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꽃풀
학명: Chionographis japonica (Willd.) Maxim.
종코드(url_no): 37901 /이명: 실마리꽃 /영명: /꽃말:
분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실꽃풀속
원산지: 한국 /분포: 일본 / 한국(제주도) /서식: 습윤한 계곡내의 낙엽수림하부의 바위 또는 나무들 틈에 착생 /크기: 높이 30cm
생약명:
다년생초본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30cm 정도이며, 근생엽은 뭉쳐나고 경엽은 어긋나고 거꾸로 된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5~7월에 흰색 수상화가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이다. 숲에서 자라는데 제주도 한라산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근생엽과 경생엽이 있으며 밑부분에서는 총생하고 근생엽은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다소 파상이고 털이 없으며 길이 3-8cm, 폭 1.5-3cm로서 엽병의 길이가 불규칙하고 경생엽은 선상 피침형이다.
삭과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3-3.5mm이고 종자는 길이 3mm정도로 각 실(室)에 2개씩 들어있고 피침형이며 한 쪽에는 백색의 꼬리가 달려 있다.
꽃은 5-7월에 피며 수상화서는 길이 4-20cm로서 많은 꽃이 달리고 양성화와 수꽃이 있으며 화피열편은 6개로 뒷면의 것은 길이 7-9mm이고 앞쪽의 것은 수술과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은 6개이며 암술은 1개이고 상위자방으로서 암술머리는 3개이다.
높이 30cm정도 된다.
짧은 지하경이 있다.
일본 / 한국(제주도)
반상록성 또는 상록성의 다년초이다.
높이가 30cm이다.
▶습윤한 계곡내의 낙엽수림하부의 바위 또는 나무들 틈에 착생하여 자란다.
광선: 음생 / 내한성: 중간 /토양: 보통 /수분: 습윤
반그늘 상태에서 보습성과 배수성이 적절한 사질양토에 재배한다. 중부지방에서도 노지에서 반상록성으로 월동이 가능하다.
파종기: 4월, 10월, 11월 /이식기: 4월, 5월, 6월, 9월, 10월, 11월 /결실기: 7월, 8월, 10월
이용
▶내음성이 강하고 반상록성 또는 상록성이므로 실내조경용 소재로 사용하면 좋다. 개체가 작고 꽃이 앙징스러워 초물분재로도 적합하며 지피식물로도 좋다.
보호방안
숲 가장자리에 자라며 자생지가 5곳 미만으로 개체수가 많지 않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위기종] 평가내용:위기종 / 국가단위
특징
▶반상록성 또는 상록성의 다년초이다. 한라산 자생지에서 한 겨울철에 상록으로 월동하는 것인 확인되었다.
▶속명에서 희랍어의 "chion(눈)"과 "graphe(붓)"의 합성어로 눈처럼 흰꽃이 핀다는 뜻이다.
=============================================================================================================================
두산백과
실꽃풀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Chionographis japonica
분포지역: 한국(제주)·일본 /서식장소/자생지: 산지의 숲속 /.크기: 높이 약 30cm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약 30cm이다. 줄기는 짧고 굵은 뿌리줄기에서 나온다. 잎은 밑에서 모여 나오고 거꾸로 선 바소 모양이며 길이 3∼14cm, 나비 1.5∼3cm이고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줄기에 달린 잎은 줄 모양이거나 바소꼴이다.
꽃은 5∼7월에 흰색으로 피고 바소꼴의 잎이 달린 꽃줄기 끝 수상꽃차례에 달린다. 꽃줄기는 15∼50cm, 꽃차례는 길이 5∼20cm이다. 여러 개의 꽃이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핀다. 화피갈래조각과 수술은 6개씩이고 암술은 1개이다. 씨방은 상위(上位)이고 공 모양이며, 암술머리는 3개이다. 열매는 삭과(殼果)로서 긴 타원형이며 길이 3∼4mm이고 8월에 익는다. 종자는 길이 2∼3mm이고 타원 모양이다.
실꽃풀이란 가늘은 화피갈래조각이 실같이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제주도)·일본에 분포한다.
실꽃풀 (두산백과)
=============================================================================================================================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실꽃풀
학명: Chionographis japonica (Willd.) Maxim.
크기: 15~50cm /개화시기: 5월~7월 /분포지: 한국, 일본
일반적특징
다년초로 지하경은 짧고 화경은 높이 15~50㎝이며 선형 또는 피침형의 잎이 있다. 근엽은 로제트상으로 총생하며 도피침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3~8㎝, 너비 1.5~3㎝이고 끝은 약간 둔하며 밑은 좁아져 엽병으로 되고 가장자리는 잔 물결 모양이다.
꽃은 5~7월에 백색으로 피고 많은 꽃이 수상으로 달리며 화서는 길이 4~20㎝이고 아래쪽에서부터 피기 시작한다. 양성화와 수꽃이 있으며 화피편은 6개이고 뒷면의 것은 길이 7~9㎜이며 앞쪽의 것은 수술과 길이가 비슷하다. 수술은 6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자방상위이고 암술머리는 3개이다. 삭과는 장타원형으로 길이 3~3.5㎜이고 종자는 각 실에 2개씩 들어 있다.
본종은 Chionographis koidzumiana Ohwi (일본)에 비해 화서가 길고 꽃이 밀생하며 외측의 화피편은 선형으로 끝이 약간 넓고 꽃밥은 2실로 떨어져 난다.
생태적특징
산지의 숲 속에 난다. 제주에 나며 일본에 분포한다.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이우철, 1996.11.15, 아카데미서적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나그네/夫南基님, 산과들님, 코시롱님, 섬지기/임경팔님, 요정님, mack님, 몽돌/정호찬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회색늑대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애기물매화님, 오름에피는꽃님,
=============================================================================================================================
바로가기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실꽃풀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로에속 (Aloe)의 종 (0) | 2015.04.30 |
---|---|
대체 암 치료법 (0) | 2015.04.22 |
황금솜대 (0) | 2015.04.18 |
자주솜대 (0) | 2015.04.18 |
왕솜대 (0) | 201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