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좀깨잎나무

호남인1 2015. 3. 14. 23:51

 

 

 

 

 

좀깨잎나무

학 명: Boehmeria spicata (Thunb.) Thunb

 

 

 

 

 

 

종코드(url_no): 29889 /이 명: 새끼거북꼬리, 신진좀깨잎나무, 점거북꼬리 /영명: Spicate Falsenettle /꽃말:

분 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쐐기풀목 >쐐기풀과 >모시풀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일본, 중국 /서식: /크기: 높이 50-100cm

생약명: 소홍활마(小紅活麻)

 

낙엽 활엽 반관목

잎지는 넓은잎 반 풀 반 작은키나무로 줄기가 여러 개 올라와 키 50~100㎝ 정도로 비스듬히 자란다. 가지가 비스듬히 퍼져 전체가 넓게 둥그스름해진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좀깨잎나무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9889&mn=KFS_28_01_02_01

 

 

 

 

-------------------------------------------------------------

잎은 대생하고 사각상 난형이며 길이 4-8cm, 너비 2.5-4cm로서 끝이 갑자기 꼬리처럼 길어지고 예저이며 표면에 복모가 있고 뒷면은 맥 위에만 털이 있으며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5-6개씩 있다. 엽병은 길이 1-3cm로서 붉은빛이 돈다. 같은 마디에 달리는 잎은 한쪽이 길고 한쪽이 짧은 것이 많다. 

 

열매는 수과로 긴 난형이지만 여러 개가 모여 달리기 때문에 둥글게 보이며 긴 암술대가 잔존하고 10-11월에 성숙한다. 열매의 끝에 털이 있다. 

 

꽃은 일가화지만 드물게 이가화도 있으며 7-8월에 피며 자화서는 줄기 윗부분의 엽액에, 웅화서는 밑부분의 엽액에 달린다. 수꽃은 4개씩의 화피열편과 수술이 있고 암꽃은 여러 개가 모여서 한군데 달리며 통형의 화피내에 1개의 자방이 있고 암술대는 1개이다. 

 

높이 50-100cm이고 줄기에 붉은 빛이 돌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가지가 가늘다. 월동하면서 끝부분이 말라 죽는다.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한다.  

햇빛이 잘 드는 양지쪽의 산골짝 시내 근처의 돌담이나 숲가장자리에서 비교적 흔히 군생한다. 

광선: 양생 

 

▶번식은 실생이나 삽목에 의한다. 가을에 익은 꼬리 같은 열매를 채취하여 정선한 다음 기건밀봉저장하였다가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결실기: 10월 

 

이용

▶껍질은 섬유가 발달되어 있어 섬유자원으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어린 순은 봄에 나물로 식용한다. 

 

유사종

▶왜모시풀(B. longispica Steud.): 잎은 난상 원형, 길이 12-19㎝, 끝이 약간 길게 뾰족하고, 톱니가 있으며, 양 면에 짧은 털이 있다.

▶개모시풀(B. platanifolia Fr. et Savat.): 줄기에 둔한 능선이 있고, 짧은 털이 밀생한다.

▶거북꼬리(B. tricuspis Makino): 줄기는 한 군데에서 여러 대가 나오며, 사각형, 붉은빛이 돈다. 잎은 길이 8-20㎝, 끝이 길게 뾰족하다. 

 

 

 

 

 

 

=============================================================================================================================

 

한국식물생태보감 1

좀깨잎나무

Spear false nettle

 

 

외국어 표기: 小赤麻, 小芹麻

학명: Boehmeria spicata (Thunb.) Thunb.

 

 

 

형태분류

 

줄기: 여러해살이로 반관목(半灌木) 초본이며, 기부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목질화되며, 약간 붉은빛을 띤다. 무리를 이룬다(群生).

 

: 마주나며(對生), 바닥(葉低)은 쐐기모양이고, 끝(葉先)은 꼬리처럼 생겼으며, 3맥이 뚜렷하다. 잎자루는 적색을 띤다.

 

: 7~8월에 잎겨드랑이(葉腋)에서 황녹색으로 피고, 이삭꽃차례(穗狀花序)다. 암꽃과 수꽃이 따로 피는 두집꽃(二家花)으로, 꽃잎 4개, 수술 4개가 있는 수꽃은 줄기 아랫부분에 달리고, 꽃잎이 합착해서 꽃잎 2개처럼 보이며 암술이 1개인 암꽃은 줄기 윗부분에 둥글게 모여 나면서 긴 이삭형상(穗狀)으로 배열된다.

 

열매: 10월에 수과(瘦果)로 익는다.염색체수: 2n=421)

 

 

 

생태분류

 

서식처: 숲 가장자리, 산록 비탈면 아랫부분, 암벽 아랫부분(基底), 산지 구릉지 개울가, 덤불 등, 반음지~양지, 적습(適濕)

수평분포: 전국 분포

수직분포: 산지대 이하

식생지리: 냉온대~난온대, 중국(주로 동부, 남동부), 만주 최남단 지역, 일본 (혼슈 이남) 등

식생형: 산비탈 임연식생(망토식물군락 > 소매식물군락)

종보존등급: [IV] 일반감시대상종

 

 

좀깨잎나무는 우리나라 산록 비탈면 아래에 흔하다.

식물사회학적으로 산간 계류의 숲 가장자리 식생 가운데 습한 식생형을 특징짓는 종이다. 연중 물기가 마르지 않는 환경조건이면서 특히 습윤한 토양환경조건이 최적지다. 산지에서도 산비탈 아랫부분 물기가 비치는 퇴적암 도랑가에서 자주 관찰되는 이유다.

 

종소명 스피카타(spicata)는 꼬리처럼 뾰족하게 길어진 꽃차례에서 붙여진 라틴명이다.

뵈흐메리아속(Boehmeria spp.)은 일반적으로 초본으로 분류되고, 줄기 껍질은 섬유질 원료, 어린 순은 식용한다. 이 가운데 좀깨잎나무는 목본으로 분류되며, 겨울이 되면 지상부의 줄기가 모두 말라서 고사한다.

 

한반도를 중심으로 동북아지역에 널리 분포하는데, 중국 길림성 동남부와 일부 내몽골 지역에서도 드물게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된다.

 

한글명 좀깨잎나무는 일본명이 힌트가 된 것이며, 새끼거북꼬리, 복마(伏麻)5)라고도 부른다. 일본명 고아까소(小赤麻, 소적마)는 삼(麻) 잎을 닮았으며, 줄기가 붉고(赤) 식물체가 작은 것(小)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좀깨잎나무 잎은 흔히 먹는 깻잎과 비슷한 느낌이 들지만, 먹지 않는다. 재배했던 모시풀(Boehmeria nivea)과 동일한 속에 포함되며, 섬유 자원으로 이용되기도 했다.

 

좀깨잎나무 [Spear false nettle, コアカソ] (한국식물생태보감 1, 2013.12.30, 자연과생태)

 

 

좀깨잎나무 꽃 (8월 17일)암꽃은 가지 끝 쪽에, 수꽃은 아래쪽에 핀다. 좀스런 깻잎 같다고 좀깨잎나무이며 지방에 따라 신진나무, 새끼거북꼬리라고도 한다.

 

 

 

 

=============================================================================================================================

 

약초도감

좀깨잎나무

 

 

 

학명: Boehmeria spicata (Thunb.) Thunb.

생약명: 소홍활마(小紅活麻)

 

1. 구분

쐐기풀과의 잎지는 넓은잎 반 풀 반 작은키나무로 줄기가 여러 개 올라와 키 50~100㎝ 정도로 비스듬히 자란다. 가지가 비스듬히 퍼져 전체가 넓게 둥그스름해진다.

 

2. 서식지

산 100~1,100m 고지의 골짜기 양지바른 너덜바위 지역이나 언덕, 임도 가장자리, 개울가에 주로 서식한다.

 

3. 특징

잎이 작은 거북이처럼 생겼으며 꼬리가 길다.

 

길이 4~8㎝ 정도의 잎이 가지에 마주 달린다. 끝이 매우 길고 뾰족한 마름모꼴 같은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크고 깊은 톱니가 5~6개씩 있다. 잎자루에 붉은 자줏빛이 돈다.

 

7~9월에 가지의 잎 달린 곳에 붉은 자줏빛 도는 흰색으로 핀다. 길이 10㎝ 정도의 꽃대가 나와 지름 5㎜ 정도의 꽃이 이삭처럼 달린다. 암꽃과 수꽃이 한 나무에 피며 간혹 암꽃과 수꽃이 다른 나무에 피기도 한다. 암꽃은 꽃대 끝 쪽에 여러 송이가 모여서 피고, 수꽃은 아래쪽에 조금 먼저 핀다. 암술은 1개, 수술은 4개다. 꽃잎은 따로 없고 꽃덮이가 4갈래로 갈라져 나온다.

 

열매

10~11월에 껍질이 터지지 않는 지름 5㎜ 정도의 열매가 이삭처럼 둥글게 모여서 갈색으로 여문다. 열매마다 긴 암술대가 남아 있어 전체에 털이 달린 것처럼 보인다. 겨울에도 가지에 매달려 있다.

 

줄기껍질

어린 나무는 붉은빛 도는 밝은 갈색을 띤다. 묵을수록 어두운 홍갈색이 되며 껍질이 세로로 얇게 벗겨져 너덜거린다. 나무와 풀의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어 나무처럼 딱딱하면서도 겨울에 묵은 줄기 위쪽이 말라 죽고 봄에 다시 새순이 나온다.

 

줄기 속

가장자리는 붉은빛 도는 흰 갈색을 띤다. 안쪽에 검붉은 빛 도는 갈색 심이 있다. 한가운데에 붉은 갈색의 작고 무른 속심이 있다.

 

가지

햇가지는 붉은 자주색을 띠다가 점차 붉은 갈색이 된다. 겨울에 위쪽이 말라 죽고 봄에 다시 새순이 나온다.

 

겨울눈

가운데가 볼록한 긴 원뿔 모양이며 갈색을 띤다.

 

 

4. 용도

약용: 소아마비, 아토피, 습진, 붉은 소변, 피부병, 종기독, 뱀 물린 데식용: 나물

 

민간요법

햇줄기(소홍활마, 小紅活麻)봄~가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쓰거나 생것을 쓴다. 소아마비, 아토피, 습진, 붉은 소변에 말린 것 10g을 물 8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피부병, 종기독 오른 데, 뱀 물린 데 생것을 짓찧어 바른다.

 

식용방법

어린 잎을 데쳐서 나물로 먹는다.

 

 

5. 계절별로 알아보자

상세정보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95345&cid=46686&categoryId=46694  

 

좀깨잎나무 (약초도감, 2010.7.5, (주)넥서스)

 

 

 

 

 

 

=============================================================================================================================

 

좀깨잎나무

 

 

이칭/별칭: 개모시풀,모시풀,거북꼬리,산깻잎나무

학명: Boehmeria spicata (Thunb.) Thunb.

원산지: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좀깨잎나무는 키가 작은 관목으로 인천광역시 남구의 대부분 산지에서 서식하는 자생식물이다. 잎은 성인의 주먹 크기 정도이며 선단(先端)에 거북의 꼬리를 닮은 돌출부가 특징이다. 줄기 부분도 붉은색을 띠어 같은 분류군에 속하는 거북꼬리와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월동 시 그해에 자라난 싹이 동사하여 말라죽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과거에는 산지 또는 논둑이나 밭가에서 잘 자란 것을 잘라서 말려 두었다가 겨울철 불쏘시개로 사용하였다.

 

[형태]

쐐기풀과의 작은 키 관목인 좀깨잎 나무는 높이가 약 1m 이내이며 잎은 주름이 많고 거치(鋸齒)[식물의 잎이나 꽃잎 가장자리에 톱니처럼 깔쭉깔쭉하게 베어 들어간 자국]가 발달했으며 잎 선단에 특이하게 길게 늘어난 꼬리 모양의 돌출부가 있다. 잎은 사각에 가까운 마름모형의 계란 모양을 하고 있는데, 앞면에 누운 털이 있고 뒷면에는 굵은 잎맥 위에만 털이 발생한다.

 

[생태]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인 좀깨잎나무는 반음지와 토양의 표면수가 흐를 정도로 습한 곳을 선호하는 특징을 가진 나무로 인천광역시 남구의 대부분 산지 내 습한 계곡부, 유수지, 웅덩이 주변 및 밭둑과 논둑, 돌담이 허물어진 곳 등에서 만날 수 있는 넓은 잎을 가진 관목이다.

 

거북꼬리와 형태와 습성 및 크기 등이 매우 유사하여 구분하기 쉽지 않다.

꽃은 한여름인 7~8월에 개화하고 전형적인 수상화서(穗狀花序)[한 개의 긴 꽃대 둘레에 여러 개의 꽃이 이삭 모양으로 피는 꽃차례]로 자라나며 암꽃과 수꽃이 잎겨드랑이의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자리를 잡는다. 일반적으로는 암수 한 그루이지만 가끔 암수가 별개의 나무로 발견되기도 한다. 수꽃은 네 개의 회피 갈래 조각과 수술을 갖추고 있으며 암꽃은 통 모양의 꽃덮개 내부에 1개의 씨방과 암술대를 갖추고 있다.

 

수과로 익는 열매는 10월경 성숙한다.

열매는 긴 계란 형상을 하고 있고 끝에는 털이 나 있다.

 

좀깨잎나무처럼 그루터기가 많은 종들은 흙을 부여잡는 능력이 대단히 뛰어나다.

따라서 논둑이나 밭둑에 심으면 사람이나 소나 말 등 동물의 발에 둑이 무너지거나 파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런 특성을 활용한다면 토양이 노출된 나대지나 도로 주변 등의 사면에 좀깨잎나무 등을 식재하여 물리적 환경을 안정시키는 방법도 바람직할 수 있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산지의 습한 곳이나 농가 주변의 돌담, 하천변 및 경작지 경계면에 서식하는 좀깨잎나무는 사방 목적이나 경작지 구획 및 논밭 둑의 보호를 위한 식물로 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으로 활용하기는 하지만 보편적인 음식으로는 등장하고 있지 않다. 아울러, 민간요법으로 이 나무를 활용한 치료법이나 대체 의학적 소견을 다룬 내용은 아직 알려진 바 없다.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김효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산꾼님, Happy님, 김기훈님, 민경복님, 學知/홍순곤님, 민경복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하늘아래님,

 

 

 

 

 

=============================================================================================================================

바로가기

 

쐐기풀 | 식물도감(植物圖鑑)

모시풀 | 식물도감(植物圖鑑)

좀깨잎나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5. - 4,903種중 (2733. 사초과 - 3470. 쐐기풀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몽울풀  (0) 2015.03.15
몽울풀속  (0) 2015.03.15
풀거북꼬리  (0) 2015.03.14
섬거북꼬리  (0) 2015.03.14
거북꼬리  (0) 201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