 혜원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Happy님, 오월구름님, 한상국님,
=============================================================================================================================
바로가기
산형과(미나리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시호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섬시호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5. - 4,903種중 (2733. 사초과 - 3470. 쐐기풀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나물속 (0) | 2015.12.14 |
---|---|
좀시호 (0) | 2015.12.14 |
개시호 (0) | 2015.12.12 |
돈나무 - 진도교육청 (0) | 2015.12.10 |
풍란의 개화 2015년 (0) | 2015.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