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산물통이

호남인1 2015. 3. 10. 07:44

 

 

 

 

 

산물통이

학 명: Pilea japonica (Maxim.) Hand.-Mazz.

 

 

 

 

 

 

종코드(url_no): 29301 /이 명: 산비름, 산물퉁이 /영명: /꽃말:

분 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쐐기풀목 >쐐기풀과 >물통이속

원산지: 한국 /분포: 전국 /서식: 산지의 물가나 응달 /크기: 높이 10-20cm

생약명:

 

일년생초본

쐐기풀과에 속한 한해살이풀. 높이는 10~20센티미터이다. 잎은 마주나고 톱니와 털이 있으며, 9~10월에 연한 녹색의 암꽃, 수꽃이 꽃줄기 끝에 모여 달린다. 산속의 응달이나 골짜기에 자란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Achudemia japonica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산물통이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9301&mn=KFS_28_01_02_01

 

 

 

 

-------------------------------------------------------------

잎은 대생하며 막질이고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위로 올라가면서 그 모양이 달라지고 길이 1-3cm로서 끝이 둔하거나 뾰족하며 밑부분은 넓은 예저이고 윗부분에 굵은 톱니가 약간 있으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밑부분에 3맥이 있다. 엽병은 잎보다 짧거나 다소 길다. 

 

열매는 수과로서 납작한 난형이며 길이 1mm정도이고 반점이 없다. 

 

꽃은 일가화로서 9-10월에 피며 연한 녹색이고 길이 1-3cm의 화경 끝에 꽃이 두상으로 달리며 암꽃과 수꽃이 섞여서 핀다. 수꽃은 4개씩의 화피열편과 수술이 있고 암꽃은 화피열편이 5개이며 길이가 거의 비슷하고 끝이 둔하며 길이 1mm정도로서 넓은 피침형이다. 자방은 1개로 암술머리는 붓털 모양이다. 

 

높이 10-20cm이고 가지가 갈라지며 부드럽고 다소 적갈색이 돈다. 

 

전국의 산지에서 자란다. 

산지의 물가나 응달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유사종

▶모시물통이(P. monglia Weddell): 원줄기는 곧게 자라며 물기가 많고 연녹색이다. 잎은 난형, 길이 2-10㎝, 가장자리에 삼각상 톱니가 있다.

▶제주큰물통이(P. taquetii Nakai): 잎은 넓은 난형, 사각상 난형,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특징

물통이속의 암꽃 화피조각은 보통 3개이나 산물통이는 5개인 점이 특징이다.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산물통이

 

 

학명: Pilea japonica (Maxim.) Hand.-Mazz.

 

개요

산 속 응달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아래쪽은 땅에 붙어서 뿌리를 내고, 높이 10-25cm, 붉은 갈색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지만 위로 가면서 모양이 달라지고, 길이 2-6cm, 1-4cm, 가장자리 위쪽에 2-6쌍의 굵은 톱니가 있다. 꽃은 8-10월에 암수한포기로 피며, 연한 녹색, 길이 1-3cm의 꽃대 끝에 수꽃과 암꽃이 섞여서 머리 모양으로 핀다. 열매는 수과이며, 난형이다. 우리나라 중부지방 이남에 자생한다. 러시아,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다른 학명: Achudemia japonica Maxim.

국내분포: 중부 이남 /해외분포: 러시아(우수리), 일본, 중국 /서식지/생육지: 산 속 응달

 

형태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며, 아래쪽은 땅에 붙어서 뿌리를 내고, 높이 10-25cm, 붉은 갈색이 돈다. 잎은 마주나며, 난형 또는 넓은 난형이지만 위로 가면서 모양이 달라지고, 길이 2-6cm, 1-4cm, 가장자리 위쪽에 2-6쌍의 굵은 톱니가 있다. 꽃은 8-10월에 암수한포기로 피며, 연한 녹색, 길이 1-3cm의 꽃대 끝에 수꽃과 암꽃이 섞여서 머리모양꽃처럼 핀다. 수꽃은 수술과 화피 조각이 각각 4개씩이고, 암꽃은 화피 조각이 5장인데 크기와 모양이 서로 같다. 열매는 수과, 난형, 길이 1mm쯤, 갈색 반점이 없다.

 

생태: 한해살이풀이다. 꽃은 8-10월에 피고 열매는 9-11월에 익는다.

 

해설

모시물통이(Pilea mongolica Wedd.)나 큰물통이(P. hamaoi Makino)에 비해서 암꽃의 화피조각은 5장이며 크기가 비슷하고, 꽃대가 길이 1-3cm로서 길므로 구분된다

 

산물통이란 산지에서 자라는 물통이(수분이 많다는 뜻)라는 뜻이다.

 

산물통이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박하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행운님, 초록뫼/송종문님, 모세미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淸安님, 노루발님,

 

 

 

 

 

 

=============================================================================================================================

바로가기

 

쐐기풀 | 식물도감(植物圖鑑)

물통이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5.03.09 09:01

산물통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5. - 4,903種중 (2733. 사초과 - 3470. 쐐기풀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물통이속  (0) 2015.03.10
바위모시  (0) 2015.03.10
제주큰물통이  (0) 2015.03.10
강계큰물통이  (0) 2015.03.09
큰물통이  (0) 2015.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