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노리나무
학 명: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var. villosa
이 명: 긴윤노리나무, 꼭지윤노리, 꼭지윤노리나무, 꼭지윤여리, 참윤여리 /영명: /꽃말:
분 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 윤노리나무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중부이남),일본, 중국 /서식:산지 /크기: 높이 5m
생약명: 뿌리(모엽석남근, 毛葉石楠根)수시로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가래, 장염, 땀이 많고 더위를 타는 데 말린 것 10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낙엽활엽 관목
윷을 만드는 나무라고 윤노리나무이다.
장미과에 속한 낙엽 관목. 높이가 5미터에 달하고, 잎과 작은 가지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봄에 흰 꽃이 피며 10월에 달걀꼴의 열매가 붉게 익는다. 우리나라, 일본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호생하고 도란형 또는 장도란형으로 길이 4~12cm, 나비 2~6cm이며 끝은 점차 뾰족해지고 양면에 털이 있으나 점차 거의 없어지고 엽병은 길이 2~10mm이다.
과실은 이과로 타원형이며 9월에 붉게 익는다.
꽃은 5월에 백색으로 피고 복산방화서로 달리며 화서와 엽병에 혹 모양의 돌기가 있다. 꽃받침에는 백색의 부드러운 털이 밀생하고 꽃잎은 도란상 난형, 수술은 20개, 암술대는 2~4개이다.
어린가지와 엽병에 백색 털이 있다.
중부 이남에 나며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높이 5m에 달한다.
번식은 종자나 포기나누기로 한다.
=============================================================================================================================
두산백과
윤노리나무
학명: Pourthiaea villosa
분포지역: 한국(중부 이남) /서식장소/자생지: 산중턱 /크기: 높이 약 5m
우비목(牛鼻木)이라고도 한다. 산
중턱에서 자란다.
높이 약 5m이다.
어린 잎과 작은가지에 흰 털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거나 긴 타원형이며 길이 3∼8cm이다.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길이 1∼5mm이다.
꽃은 5월에 흰색으로 피며 산방꽃차례에 달리는데, 꽃차례에는 털이 많고 열매가 커짐에 따라 작은열매자루와 열매자루에 갈색 피목(皮目)이 생긴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수술은 20개이다.
암술대는 2∼4개로 갈라지며 씨방은 하위(下位)이다.
열매는 이과(梨果)로서 타원형이고 지름 약 8mm이며 9월에 붉게 익는다.
번식은 종자나 포기나누기로 한다.
한국(중부 이남)·일본에 분포한다.
떡윤노리(var. brunnea)는 잎이 두껍고 열매의 지름 12mm 안팎인 것이고, 꼭지윤노리(var. longipes)는 작은열매자루의 길이가 1mm 이상이며, 민윤노리(var. laevis)는 잎과 꽃차례의 털이 곧 없어진다.
좀윤노리(var. coreana)는 잎이 얇고 꽃줄기와 가지가 가늘며, 털윤노리(var. zollingeri)는 꽃줄기와 어린 가지에 털이 많고 잎 뒷면에 흰 털이 빽빽이 나지만 중간형이 많다.
본종은 마각목에 비해 잎이 단엽이고 화서와 엽병에 혹 모양의 돌기가 있다. 본품에 비해 잎과 화서의 털이 곧 없어지는 것을 민윤노리나무 var. laevis (Thunb.) Stapf, 윤노리나무와 민윤노리나무의 중간형을 털윤노리나무 var. zollingeri (Decne.) Nakai라 한다.
=============================================================================================================================
약초도감
윤노리나무
윤노리나무 꽃 (5월 19일)잎 가장자리가 말려서 밋밋하게 보인다. 윷을 만드는 나무라고 윤노리나무이다.
학명: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var. villosa
생약명: 모엽석남근(毛葉石楠根)
개화기: 5월
1. 구분
장미과의 잎지는 넓은잎 작은키나무로 밑동에서 줄기가 여러 개로 갈라져 밑에서 약간 굽어져서 키 5m 정도로 자란다. 가지가 위로 뻗어 위쪽이 엉성하게 둥그스름해진다.
2. 서식지
산 50~1,200m 고지의 중턱 반 그늘지고 건조한 숲속에 서식한다. 주로 수풀 중간에서 볼 수 있다. 추위에 강하다.
3. 특징
줄기가 여러 개로 갈라져 밑에서 굽어져 자란다.
잎: 길이 4~12㎝ 정도의 잎이 가지에 어긋나게 달리며 2~3장이 뭉쳐서 달리기도 한다. 끝이 점점 뾰족해지는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얕으면서도 날카로운 잔톱니가 있다. 어릴 때는 앞뒷면에 잔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잎자루에 흰 잔털이 있다. 가을에 노란색이나 주황색으로 물든다.
꽃: 5월에 새로 나는 햇가지에 끝에 흰색으로 핀다. 어긋나게 갈라져 쟁반처럼 퍼진 꽃대가 나와 끝마다 꽃이 달린다. 한 꽃에 암술과 수술이 함께 나온다. 암술대는 2~4개이며, 수술은 20개다. 꽃잎은 5장이다. 꽃받침잎은 흰색의 부드러운 잔털로 덮여 있다.
열매: 9월에 씨방이 응어리지고 과육이 있는 길이 9㎜ 정도의 타원형 열매가 윤나는 붉은색으로 여문다.
줄기껍질: 어린 나무는 회색빛 도는 갈색을 띤다. 묵을수록 짙은 회갈색이 되며 밝은 청회색의 얼룩이 생긴다. 밋밋하면서도 껍질눈이 있어 거칠다.
줄기 속: 가장자리는 노란빛 도는 밝은 갈색을 띤다. 안쪽에는 흰 갈색의 넓은 심이 있다. 한가운데에는 갈색의 작고 무른 속심이 있다.
가지: 햇가지는 노란 갈색을 띠다가 점차 붉은 갈색이 되며 흰색 잔털이 있다가 없어진다. 묵으면 회갈색이 된다. 껍질눈이 있다.
겨울눈: 가운데가 불룩하고 조금 긴 원뿔 모양이다. 붉은 갈색을 띤다.
4. 용도
약용: 가래, 장염, 땀이 많고 더위를 타는 데
민간요법
뿌리(모엽석남근, 毛葉石楠根)수시로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가래, 장염, 땀이 많고 더위를 타는 데 말린 것 10g을 물 700㎖에 넣고 달여서 마신다.
5. 계절별로 알아보자
상세정보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95404&cid=46686&categoryId=46694
윤노리나무 (약초도감, 2010.7.5, (주)넥서스)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지미경님, 회색늑대님, 행운님, 노루발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카메오님, 토마스/권혁세님, 淸安님,
숲길(吉)님의 블로그 / http://www.12go.co.kr/01travelstory/blog.asp?s_id=seoljg
============================================================================================================================= 바로가기 장미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윤노리나무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윤노리나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좀윤노리 (0) | 2015.02.09 |
---|---|
민윤노리나무 (0) | 2015.02.09 |
윤노리나무속 (0) | 2015.02.08 |
흰오이풀 (0) | 2015.02.08 |
술오이풀 (0) | 201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