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관다발식물

호남인1 2015. 2. 22. 20:58

 

 

 

 

 

관다발식물

Tracheophyta / 管다발 植物

 

 

 

조직 속에 관다발을 지닌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양치식물, 종자식물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문명은 Tracheophyta이다.

=============================================================================================================================

 

금강소나무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

 

위키백과

관다발식물

 

 

생물분류

: 진핵생물

: 식물계

아계: 관다발식물아계

 

 

상문

• 비-종자식물

• † 리니아문 (Rhyniophyta)

• †Zosterophyllophyta

• 석송문 (Lycopodiophyta)

• †Trimerophytophyta

• 양치식물문 (Pteridophyta)

• 종자식물상문(Spermatophyta)

• †Pteridospermatophyta

• 구과식물문 (Pinophyta)

• 소철문 (Cycadophyta)

• 은행나무문 (Ginkgophyta)

• 마황문 (Gnetophyta)

• 속씨식물문 (Magnoliophyta)

 

 

 

관다발식물(管다발 植物)은 겉씨식물과 속씨식물, 양치식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식물군이다.

 

포자를 퍼뜨리는 식물 : 비-종자식물 (Pteridophytes)

• 속새식물강 (Equisetopsida) - 쇠뜨기

• 석송문 (Lycopodiophyta) - 석송, 물부추 등

• 솔잎란강 (Psilotopsida) - 솔잎란

• 양치식물문 (Pteridophyta) - 고사리

 

씨를 퍼뜨리는 식물 : 종자식물 (Spermatophytes)

• 구과식물문 (Pinophyta))

• 은행나무문 (Ginkgophyta)

• 소철문 (Cycadophyta)

• 마황문 (Gnetophyta)

• 속씨식물문 (Magnoliophyta)

 

죽순대(Phyllostachys pubescens Mazel ex Lehaie)

 

 

 

=============================================================================================================================

 

브리태니커

관다발식물

 

 

다른 표기 언어 tracheophyte

관다발식물문(管─植物門 Tracheophyta)에 속하며 관다발을 지니는 식물.

 

그 수는 약 26만 종에 달하며 오늘날 지구상에서 볼 수 있는 거의 모든 식물들이 이에 속한다. 관다발식물은 '헛물관이 있는 식물'을 뜻하는데 물을 운반하는 세포인 헛물관 또는 물관요소가 있음을 일컫는다.

 

물관의 세포벽에는 곤충의 공기주머니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나사선 모양의 무늬가 있다. 관다발식물에는 엄청나게 다양한 식물들이 있는데 크게 4가지 무리로 나누어진다.

 

첫번째는 솔잎란식물 무리로서 잎과 뿌리가 없는 원시적인 형태로 진정한 의미의 양치류는 아니며 솔잎란이 대표적인 식물이다. 두번째는 쇠뜨기식물 무리로 잎이 날개처럼 갈라져 있으며 속새가 대표적인 식물이다. 세번째는 석송식물 무리로 키가 작은 식물들로서 석송이 대표적인 식물이다. 네번째는 양치식물 무리로, 양치류·소나무·가문비나무·전나무 등이 포함되는 겉씨식물 및 꽃피는 식물들이 속한다.

 

관다발계는 주로 물과 물에 녹아 있는 무기염류들을 운반하는 물관부, 그리고 당과 같은 양분을 운반하는 체관부로 이루어져 있다. 관다발식물들은 녹조식물문(Chlorophyta)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장 오래된 화석은 4억 년 전인 실루리아기의 암석에서 발견되었다.

 

관중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

 

두산백과

대한민국의 관다발식물

 

 

 

한국에 생육하는 것으로 밝혀진 관다발식물의 총수는 약 4,200종이 되는데, 이는 전세계에 분포하는 관다발식물의 약 2%에 해당한다.

이 중 한국 특산 관다발식물로는 금강인가목속(Pentactina)·개느삼속(Echinosophora)·미선나무속(Abeliophyllum)·금강초롱꽃속(Hanabusaya) 및 모데미풀속(Megaleranthis) 등이 있으며 특히 미선나무속은 세계에서 1속 1종밖에 없는 한국 고유식물이다.

 

그 밖의 관다발식물로서 희귀종은 금강인가목(Pentactina rupicola :금강산)·개느삼(Echinosophora koreensis:함남·강원 양구)·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충북 진천·괴산)·금강초롱꽃(Hanabusaya asiatica:금강산·함남·강원) 및 모데미풀(Megaleranthis sanicalifolia:지리산·설악산) 외에, 백두산이나 한라산 등 고산지대에서 극히 제한된 분포를 하는 눈잣나무(Pinus pumila)·돌매화나무(Diapensia lapponica var. obovata)와 울릉도에 국한해서 자라고 있는 너도밤나무(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등이 있다.

 

관다발식물의 수평분포를 보면 난대아구계에 속하는 한국의 남해안 일대는 이 아구의 표징종(標徵種)이 되는 종가시나무 외에 동백나무·송악·북가시나무·참가시나무·후박나무·식나무·구실잣밤나무·모밀잣밤나무·개산초와 같은 상록수들이 특징적이다.

 

온대아구계의 한국구에 속하는 북위 35° 이북의 지역은 온대림으로 대표되는 식생을 나타내고 있는데, 식물 분포의 특성에 따라서 흔히 한국구 북부, 한국구 중부 및 한국구 남부로 구분한다.

 

 

 

⑴ 한국구 북부:

 

황해도 장산곶과 함남 원산만을 연결하는 선의 북쪽을 지칭한다. 한국구 중에서 높은 산이 가장 많고 고원지대도 많아서 잎갈나무·가문비나무·종비나무·분비나무·젓나무·잣나무 등 침엽수림(針葉樹林)과 신갈나무·떡갈나무·신나무·강계버들 등과 사시나무·좀풍게나무·거제수나무·박달나무·자작나무·당느릅나무·떡느릅나무·난티나무·찰피나무·나도박달나무 등의 활엽수림(闊葉樹林)이 발달하고, 소나무·진퍼리버들·좀자작나무·꼬리조팝나무·들쭉나무 등도 많다.

 

이 지역에 속하는 함남 신흥군의 야산에서 개느삼이 생육하고, 평북과 함남의 일대에는 눈측백의 대군락이 곳곳에 발달하고 있으며, 눈잣나무의 군락도 산록에 발달하고 있다. 또한, 평북의 묘향산과 함북의 다당포 일대는 한국 자생 죽류(自生竹類)의 북쪽 한계지역이다.

한편, 초본식물로는 평남·함남·강원 일대의 고산지대에서 볼 수 있는 금강초롱꽃과 장백연산·포대산·관모봉 등지에서 생육하는 장군풀이 특이한 종류들이고, 개병풍·돌단풍·깽깽이풀 등도 흔히 자란다.

 

 

 

⑵ 한국구 중부:

 

장산곶과 원산만을 연결하는 선의 남쪽에서 충남 태안반도와 경북 영일만을 연결하는 선의 북쪽을 지칭한다. 이곳에는 금강산(1,638m)을 비롯하여 설악산·오대산·태백산 등이 있다. 중부지방에 생육하는 주요 침엽수로서는 젓나무·구상나무·향나무·주목·노간주나무·가문비나무·소나무·잣나무·눈잣나무·눈측백들이 있고, 활엽수로는 강계버들·서어나무·산딸나무·때죽나무·초피나무·개산초 등이 북쪽 한계지역을 이루며 생육한다.

 

설악산의 대청봉과 중청봉 사이에 발달한 눈잦나무의 군락과 오대산의 눈측백, 금강산의 잎갈나무는 이들 분포의 남쪽 한계지가 되고, 백령도와 대청도 등 서해 도서지방에는 난류의 영향으로 후박나무와 동백나무 등 상록수(常綠樹)가 자생하는 것이 특이하다.

 

그 밖에 금강산의 특산인 금강인가목과 처음에 지리산에서 발견되었으나 설악산에서도 생육이 확인된 모데미풀, 충북 진천과 괴산 등지의 구릉에서 자라는 미선나무 등 특산식물이 있고, 충북 단양의 석회암지대에 생육하는 측백나무 군락도 특기할 종류이다.

 

중부의 보편적인 초본식물(草本植物)로는 금강초롱꽃을 비롯하여 가는장구채·할미꽃·금강봄맞이·자난초·분취·금붓꽃(애기노랑붓꽃) 등 여러 가지가 있다.

 

 

 

⑶ 한국구 남부:

 

영일만과 태안반도를 연결하는 선의 이남 지역에서 난대아구계에 속하는 지역을 제외한 지역이다.

이곳에는 지리산·덕유산·가야산·백운산 등이 있으며, 주요 수종으로는 서어나무·개서어나무·신갈나무·졸참나무·떡갈나무·상수리나무·굴참나무·단풍나무·신나무·고로쇠나무 등의 활엽수가 우세하고, 이팝나무·들메나무·찰피나무·올벚나무·산벚나무·느티나무 등의 거목(巨木)들이 자란다.

 

그리고 이 지역의 산지에는 자생 죽류의 군락이 흔히 발달하고, 지리산의 모데미풀, 대둔산의 왕벚나무, 울릉도 성인봉의 너도밤나무·섬피나무·우산고로쇠 등 특산종이 있다.

 

그 밖에, 서부 해안지대에 흔히 발달하는 퉁퉁마디·갯질경이·갯완두·갯개미취·해홍나물·갯쑥부쟁이 등의 염생식물(鹽生植物)도 특이하다.

 

한편, 연평균기온이 50℃ 이하로서 한대림(寒帶林)이 발달하는 지역은 백두산을 중심으로한 해발고도 600m 이상의 고지대와 중부지방의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금강산·설악산 일대, 그리고 남부지방의 해발고도 1,300m 이상의 지리산 산정, 1,500m 이상의 한라산 일대에 국한되어 있으며, 눈잣나무가 표징종이 되고, 돌매화나무·시로미 등이 특기할 식물이다.

 

관다발식물을 중심으로 한 식물들의 수직분포는 북부 산악지대와 제주 한라산 등지에서 비교적 뚜렷하게 볼 수 있으나, 한국에는 높은 산이 없어 이상적인 수직분포의 특징을 찾아보기 어렵다.

 

예를들면, 삼림한계선(森林限界線)의 고도는 백두산의 경우가 2,000m이고, 한라산의 경우는 그 한계선을 그을 수 없기 때문에 진정한 고산대의 발달은 볼 수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한라산의 식물 수직분포는 대략 해발 600m까지를 상록활엽수림대, 1,300m까지를 낙엽활엽수림대, 1,900m까지 침엽수림대로 구분할 수 있고, 1,900m 이상의 정상부에 아고산대(亞高山帶)의 식물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관다발식물 (두산백과)

 

분홍미선나무 (Abeliophyllum distichum f. lilacinum Nakai)

 

 

 

=============================================================================================================================

바로가기

 

식물[植物] | 식물도감(植物圖鑑) 

식물계 [植物界] | 식물도감(植物圖鑑)

식물의 목 목록 | 식물도감(植物圖鑑)

쌍떡잎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진정쌍떡잎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합판화아강 | 식물도감(植物圖鑑)

구과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겉씨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속씨식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양치식물문(Pteridophyta)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목과  (0) 2015.02.23
폭나무  (0) 2015.02.22
좀풍게나무  (0) 2015.02.22
풍게나무  (0) 2015.02.22
장수팽나무  (0) 2015.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