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풀또기

호남인1 2015. 1. 22. 11:30

 

 

 

 

 

풀또기

학명: Prunus triloba var. truncata Kom.

 

 

 

 

 

 

 

이명: /영명: /꽃말: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 벚나무속

원산지: 한국 : 회령 및 무산 /분포: 한국.중국 /서식: 표고 100-400m의 산록 양지 /크기: 높이 3m

생약명: 아스라지(산앵도), 풀또기, 앵도, 산이스라지의 종자를 郁李仁(욱리인)이라 하며 약용한다.

 

낙엽활엽관목

장미과에 속한 낙엽 활엽 관목. 높이 3미터 정도로 자라며, 가지는 적갈색 또는 자갈색이고 윤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며, 봄에 불그스름한 꽃이 잎겨드랑이에 달리고, 열매는 가을에 붉게 익는다. 우리나라의 회령, 무산 및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풀또기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8696&mn=KFS_28_01_02_01

 

 

 

 

-------------------------------------------------------------

잎은 호생하며 도란형 또는 도삼각형이고 절두이며 전형이고 예저이며 길이 3-6cm로서 표면은 털이 없거나 잔털이 있고 뒷면은 회록색으로서 엽맥을 따라 백색 털이 밀생하며 가장자리에 복거치가 있고 엽병은 길이5mm로서 털이 있다. 

 

핵과는 난상 원형이고 길이 1-1.5cm로서 연한 갈색 털이 많으며 8월에 적색으로 익고 핵은 주름이 약간 있다.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며 지름 2-2.5cm로서 연한 홍색이고 1-2개씩 달리며 꽃받침통은 종형이고 열편은 난형으로서 거치형이며 겉에 털이 있는 것도 있다. 수술은 30개 가량이고 자방에 털이 있다. 

 

가지는 적갈색 또는 자갈색으로서 윤이 나며 털이 없다. 

 

함경북도 회령과 무산의 표고 100-400m의 산록 양지에 자라며 중국에도 분포한다. . 

높이가 3m에 이른다. 

 

추위에 강하고 내염성과 내공해성이 있고 비옥적윤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내음성은 약하나 내건성은 보통으로 건조한 곳에서도 생장이 양호하다. 

광선: 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비옥  /수분: 보통 

 

번식은 앵두나무를 대목으로 하여 절접하거나 1년생 맹아지를 3월부터 7월까지 꺾꽂이하면 발근이 잘된다. 

결실기: 8월 

 

▶관상용, 밀원

 

 

 

 

생약명

아스라지(산앵도), 풀또기, 앵도, 산이스라지의 종자를 郁李仁(욱리인)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가을에 과실이 익었을 때 떠서 과육을 제거하고 核(핵)을 꺼내어서 殼(각)을 제거하고 種仁(종인)만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이스라지의 종자에는 amygdalin, 脂肪油(지방유) 58.3-74.2%, 粗蛋白質(조단백질), cellulose, 전분, 揮發性有機酸(휘발성유기산), olein酸(산)이 함유되어 있는 외에 saponin 0.96%, phytosterol, 비타민B1 이 함유되어 있다. 줄기에는 tannin 6.3%, cellulose 24.94%, 잎에는 비타민C 7.30mg%가 각각 함유되어 있고 양앵도나무(P.humilis)의 과실에는 fructoxe 5.2%가 함유되어 있다. 또 꽃에는 비타민C 125.7mg%가 들어 있다.

③약효 : 緩下藥(완하약)으로서 潤燥(윤조), 滑腸(골장), 下氣(하기), 利水(이수)의 효능이 있다. 大腸氣滯(대장기체), 燥澁不通(조삽불통), 小便不利(소변불리), 大腹水腫(대복수종), 四肢浮腫(사지부종), 脚氣(각기) 등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3-9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유사종

▶만첩풀또기(var.petzoldii): 꽃이 복엽으로 홍매처럼 피는 것. 

 

특징

Komarov 가 회령과 무산령사이 건조한 암석지의 경사지에서 채집한 것으로서 엽형 및 엽정의 형태로서 기본종과 구별할 수 있다고 하였으나 곤란하다. 잎이 돋기 전 꽃봉오리가 진분홍색으로 부풀어오르는데 꽃이 만개하면 연분홍색으로 바뀌고 매우 화려해 보이며 아름답다. 생장과 맹아력이 좋다. 

 

 

 

 

 

 

 

=============================================================================================================================

 

두산백과

풀또기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활엽 관목.

 

학명: Prunus triloba var. truncata

분포지역: 한국(함경북도)·중국(둥베이)

서식장소/자생지: 산기슭 양지바른 곳

크기: 높이 1∼3m

 

산기슭 양지바른 곳에서 자란다. 높이 1∼3m이다. 나무껍질은 붉은빛을 띤 갈색으로서 윤이 나며 옆으로 피목(皮目)이 있다.

어린 가지에는 희고 짧은 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을 거꾸로 세워놓은 모양이거나 거꾸로 선 삼각 모양으로서 길이 3∼6cm이다.

끝은 뾰족하거나 일자(一字) 모양이고 밑은 넓은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다.

겉면에는 잔털이 나거나 없으며 뒷면은 맥을 따라 흰 털이 빽빽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약 5mm이고 털이 난다.

 

꽃은 4∼5월에 잎보다 먼저 연분홍빛으로 피는데, 지름 2∼2.5cm로서 1∼2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갈래조각은 삼각 모양이며 길이 1∼1.5cm로서 연한 갈색 털이 난다.

꽃잎은 둥글거나 타원 모양이다. 수술은 30개이고 씨방에 털이 난다.

 

열매는 핵과(核果)로서 8월에 빨간색으로 익는다. 

복숭아나무에 비하여 잎끝이 3갈래 또는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으로 갈라진다.

꽃이 아름다워 관상수로 심는다. 한국(함경북도)·중국(둥베이)에 분포한다.

 

풀또기 (두산백과)

 

 

 

 

 

 

=============================================================================================================================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동백꽃님, 김진호님, 돌비님, 나수련님, 박대문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누비예님,

 

 

 

=============================================================================================================================

바로가기

 

장미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벚나무 | 식물도감(植物圖鑑)

풀또기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아리꽃나무  (0) 2015.01.22
열녀목  (0) 2015.01.22
서양자두  (0) 2015.01.22
사옥  (0) 2015.01.22
복사앵도나무  (0) 2015.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