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편초의 약효.효능
=============================================================================================================================
두산백과
마편초
[馬鞭草]
우리나라에서는 마편초과의 마편초(Verbena officinalis L.)의 지상부를 말한다. 중국에서는 우리나라와 같고 일본에서는 공정생약으로 수재되지 않았다.
마편초는 이삭이 말채찍과 비슷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또는 이 식물의 마디마다 자색 꽃이 피는 것이 말채찍의 마디와 비슷하기 때문에 마편(馬鞭)이라 한다고 하였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조금 있으며 맛은 약간 쓰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다.[苦辛凉]
마편초는 혈분에 작용하여 활혈산어작용을 하므로 생리불순, 생리통, 징가, 관절염, 타박상, 인후염, 이질, 전신부종, 소변불리, 간디스토마로 인한 복수 등에 쓰인다.
약리작용으로 학질의 원충억제, 항균작용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구부러졌으며 줄기는 네모져 있고 바깥 면은 황록색 또는 회녹색이며 세로주름과 짧은 경모가 있고 질은 딱딱하며 꺾어지기 쉽다. 꺾은 면은 섬유상이고 백색의 수가 있으며 때로는 비어 있다. 잎은 긴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 회녹색이거나 황갈색이고 오그라졌으며 털이 있다. 줄기의 끝에는 꽃술이 있고 황갈색의 작은 꽃잎이 달려 있다.
다른 이름으로 철마편(鐵馬鞭), 봉경초(鳳頸草), 용아초(龍牙草), 자정용아초(紫頂龍芽草), 구아초(狗牙草) 등이 있다.
마편초 [馬鞭草] (두산백과)
=============================================================================================================================
한의학대사전
마편초
[馬鞭草]
말초리풀과 식물인 말초리풀 Verbena officinalis L.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우리 나라 남부의 들판이나 길가에서 자란다. 여름철 꽃이 필 때 전초를 베어 그늘에서 말린다.
맛은 쓰고 성질은 서늘하다.
간경(肝經) · 비경(脾經)에 작용한다.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어혈을 없앤다. 또 부기를 가라앉히고 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소염 작용, 진통 작용, 지혈 작용, 항균 작용 등이 실험에서 밝혀졌다.
성분 베르베닌이 지혈 작용을 나타낸다.
열이 나는 데, 감기, 황달, 무월경, 징가(癥瘕), 부종, 임증(淋證), 이질, 학질, 후비(喉痹), 옹종(癰腫) 등에 쓴다.
유행성 감기와 유행성 간염에도 쓸 수 있다.
하루 15~30g을 탕제 · 환제 · 산제 형태로 만들어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신선한 것을 짓찧어 붙이거나 달인 물로 씻는다.
마편초 [馬鞭草] (한의학대사전, 2001.6.15, 도서출판 정담)
=============================================================================================================================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마편초
[馬鞭草]
무독, 량凉
다른이름 鳳頸草(봉경초), 龍牙草(용아초)약맛 고(苦) 신(辛)귀경 간(肝) 비(脾) 방광(膀胱)주치 經閉, 腹水脹滿, 水腫, 濕熱痢疾, 濕熱黃疸, 熱淋, 癰腫, 外感發熱, 咽喉白腐, 跌打損傷, 癥瘕積聚, 痛經, 瘧疾약용부위 풀전체
처방
자혈탕(滋血湯) 출전 : 의학입문
본초명 : 赤芍藥,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當歸,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馬鞭草,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牧丹皮, 분량 : 0.2, 단위 :錢
본초명 : 肉桂,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枳殼,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川芎, 분량 : 0.4, 단위 :錢
본초명 : 荊芥, 분량 : 0.8, 단위 :錢
본초명 : 烏梅, 분량 : 1, 단위 :箇
석영산(石英散) 출전 : 동의보감
본초명 : 當歸尾,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甘草,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馬鞭草,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沒藥,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蓬朮, 분량 : 3, 단위 :錢
본초명 : 三菱, 분량 : 3, 단위 :錢
본초명 : 烏梅肉,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紫石英, 분량 : 1, 단위 :兩
본초명 : 琥珀, 분량 : 1, 단위 :錢
본초명 : 紅花, 분량 : 5, 단위 :錢
본초명 : 蘇木, 분량 : 3, 단위 :錢
금기
脾胃가 虛寒한 者와 孕婦는 服用을 忌한다.
효능
利水消腫, 截瘧, 淸熱解毒, 活血散瘀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별록(別錄)>: 성기 주변의 옴병을 다스린다.진장기(陳藏器): 아랫배에 덩어리가 뭉친 것, 오랜 학질을 치료하며 어혈을 제거하고 기생충을 죽인다.
찧고 으깨고 끓여서 즙을 채취하여 달여 엿처럼 만든 후 매번 공복에 술과 함께 한 숟가락씩 복용한다.
지대명(池大明): 여성이 혈기(血氣)가 뭉쳐서 배가 빵빵해 지는 것, 월경이상을 치료하여 월경을 통하게 한다.
주진형(朱震亨): 창칼에 다친 상처를 치료하며 어혈을 없앤다.
이시진(李時珍): 으깨어 바르면 종기의 부기와 각종 부스럼을 낫게 하고 남성의 성기가 부은 것을 가라앉게 한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용아초(龍牙草), 봉경초(鳳頸草)가 있다.
소공(蘇恭): 이삭이 말채찍과 비슷하기 때문에 마편(馬鞭)이라는 명칭이 생겼다.
진장기(陳藏器): 이 설(說)이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이 식물의 마디마다 자색 꽃이 피는 것이 말채찍의 마디와 비슷하기 때문에 마편(馬鞭)이라 한다고 하였다.
이시진(李時珍): 용아초(龍牙草), 봉경초(鳳頸草) 등의 이름은 모두 이삭의 모양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소송(蘇頌)의 <도경(圖經)>의 외류(外類)에서는 이 약초가 거듭해서 두 번 나오지만 지금은 합쳐서 하나가 되었다. 또한 지금의 의사들은 잘못하여 이 약초의 색깔별로 용아(龍牙)라는 이름을 붙여서 사용하고 심지어는 혼합된 색까지도 명명하였는데 신빙성이 부족하다.
참고자료: 문화콘텐츠닷컴
마편초 [馬鞭草]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한의학 및 한국고유의 한약재), 2004, 한국콘텐츠진흥원)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편초과 (0) | 2015.01.01 |
---|---|
마편초 (0) | 2015.01.01 |
북한의 나무 이름, 우리와 어떻게 다른가. (0) | 2015.01.01 |
탐라산수국 (0) | 2015.01.01 |
미국수국 (0) | 2015.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