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옥잠화

호남인1 2015. 4. 8. 03:52

 

 

 

 

 

옥잠화

학 명: Hosta plantaginea (Lam.) Aschers.

 

 

 

 

 

 

 

종코드(url_no): 35811 /이 명: 비녀옥잠화, 둥근옥잠화 /영명: Fragrant Plantain Lily /꽃말: 기다림, 원망, 아쉬움, 침착하고 조용함

분 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비비추속

원산지: 중국 /분포: /서식: /크기: 화경(花莖) 길이 40-56cm

생약명: 花(화)를 玉簪花(옥잠화), 根莖(근경)을 玉簪花根(옥잠화근), 葉(엽)을 玉簪葉(옥잠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초본

백합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심장 모양의 잎이 굵은 뿌리줄기에서 모여 나며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이다. 8~9월에 자줏빛이나 흰빛의 꽃이 피며 종자에는 날개가 있다. 중국이 원산지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옥잠화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5811&mn=KFS_28_01_02_01

 

 

 

 

-------------------------------------------------------------

잎은 엽병이 길며 길이 15-22cm, 폭 10-17cm로서 녹색이고 난원형이며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심장저이며 가장자리는 파상으로서 8-9쌍의 맥이 있고 밋밋하다. 

 

삭과는 삼각상 원주형이며 길이 6.5cm, 지름 7-8mm로서 밑으로 처지고 종자는 가장자리에 날개가 있으며 10월에 익는다. 

 

화경(花莖)은 길이 40-56cm정도인데 더러 1m이상되는 것도 있고 1-2(4)개의 포가 달리며 꽃은 총상으로 달리고 포는 2개이며 밑의 것은 길이 3-8cm로서 긴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고 녹색이다. 화관통부는 담자색이고 길이 11.5cm정도로서 가운데 부분부터 깔때기모양으로 벌어지는데 꽃잎은 약간 뒤로 젖혀져 있다. 꽃은 아침에 피고 해가 지면 오므라 든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와 길이가 비슷하고 암술은 한 개다. 

 

근경이 굵다. 

 

중국원산 

전국에 널리 재배한다. 

다년생 초본. 

화경(花莖)은 길이 40-56cm 정도 된다. 

 

옥잠화가 잘 자라는 토질은 사질양토 및 점질양토이며 습기가 있는 토양이면 대부분 잘 자란다. 

번식법에는 분주법, 생태육종법, 종내잡종법, 계통분리법 등이 있는데 주로 분주법에 의하여 많이 번식되고 있다. 

결실기: 10월 

 

이용

▶관상용

▶엽병을 식용한다.

 

 

 

 

 

생약명

花(화)를 玉簪花(옥잠화), 根莖(근경)을 玉簪花根(옥잠화근), 葉(엽)을 玉簪葉(옥잠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玉簪花(옥잠화)

①약효 : 咽喉腫痛(인후종통), 小便不通(소변불통), 瘡毒(창독), 燒傷(소상)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2.5-3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⑵玉簪花根(옥잠화근)

①성분 : 根(근)에는 coumarin類(류), triterpinoid, 다당류, amino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消腫(소종), 해독, 지혈의 효능이 있다. 癰疽(옹저), 나력, 咽腫(인종), 토혈, 골경(목안에 魚骨(어골)이 걸려 있는 것)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9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짓찧어서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⑶玉簪葉(옥잠엽)

①약효 : 癰疽(옹저), 정창, 蛇咬傷(사교상), 蟲刺傷(충자상)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신선한 것을 3-9g 달여 복용한다. 또는 짓찧어서 낸 즙을 술에 타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즙을 塗布(도포)한다. 또는 즙을 귀에 點滴(점적)한다. 

 

유사종

▶긴옥잠화 (var.japonica HIKUTI et MAEKAWA) : 잎이 보다 길고 꽃이 좁으며 열매를 맺지 못한다. 

 

특징

근경(根莖, 뿌리줄기)이 굵은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비비추속(Hosta) 식물들에 비해서 중국 원산으로서 재배하며, 잎은 크고, 꽃은 흰색이므로 구분된다

 

 

 

 

 

 

=============================================================================================================================

 

두산백과

옥잠화

[ fragrant plantain, 玉簪花 ]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은 8∼9월에 피고 흰색이며 향기가 있고 총상으로 달린다.

학명: Hosta plantaginea

원산지: 중국 /크기: 꽃줄기 높이 40∼56cm, 포 길이 3∼8cm

 

옥비녀꽃, 백학석이라고도 한다. 중국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많이 총생한다.

 

잎은 자루가 길고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심장저로서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이고 8∼9쌍의 맥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흰색이며 향기가 있고 총상으로 달린다. 6개의 꽃잎 밑부분은 서로 붙어 통 모양이 된다.꽃줄기는 높이 40∼56cm이고 1∼2개의 가 달리며 밑의 것은 길이 3∼8cm이다. 화관은 깔때기처럼 끝이 퍼지고 길이 11 cm 내외이며 수술은 화피의 길이와 비슷하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세모진 원뿔 모양이고 종자에 날개가 있다.

 

꽃말은 ‘추억’이다. 잎이 보다길고 드문드문 달리며 꽃의 통이 좁은 것을 긴옥잠화(var. japonica)라고 하며 열매를 맺지 못한다.

 

옥잠화 [fragrant plantain, 玉簪花] (두산백과)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옥잠화

 

 

다른 표기 언어 玉簪花

학명: Hosta Plantaginea ASCHERS.

원산지: 중국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내용]

옥잠화라는 이름은 꽃봉오리가 옥비녀 같다는 데서 얻어진 것이다. 학명은 Hosta Plantaginea ASCHERS.이다. 중국원산이며 우리 나라 각지에서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으나 전래의 경로와 시기는 미상이다.

 

옥잠화는 뿌리줄기가 굵다. 잎은 긴자루가 있으며, 길이 15∼22㎝, 너비 10∼17㎝로서 녹색이고 타원형이며 끝은 갑자기 뾰족해지고 밑부분은 심장형이며 8, 9쌍의 엽맥(葉脈)이 있다. 꽃대[花基]는 길이 40∼56㎝로서 1, 2개의 포(苞)가 달리며 여름철에 담자색 깔때기 모양의 꽃이 총상(總狀)으로 달린다.

 

꽃은 석양에 만개하고 다음날 아침에 진다. 과실은 삭과(蒴果)로 긴 타원형이며 3개로 갈라진다. 어린 잎은 나물로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소종(消腫)·지혈·해독의 효능이 있어 약재로 사용한다. 약성은 한(寒)하고 감신(甘辛)하며 옹저(癰疽)·유옹(乳癰)·임파선염·인후염·토혈·붕루(崩漏) 등에 치료제로 쓰인다.

 

참고문헌

• 『약용식물학『(임기흥, 동명사, 1961)

• 『한국동식물도감 제5권-식물편-』(정태현, 문교부, 1965)요약 테이블

 

 

 

 

 

 

=============================================================================================================================

 

한국화재식물도감

옥잠화

 

 

학명: Hosta plantaginea (Lam.)

개화시기: 8월~9월

꽃말: 기다림, 원망, 아쉬움, 침착하고 조용함

 

특징

Hosta Plantaginea의 변종으로 한국의 정원이나 화단에서 많이 볼 수 있는 노지 숙근초화이다.

 

잎은 원종에 비해 긴 타원형으로 끝은 뾰족하고 엽병은 길다. 잎과 꽃대는 길이가 40~50㎝ 정도 되고 근생한다. 엽면은 엽맥이 오목하게 들어가 또렷하게 나타나고 황록색으로 광택이 난다. 꽃은 길게 나온 꽃대 끝에 여러 개가 순백색으로 피는데 향기가 있다. 저녁에 활짝 피어 아침에 지며 8~9월에 개화한다. 꽃 형태는 통 모양으로 길며 기부는 좁고 끝 부분은 퍼져서 6개로 갈라져 있다. 수술은 기부에 유착되어 있고 수술과 암술의 끝이 구부러진다.

 

절화 재배로 이용하며 잎은 떡을 싸는 장식품으로도 이용된다. 원산은 동아시아의 아한대부터 온대에 약 40종이 분포한다. 화재응용 산야에는 많은 종류가 자생하고 관상용으로 정원에 재배되는 일도 많다.

 

꽃가게에 나오는 것은 주로 잎 면이 큰 종류와 잎의 가장자리에 흰색 또는 황색의 반점이 들어 있는 종류가 있는데 절엽이 각각의 잎의 면에 달리는 평행맥이 아름답다.

 

넓은 잎의 경우에는 잎의 표면을 앞으로 향하게 해서 그 잎이나 그늘의 색채적인 초화를 배치시켜 꽂거나 긴 잎을 살려서 편편한 화기 등에 많은 송이를 세워 올려 그 밑에 꽃을 배치하는 꽃꽂이 방법을 하기도 한다. 또 줄옥잠화 등은 잎의 표면을 살리는 등 단순한 잎 종류로서 그 밖의 꽃류 등의 밑부분을 장식하거나 덮거나 하는 재료로서 하는 경우도 있다. 어쨌든 이 화재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살려서 꽂아야 한다.

 

소량이지만 옥잠화 꽃의 계절에 절화로 꽃봉오리 것을 1~2송이 선택해 수반화, 투입화 등에 이용하고 있다.

 

물올리기 : 물속자르기.

배합 : 아가판서스, 수국, 회향, 강아지풀, 터어키도라지, 큰까치수염, 큰고랭이, 속새, 캉가루포, 코스모스, 사르비아, 부들, 델피니움, 베어그래스, 백합류.

 

옥잠화 (한국화재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

 

유기농 채소 기르기 텃밭백과

옥잠화

 

 

원산지: 중국 /특징: 관상용으로 재배.연한 잎줄기를 나물로 이용.여러해살이풀

역사: 도입시기 미상

 

비비추와 마찬가지로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꽃, 뿌리, 줄기를 한약 재료로 이용한다. 봄에 돋아나는 연한 잎줄기는 나물로 먹는다. 약간 그늘이 지는 곳에서 잘 자란다. 요새는 길가 또는 정원의 낙엽수 아래 조경용으로 많이 재배한다. 추위에 견디는 능력이 탁월하며, 빽빽하게 심어두면 수분보존도 되고 토양유출을 방지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꽃은 비비추와 비슷한데 길게 뻗은 꽃대에 달리는 흰 꽃이 훌륭하다.

 

씨앗 및 모종 구하기

번식은 씨앗이나 포기나누기로 가능하다. 가을에 씨앗을 받아 바로 파종하거나,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씨앗에 의한 번식보다는 포기나누기를 하는 편이 훨씬 수월하다. 포기나누기는 가을에 잎이 말라가는 시기 또는 봄에 새순이 자라기 시작 할 무렵이 좋다. 싹이 되는 눈을 2~3개 붙여 쪼개서 심는다. 주변의 야생화 화원에서 화분을 구입해 가꾸어도 된다. 나는 도로공사를 하느라 파헤쳐놓은 화단 철거 현장에서 몇 포기를 캐내 심었다.

 

자라는 모습

옥잠화는 자라는 상태와 모양이 비비추와 아주 흡사하다. 이른 봄에 싹을 틔워 잎을 성장시키고 여름이 되면 꽃대를 세워 차례로 꽃을 피운다. 옥잠화는 심고 몇 년이 지나면 뿌리가 우거지고 여러 개의 새싹이 동시에 자란다. 흰색의 꽃이 상당히 아름답다.옥잠화는 한두 포기 있을 때보다는 무리지어 한꺼번에 핀 꽃이 보기 좋다. 공원이나, 유원지 등의 나무 그늘 아래 무리지어 핀 흰색의 옥잠화꽃은 초가을의 정취를 느끼게 한다.

 

관리

옥잠화를 재배하는 데 별다른 주의사항은 없다. 다만 오랜 기간 같은 장소에서 기르다보면 뿌리와 줄기의 번식이 왕성한 쑥 같은 풀이 우거져 관리가 아주 힘들어진다. 조기에 풀을 정리해서 풀이 엉기지 않게 한다.특별한 병충해가 없어 좋다. 옥잠화는 약간 비옥한 곳에서 잘 자란다. 그래서 장마가 끝나는 7월 중순에 포기 주변의 흙을 조금 긁어내고 퇴비를 한줌 주면 좋다. 주변의 풀을 정리해 옥잠화 포기 주변을 덮어준다.

 

옥잠화 (텃밭백과(유기농 채소 기르기), 2012.3.2, 도서출판 들녘)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예비농부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 박원님,

Blue Gull 님의 블로그 / http://blog.daum.net/yunsb/7698788

 

 

 

 

 

 

 

=============================================================================================================================

바로가기

 

백합 | 식물도감(植物圖鑑)

비비추 | 식물도감(植物圖鑑)

옥잠화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넓은옥잠화  (0) 2015.04.08
긴옥잠화  (0) 2015.04.08
흰비비추  (0) 2015.04.07
흑산도비비추  (0) 2015.04.07
해인비비추  (0) 2015.04.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