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린내풀
학명: Caryopteris divaricata (Siebold &Zucc.) Maxim.
이명: 노린재풀, 구렁내풀 /영명: /꽃말: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진정쌍떡잎식물강 >꿀풀목 >마편초과 >층꽃나무속
원산지: 한국 /분포: /서식: 산야 /크기: 높이 1m
생약명: 全草(전초)를 化骨丹(화골단)이라 하며 약용한다.
다년생초본
마편초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미터 정도로, 잎은 마주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넓은 달걀형이다. 7~8월에 벽자색 꽃이 핀다. 전체에 짧은 털이 있고 불쾌한 냄새가 많이 나며, 줄기는 모나고 많이 갈라진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잎은 대생하며 엽병이 있고 넓은 난형 또는 난형이며 예두이고 원저 또는 얕은 심장저이며 길이 8-13cm, 폭 4-8cm이고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열매는 꽃받침보다 짧으며 익으며 4개로 갈라진다. 종자는 길이 4-4.5mm로서 도란형이며 능선이 없고 표면에 그물눈 무늬와 선점이 있다.
꽃은 벽자색으로 7~8월에 피며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원추형으로 성기게 달리고 각 엽액의 화서는 긴 화경이 있으며 소화경과 더불어 선모가 있다. 화관은 통상(筒狀) 순형(脣刑)이며 통부가 장형이고 길게 나오며, 상순은 도란형이고 4개의 열편이 있으며 하순은 대단히 크고 가운데 조각은 길다. 꽃받침은 5개로 갈라지고 처음에는 길이 2-3mm이지만 열매가 익을 때는 길이 5-6mm이며 각 열편은 작은 종형(鐘刑)이고, 2강수술이 화후(花喉) 하부에 달리며 화주와 더불어 길게 화관 밖으로 나오고 길이 3-3.5cm이다.
높이가 1m에 달하고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전체에 짧은 털이 있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불쾌한 냄새가 강하게 나며 방형(方刑)으로 모여난다.
제주, 전남(지리산), 충남, 강원, 경기도(천마산, 광릉, 남한산성)에 야생한다.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산이나 들에 난다.
종자 번식한다.
결실기: 9월, 10월
▶피임제, 이뇨제, 기관지염, 복통에 약효로 쓰인다.
생약명
▶全草(전초)를 化骨丹(화골단)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개화기인 7-8월에 채취해서 그늘에서 건조한다.
②약효 : 解熱(해열), 止咳(지해)의 효능이 있다. 感冒頭痛(감모두통), 咳嗽(해수), 百日咳(백일해), 淋巴腺炎(임파선염), (목예)를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12g을 달여서 복용한다.
유사종
▶층꽃풀(C. incana): 전체에 잔털이 있고 잎 표면은 짙은 녹색, 뒷면은 회백색이다. 꽃은 자색 때로 흰색이다.
▶흰층꽃풀(C. incana Miquel for. candida): 흰색 꽃이 피는 층꽃풀이다.
고약한 냄새를 풍기며 꽃이 필 때는 냄새가 더욱 강하다.
=============================================================================================================================
야생화도감(가을)
누린내풀
학명: Caryopteris divaricata (Siebold &Zucc.) Maxim.
크기: 1m
개화시기: 7월~8월, 고산지 및 지리산 개화기(8~9월)
생육특성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서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비옥한 토지의 양지에서 자란다. 키는 약 1m 정도이고, 잎은 길이 8~13cm, 폭 4~8cm로 넓은 난형이고 마주나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벽자색이고 줄기에서 드문드문 피며 꽃이 필 때 고약한 냄새가 난다. 줄기는 사각형으로 전체에 짧은 털이 있다. 열매는 9~10월경에 맺으며 네 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길이가 약 0.4cm로 표면에 그물눈 무늬와 점이 있다. 꽃 하단부에 흰 반점과 같은 것이 있으며, 수술과 암술이 길게 화살 모양으로 나 있다.
번식 및 관리법
번식법 : 9~10월에 익은 종자를 바로 화분에 뿌리거나 보관 후 이듬해 봄에 뿌리며 새싹이 올라오면 포기나누기를 한다.
관리법 : 향이 좋지 않기 때문에 집과 멀리 떨어진 화단에 심는다.
누린내풀 (야생화도감(가을), 2009.9.15, 푸른행복)
=============================================================================================================================
두산백과
일훈일유
[ 一薰一蕕 ]
'향기나는 풀과 누린내나는 풀'이라는 뜻으로, 선(善)은 쉽게 잊혀지고 악(惡)은 오래도록 전해지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좌씨전(左氏傳)》에서 유래되었다.
一:한 일
薰:향풀 훈
一:한 일
蕕:누린내풀 유
중국 춘추시대 진(晉)나라 헌공(獻公)은 여러 후궁들 가운데 여희(驪姬)를 총애하였다. 헌공은 여희를 정실 부인으로 삼으려는 생각으로 점쟁이에게 길흉을 점치게 하였다. 그 결과 거북점은 흉(凶), 시초점(蓍草占:톱풀을 이용하여 치는 점)은 길(吉)로 나왔다. 이에 헌공은 시초점을 따라 여희를 부인으로 맞이하겠다고 하였다.
그러자 거북점을 친 점쟁이가 "시초점은 짧게 보고 거북점은 길게 보니, 길게 보는 것을 따르는 것이 낫습니다. 또한 점괘에 '한 사람만을 총애하여 마음이 변하고, 공의 사랑하는 이를 물리친다. 향기나는 풀과 악취나는 풀이 함께 있으니, 10년이 지나면 악취만 남으리라(一薰一蕕,十年尙蕕有臭)'라고 하였으니, 시초점을 따르시면 절대로 안 됩니다"라고 말하였다.
그러나 헌공은 그 말을 듣지 않고 여희를 부인으로 맞이하였다. 여희는 자기가 낳은 아들 해제(亥齊)를 헌공의 후계자로 세우기 위하여 태자인 신생(申生)을 모함하여 자살하게 만들었다. 이 고사(故事)는 《좌씨전》의 '희공(僖公) 4년' 조에 실려 있다.
신생의 동생 중이(重耳:훗날의 진문공)는 국외로 도피하여 19년이나 망명 생활을 하게 되었다. 헌공이 죽은 뒤에 해제는 군주의 자리에 오르지 못하고 대신들에게 살해당하였고, 여희는 자살하였다. 거북점의 점괘대로 진나라는 불길한 세월을 보내게 되었다.
이 고사에서 유래하여 일훈일유는 향기로운 풀과 악취나는 풀을 한 곳에 두면 향기는 사라지고 악취만 남게 되는 것처럼, 선은 소멸되기 쉽고 악은 제거하기 어려움, 선한 일은 쉽게 잊혀지고 악한 일은 오래 전하여짐, 선은 항상 악에 가려지게 마련임, 선한 사람의 세력은 악한 사람에 미치지 못함 등을 비유하는 고사성어로 사용된다.
=============================================================================================================================
일훈일유 [一薰一蕕] (두산백과)
일훈일유십년상유유취
[ 一薰一蕕十年尙蕕有臭 ]
한자 뜻과 음
한 일, 향풀 훈, 누린내풀 유, 열 십, 해 년, 오히려 상, 있을 유, 냄새 취.
풀이
훈은 향초, 유는 취초임. 좋은 일은 잘 잊히나 나쁜 일은 오래도록 전하여 내려온다는 말. 출전 春秋左氏傳(춘추좌씨전).
=============================================================================================================================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산과들님, 돌콩님, 뻐꾹채/이상헌님, 마야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구암리님, 피아산방/이원규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젊은靈感님,
=============================================================================================================================
바로가기
마편초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층꽃나무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누린내풀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3. - 4,903種중 (1318. 마과 - 2107. 백합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미에 대하여 - 워키백과 (0) | 2015.01.03 |
---|---|
장미속 (0) | 2015.01.03 |
층꽃나무속 (0) | 2015.01.03 |
송금나무 (0) | 2015.01.03 |
좀새비나무 (0) | 2015.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