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원추리
학명: Hemerocallis minor Mill
종코드(url_no): 37835 /이명: 참칼원추리, 애기넘나물 /영명: Small Yellow Daylily /꽃말: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원추리속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서식: 산지 /크기: 화경(花莖)은 높이 0.5-1m
생약명: 根(근)은 萱草根(훤초근), 幼苗(유묘)는 萱草嫩苗(훤초눈묘), 화뇌는 金針菜(금침채)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초본
백합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산지에서 흔히 자란다. 골잎원추리와 비슷하나 전체적으로 작다. 잎이 뿌리에서 모여 나는데 좁고 길며, 7~8월에 잎 사이에서 꽃줄기가 나와 등황색의 꽃이 밤에만 핀다. 열매는 삭과(蒴果)이며, 어린잎과 꽃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한다. 학명은 Hemerocallis minor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대생하여 서로 얼싸안고 길이 40cm, 폭 6-10mm로서 황록색이며 잎 표면에 깊은 골이 생기지 않는다.
삭과는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오목하게 들어가고 뒤쪽이 벌어져 검은색 종자가 나온다.
꽃은 6-7월에 피며 연한 황색이고 화경(花莖)은 높이 0.5-1m로서 윗부분이 약간 갈라지며 3-6개의 꽃이 달리고 저녁때 피었다가 다음날 아침에 시들며 화피열편은 길이 10cm정도로서 뒤로 젖혀지지 않고 통부는 가늘고 길다. 수술은 6개이며 화피보다 짧고 암술대는 길다.
뿌리는 방추형이고 타원형의 굵은 괴근이 생긴다.
전국의 산지에 주로 분포한다.
화경(花莖)은 높이 0.5-1m.
주로 높은 산의 해발이 낮은 지대에서 배수가 잘되고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생육한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다른 원추리 종류들이 반그늘에서 잘 자라는데 비해 강한 광선하에서도 잘 자라며 약간의 시비도 좋아한다. 대단히 강건한 식물이므로 특별한 관리는 필요없다.
파종기: 7월 /이식기: 4월, 9월, 10월, 11월 /결실기: 7월 /분주기: 4월, 9월, 10월, 11월
이용
▶어린 잎을 보통 식용으로 하지만 꽃도 데쳐 말렸다가 식용으로 한다.
▶초장이 짧고 잎이 보춘화를 연상시킬 정도로 아름다우며 개화시기가 빠르고 개화기간이 길게 지속되므로 군락으로 식재하거나 지피용 소재로 매우 유망하다. 특히 여러 종류의 원추리를 한데 모아서 식재하면 식물의 형태는 물론 개화기간이 각기 차이가 나므로 경관조성에 매우 효과적이다.
생약명
▶根(근)은 萱草根(훤초근), 幼苗(유묘)는 萱草嫩苗(훤초눈묘), 화뇌는 金針菜(금침채)라 하며 약용한다.
⑴萱草根(훤초근)
①가을에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깨끗이 씻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H. minor 根(근)에는 asparagine, colchicine이 함유되어 있고 H. middendorffii의 根(근)에는 γ-hydroxyglutamine酸(산), asparagine, tyrosine, ficin, arginine, 호박酸(산), 유산, friedeline, β-sitosterol-d-glucoside, 安息香酸(안식향산) ethylester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利水(이수), 凉血(양혈)의 효능이 있다. 水腫(수종), 배뇨곤란, 淋濁(임탁), 帶下(대하), 황달, 鼻出血(비출혈), 혈변, 崩漏(붕루), 乳癰(유옹-유선염), 石淋(석림-요로결석증)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9g을 달여 복용하거나 짓찧어 즙을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⑵萱草嫩苗(훤초눈묘)
①약효 : 利濕熱(이습열), 寬胸(관흉), 消食(소식)의 효능이 있다. 胸膜煩熱(흉막번열), 황달, 小便赤澁(소변적삽) 등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신선한 것 15-30g을 달여 복용한다.
⑶金針菜(금침채)
①약효 : 利濕熱(이습열), 寬胸膈(관흉격)의 효능이 있다. 小便赤澁(소변적삽), 夜少安寢(야소안침), 痔瘡血便(치창혈변)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개화시기 및 모양이 보춘화로 착각하기 쉬워서 일반인들이 춘란이라 하여 남획하고 있으므로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되고 있다. 따라서 국민들의 계몽이 필요하고 자생지를 철저히 보호하여야 한다. 번식이 용이하므로 대량증식에 의해 관상식물 등으로 경제적인 이용을 하여 개체수를 늘리고 자생지외 보존을 한다.
특징
▶골잎원추리와 비슷하지만 식물체가 작고 화경(花莖)이 그리 갈라지지 않으며 꽃의 수가 적고 잎 표면에 깊은 골이 생기지 않는다.
▶다른 원추리 종류들에 비해 키가 작고 개화시기가 빠르며 개화기간이 길다. 왜성의 원추리로서 새로운 원예품종의 육성을 위한 기본종으로 보존할 필요가 있는 식물유전자원이다.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 식물
애기원추리
학명: Hemerocallis minor Mill.
개요
산지의 풀숲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선형이며, 길이 40cm이다. 꽃줄기는 잎 길이와 비슷하다. 꽃은 6-7월에 피며, 꽃줄기 끝에 1-3개가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7-14mm이다. 수술은 6개로 화피보다 짧고 꽃밥은 검은색이다. 열매는 삭과로 도란형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러시아, 몽골, 중국에도 분포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기른다.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러시아(아무르, 우수리), 몽골, 중국(동북부)
서식지/생육지: 산지 풀숲
형태
잎은 선형, 길이 40cm, 폭 7mm, 끝은 아래로 굽는다. 꽃줄기는 잎 사이에서 나오며, 잎의 길이와 비슷하다. 꽃은 1개 또는 2-3개가 꽃줄기 끝에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7-14mm이다. 화피편은 2줄로 붙으며 외화피편은 폭 7-9mm, 내화피편은 보다 넓다. 수술은 6개, 화피보다 짧고 꽃밥은 검은색이다. 열매는 삭과, 도란형, 길이 3-5cm이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6-7월에 피고 열매는 8-9월에 익는다.6)
이용 및 활용
관상용,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7)
해설
골잎원추리(H. coreana Nakai)에 비해 전체가 작고 잎 표면에 골이 생기지 않으며 꽃줄기가 갈라지지 않으므로 구분된다.
애기원추리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 식물,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애기원추리
학명: Hemerocallis minor Miller
크기: 40~100cm /개화시기: 6월~7월 /분포지: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
일반적특징
다년초로 뿌리에 타원형의 굵은 괴근이 생기며 화경은 곧추서고 높이 40~100㎝이다. 잎은 대생하여 서로 얼싸안고 선형으로 길이 40㎝, 너비 5~10㎜이며 황록색으로 상부가 뒤로 젖혀진다.꽃은 6~7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고 잎 사이에서 나온 화경 끝에 3~6개의 꽃이 달리며 저녁 때 피었다가 다음날 아침에 시든다. 화통부는 가늘고 길며 화피 열편은 길이 약 10㎝로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6개로 화피보다 짧고 암술대는 길다. 삭과는 넓은 타원형으로 끝이 파지고 뒤쪽이 터져 종자가 나온다.
본종은 골잎원추리에 비해 전체가 작고 잎 표면에 깊은 골이 생기지 않으며 화경이 갈라지지 않고 꽃은 연한 황색이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뿌리는 약용으로 쓰인다.
생태적특징
원야나 산지 경사면에 군생한다. 전도에 나며 만주, 중국, 몽골,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출처: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이우철, 1996. 11. 15., 아카데미서적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귤나라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윤재영님, namddll/申正淳님, 김영식님, 뚜럼^^*임경팔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정왕동짱(윤여준)님,
=============================================================================================================================
바로가기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원추리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애기원추리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큰원추리 (0) | 2015.07.13 |
---|---|
왕원추리 (0) | 2015.07.12 |
백운산원추리 (0) | 2015.07.09 |
노랑원추리 (0) | 2015.07.08 |
골잎원추리 (0) | 2015.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