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층층둥굴레

호남인1 2015. 4. 2. 20:45

 

 

 

 

 

층층둥굴레

학 명: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종코드(url_no): 27934 /이 명: 수레둥굴레 /영명: /꽃말:

분 류: 식물계  > 속씨식물문  > 백합강  > 백합목 > 백합과  > 둥굴레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만주,아무르,우수리 /서식: 강이나 수로주변 /크기: 높이 30-90㎝ 

생약명:

 

다년생초본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30~90cm이며, 뿌리줄기으로 뻗어 번식하고 피침 모양이다. 6~7월에 연한 노란색 짧은 꽃대 아래향하여 달리고 열매과(漿果)로 9월에 검게 익는다. 어린잎뿌리는 식용하고 충북 이북분포한다. (Polygonatum stenophyllum)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층층둥굴레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7934&mn=KFS_28_01_02_01

 

 

 

 

 

-------------------------------------------------------------

잎은 3-5개가 윤생하며 좁은 피침형 또는 선형이고 큰것은 길이 11㎝, 폭 5mm이지만 보통 길이 5-11㎝, 폭 5-10mm로서 표면은 녹색, 뒷면은 분백색이며 양끝이 좁고 밑부분이 점점 좁아져서 직접 원줄기에 달린다. 

 

장과는 둥글고 흑색으로 익는다. 

 

꽃은 6월에 피며 연한 황색으로서 잎겨드랑이에 윤상으로 달리고 짧은 화경에 2개의 꽃이 밑을 향해 달리며 소포는 각각 2개씩이다. 화경(花梗)은 길이 2mm이고 소화경은 길이 3mm이다. 

 

굵은 근경이 옆으로 뻗으며 번식한다. 

 

한국,만주,아무르,우수리 

중국 / 한국(경기도 가평군, 파주시; 강원도 삼척시, 양구군, 영월군, 정선군, 춘천시, 홍성군; 충청북도 단양군) 

높이 30-90㎝ 

▶굵은 근경이 옆으로 뻗으며 번식한다. 

▶연한 순과 근경을 식용으로 한다. 

 

강이나 수로주변에 자라며, 농업 및 산업화로 인해 자생지가 파괴되고 있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위기종] 평가내용:위기종 / 국가단위 

 

 

 

 

 

 

=============================================================================================================================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층층둥굴레

 

 

학명: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크기: 30~90cm /개화시기: 6월~7월

분포지: 한국, 중국, 러시아

 

일반적특징

다년초로 근경은 옆으로 길게 벋고 다소 비후하며 많은 수염뿌리를 내고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30~90㎝이고 전주에 털이 없다. 잎은 3~5개씩 윤생하고 좁은 피침형 또는 선형으로 길이 5~12㎝, 너비 5~10㎜이며 끝은 몹시 뾰족하고 밑은 둔하며 엽병이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표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분백색이다.

 

꽃은 6~7월에 연한 황색으로 피고 잎짬에 윤상으로 달리며 짧은 화경에 2개씩 밑을 향해 피고 소포는 각 2개씩이며 화경은 길이 2㎜, 소화경은 길이 3㎜ 정도이다. 장과는 구형이고 검게 익는다.

 

본종은 잎이 선형이고 3~5개씩 윤생한다. 잎끝이 갈고리같이 되는 것을 층층갈고리둥글레 Polygonatum sibiricum Delar라 하며 평남(을밀대)에 난다. 어린순과 근경은 식용한다.

 

생태적특징

산야에 난다. 충북(단양) 이북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에 분포한다.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이우철, 1996.11.15, 아카데미서적

 

 

 

 

 

=============================================================================================================================

 

몸에 좋은 산야초

층층둥굴레

 

 

학명: Polygonatum stenophyllum MAX.

개화기: 6~7월 /분포: 강원도와 경기도 이북

 

1. 특징

여러해살이풀로 굵게 살찐 땅속줄기가 길게 뻗어나가며 늘어난다.줄기는 가늘고 길며 곧게 서서 30~60cm 정도의 높이로 자라며 온몸은 밋밋하고 털이 없다.잎은 길쭉한 피침 꼴 또는 줄 꼴로 마디마다 4~5장이 둥글게 배열된다. 잎의 길이는 10cm 안팎이며 끝은 뾰족하다. 잎의 표면은 짙은 녹색인데 뒷면은 흰빛이 감돈다.줄기 중간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짤막한 2~3개의 꽃대가 자라 올라와 각기 2송이씩 꽃을 피운다. 꽃은 길쭉한 방울처럼 생겼으며 길이는 1.5cm 정도로 밑을 향해 피어난다. 꽃의 색채는 연한 황색이다.

 

2. 분포

강원도와 경기도 이북에 나며 산록지대의 풀밭이나 밭 가장자리에서 볼 수 있다.

 

3. 식용법

달콤한 맛이 나는 훌륭한 산채이다. 어린순을 그대로 튀겨 먹거나 데쳐서 나물로 무쳐 먹는다. 굵은 땅속줄기는 날것을 그대로 된장이나 고추장에 박아 장아찌를 담근다.

 

층층둥굴레 (몸에 좋은 산야초, 2009.11.15, (주)넥서스)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라비오님, 마야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lailaps/경희님, 거목님, 황정선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春川靈感/김인래님, 곰보배추님,

 

 

 

 

 

=============================================================================================================================

바로가기

 

백합 | 식물도감(植物圖鑑)

둥굴레 | 식물도감(植物圖鑑)

층층둥굴레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퉁둥굴레  (0) 2015.04.02
층층갈고리둥굴레  (0) 2015.04.02
종둥굴레  (0) 2015.04.02
왕둥굴레  (0) 2015.04.02
암수둥굴레  (0) 201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