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곤약

호남인1 2014. 12. 27. 05:17

 

 

 

 

 

곤약

학명: Amorphophalus konjac K.Koch. 

 

 

 

 

이명: 곤야구, 구약, 구약풀 /영명: /꽃말: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외떡잎식물강 >택사목 >천남성과 >천남성속

원산지: 베트남 /분포: /서식: /크기: 길이 1m

생약명:

 

다년생초본

여름에 자갈색의 꽃이 깔때기 모양의 포(苞)와 더불어 육수(肉穗) 꽃차례로 피는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풀.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곤약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42220&mn=KFS_28_01_02_01

 

 

 

 

-------------------------------------------------------------

잎은 3개로 전열되고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엽병은 원주형이고 연한 녹색으로서 연한 자주색 반점이 있다. 열편은 다시 우상으로 갈라지고 축에 불규칙한 날개가 있다. 소열편은 난상 피침형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꼬리처럼 길게 뾰족하며 엽면에 털이 없고 밑부분은 예저로서 길이 4-8㎝이다. 

 

장과는 옥수수처럼 밀착하며 황적색으로 익는다. 

 

봄에 화경이 나오며 길이1m정도로서 밑부분에 2-3개의 비늘같은 잎이 달리고 끝에서 길이 30-50㎝의 화서가 발달한다. 포는 깔대기같은 통형이며 암자색으로서 겉에 털이 없고 안쪽 밑에는 잔돌기가 있다. 밑부분에 암꽃, 윗부분에 수꽃이 연속해서 달리며 끝이 화서보다 훨씬 길게 자라고 암자색이다. 

 

구경은 편평한 원형이고 큰것은 지름 20㎝이상이며 위쪽 중앙에서 잎이 나와 길이 1m정도 자란다. 

한때 남부지방에서 재배했다한때 남부지방에서 재배했다. 남부지방의 절 근처에서 간혹 볼 수 있다. 

 

     

 

 

 

 

=============================================================================================================================

 

요리백과: 쿡쿡TV

곤약

 

 

재료분류: 묵류

제철: 연중계속

 

만난을 가공하여 만든 다이어트 식품의 일인자~!!

글루코만난이 장을 깨끗하게 하여 변비도 예방하고 칼로리가 적어 체중감량에 좋습니다.

 

 

1. 기본정보

· 구입요령 : 적당하게 탄력이 있고 너무 부드럽지 않은 것을 고른다. 유통기한을 확인한다.

· 유사재료 : 우무 (곤약은 구약나물의 땅속줄기를 가루를 내어, 거기에 석회유를 섞어 끓여서 만든식품이고 우무는 식품우뭇가사리를 끓여서 식혀 만든 끈끈한 물질을 말한다.)

· 보관온도 : 1~5℃

· 보관일 : 3일

· 보관법 : 수분 함량이 많으므로 냉동 보관하지 않고 깨끗이 씻어 밀폐용기에 담아 냉장 보관한다.

· 손질법 : 떫은 맛이 있으므로 조리하기 전에 물에 살짝 데치든지, 소금으로 문질러 씻은 후 이용한다.

· 산지특성 및 기타정보 : 아시아에서 잘 생산되어 이용된다.

 

 

2. 섭취정보

· 섭취방법 : 살짝 데쳐서 무침이나 조림으로 이용한다.

· 궁합음식정보 : 어묵 (곤약에 부족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을 어묵이 보충해줄 수 있다.)

· 다이어트 : 칼로리가 거의 없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적합하며, 영양가 역시 없어 필요한 영양소는 다른 식품에서 섭취해야 한다.

· 효능 : 변비 예방 (글루코만난은 장운동을 활발히 하여 변비에 효과적이다.),

           비만 예방 (열량이 낮아 비만 예방에 좋다.),

           당뇨병 예방 (혈당 증가를 천천히 하게 하는 작용이 있어 당뇨병 식사에 도움이 된다.)

· 영양성분

단백질

0.00g

지질

0.00g

당질

0.00g

섬유소

0.00g

회분

0.00g

칼슘

0.00mg

0.00mg

철분

0.00mg

나트륨

0.00mg

칼륨

0.00mg

아연

0.20mg

비타민 A

0.00㎍RE

레티놀

0.00㎍

비타민 B1

0.00mg

비타민 B2

0.00mg

비타민 B6

0.00mg

니아신

0.02mg

비타민 C

0.00mg

엽산

2.00㎍

비타민 E

0.00mg

콜레스테롤

0.00mg

영양성분 : 100g 기준

 

곤약 (쿡쿡TV , 쿡쿡TV)

 

    

 

 

 

 

 

=============================================================================================================================

 

조리용어사전

곤냑[Konnyaku]

 

 

곤약의 특수성분은 글루코만난인데 이물질은 물을 흡수해서 끈끈해지며 석회와 같은 알칼리와 만나면 응고해서 굳는다.

변비증인 사람에게는 매우 좋은 식품으로 위에서 소화되지 않고 창자에 부드러운 자극을 주게 되므로 배에 통증을 주지 않고 배설을 돕는다.

 

곤약은 칼로리가 거의 없으므로 비만인 사람에게 좋은 식품이다.

곤약은 완제품이 판매되고 음식점에서는 꼬치(오뎅)에 섞어 나온다.

 

곤약 만드는법

곤약을 만들려면 먼저 감자를 씻어 잔뿌리를 떼고 껍질을 벗긴다.

1~2일 햇볕에 말린 것을 6mm 가량으로 둥글게 썰어 대꼬챙이에 꽂아 천일건조 또는 화력 건조한다.

10kg의 날감자가 2kg 가량으로 될 때까지 건조시킨다.

건조시킨 것을 0.6mm량의 작은 알갱이로 가루를 낸다.

솥에 미지근한 물(5.5ℓ)을 넣고 가루 150g을 조금씩 넣으면서 휘저어 푼다.

다 넣고 30~50분간 강하게 저으면 처음에는 거품이 많이 생기나 차차 거품이 삭는다.

이것을 1~2시간 방치하면 만난이 완전히 팽창해서 풀모양이 된다.

이것에 석회유를 넣고 잘 저어서 틀에 담는다.

40분 가량 방치해서 굳히고 미리 끊여놓은 물 속에 넣어 30분 가량 가열 응고 시킨다.

이것을 냉수중에 담가두면 석회가 녹아 나와 알칼리의 잡맛이 없어진다.

 

제품이 된 곤약의 성분은 수분 97% 글루코만난 2.3% 가량이다.

성분상으로 보면 영양가는 거의 0에 가깝다.

 

생리작용으로 최근에 곤약에 포함되어 있는 만난에 혈장 콜레스테롤치를 저하시키는 작용이 있는 것이 보고되어 있으며 일종의 다이에타리파이버로서 장관내에서 이물의 흡착배설에 도움이 되고 있는 것도 알려져 있다.

곤약에 들어 있는 글루코만난은 흡수성이 높은 알칼리성으로서 가열하면 응고하여 반투명의 탄력성이 풍부한 겔을 형성하는 성질이 있는데 이 성질을 이용하여 식용 곤약을 만든다.

글루코만난은 사람의 소화관내에서 소화흡수작용은 일어나지 않지만 정장작용이 있다.

곤냑 [Konnyaku] (조리용어사전, 2007.8.27, 광문각)

 

 

 

 

 

 

=============================================================================================================================

 

식약청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글루코만난

 

 

글루코만난(곤약, 곤약만난)은 “콜레스테롤 개선”, “배변활동 원활”의 기능성이 인정되었다.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로서의 글루코만난은 곤약 혹은 곤약만난으로도 일컬어지는 것으로, 천남성과 구약나물(곤약, Amorphophalus konjac)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추출하고 정제하여 다당류 분획을 얻은 후 식용에 적합하도록 한 것을 말하며 식이섬유를 69% 이상 함유하고 있어야 한다.

 

콜레스테롤이 약간 높은 사람 11명에게 3주 동안 17g의 글루코만난을 섭취시킨 Vuksan 등(1999)의 연구 결과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apolipoprotein B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Yoshida 등(2006)은 건강인과 콜레스테롤이 약간 높은 사람 34명에게 3주 동안 10g을 섭취시켜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콜레스테롤이 높은 사람 70명에게 4주 동안 4g의 글루코만난을 섭취시킨 Arvill 등(1995)의 연구에서도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Chen 등(2006)은 건강한 성인 8명에게 7일 동안 글루코만난 4g을 섭취시켜 장 운동, 변 중 수분량, 장내 유익균, 단쇄지방산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Loening-Baucke 등(2004)은 평균 나이가 7세인 어린이 31명에게 4주 동안 5g 정도의 글루코만난을 섭취시킨 결과, 복부의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하고 배변과 관련된 상태가 유의하게 개선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기능성이 확인된 인체 시험에서의 섭취량을 고려하여, 일일 섭취량을 4~17g으로 설정하였다.

 

배변활동은 4g과 5g에서 실제 기능성이 확인되었으나, 이는 식이섬유의 물리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나는 점을 고려하여 다른 기능성의 섭취 수준과 같은 17g으로 상한치를 설정하였다.

 

제조기준

(1) 원재료: 천남성과 곤약(Amorphophallus Konjq)의 뿌리줄기

(2) 제조방법 : 상기 (1)의 원재료를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추출하고 정제하여 다당류 부분을 얻은 후 식용에 적합하도록 함.

(3) 기능성분(또는 지표성분)의 함량 : 식이섬유를 690㎎/g 이상 함유하고 있어야 함.

 

규격

(1) 성상 : 고유의 색택∙향미를 가지고 이미∙이취가 없어야 함.

(2) 식이섬유

   (가) 원료성 제품 : 표시량 이상

   (나) 최종제품 : 표시량의 80% 이상

(3) 잔류용매(㎎/㎏) : 50.0 이하

(4) 대장균군 : 음성

 

참고문헌

• Arvill A et al., Effect of short-term ingestion of konjac glucomannan on serum cholesterol in healthy men. Am J Clin Nutr 61:585-589, 1995.

• Chen H L et al., Konjac acts as a natural laxative by increasing stool bulk and improving colonic ecology in healthy adults. Nutrition 22:1112-1119, 2006.

• Loening-Baucke V et al., Fiber(Glucomannan) is beneficial in the treatment of childhood constipation. Pediatrics 113:259-264, 2004.

• Vuksan V et al., Konjac-Mannan(Glucomannan) improves glycemia and other associated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in type 2 diabetes. Diabetes Care 22:913-919, 1999.

• Yoshida M et al., Effect of plant sterols and glucomannan on lipids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type II diabetes. Eur J Clin Nutr 60:529-537, 2006.

 

글루코만난 (식약청 건강기능식품 기능성원료, 2011, 식품의약품안전처)

 

 

 

 

 

 

=============================================================================================================================

 

경기도농업기술원

곤약 [elephant foot, 崑蒻]

 

 

생물학적 분류

: 식물계(Plantae)

: 피자식물문(Angiospermae)

: 외떡잎식물강(Monocotyledoneae)

: 천남성목(Arales)

: 천남성과(Araceae)

: Amorphophalus

 

크기: 1~1.5m

용도: 약용, 관상용

개화시기: 5월~6월

수확시기: 10월

원산지: 동남아시아

분포지: 일본, 중국, 베트남, 인도, 스리랑카

자생지: 열대~온대지역 그늘지고 습한 곳

 

특징

속명인 morphophallus는 고대 그리스어인 amorphos와 phallos의 합성어로 amorphos는 일정한 형태가 없거나 기형을 의미하며 phallos는 남자의 생식기를 뜻하는 의미로 천남성과의 독특한 육수화서와 이를 덮고있는 불염포에 의해서 꽃망울이 형성되어 피기 직전의 모습이 마치 기형적으로 거대한 생식기 모습 같은데서 유래

 

곤약의 알줄기는 편평한 원형이고 지름이 20cm 이상이며 그 가운데서 잎이 나와 1m 정도까지 자란다.

잎은 3개로 완전히 갈라졌다가 다시 2~3개로 갈라지며 그 조각은 다시 깃꼴로 갈라진다.

잎자루는 원기둥 모양이고 연한 녹색인데, 자줏빛의 반점이 있다.

작은 잎조각은 달걀모양의 피침모양이며 끝이 꼬리처럼 뾰족하고 털이 없다.

 

봄에 1m 정도의 꽃자루가 나오고 밑부분에 2~3개의 비늘모양의 잎이 나오며 30~50cm의 꽃차례가 달린다.

꽃이 필 수 있는 큰 알줄기는 겨울에 따뜻한 실내에서 수분 공급이 전혀 없이도 나출된 상태의 알줄기로부터 꽃자루가 올라와 꽃을 피우고, 저장 영양분을 소모하여 쭈그러진 알줄기는 봄에 땅에 심으면 다시 싹이 올라온다.

꽃턱잎은 깔대기 모양이고 밑쪽에는 암꽃, 위쪽에는 수꽃이 연속해서 달린다.

열매는 장과로 옥수수처럼 붙어 있으며 노란빛을 띤 붉은색으로 익는다.

 

곤약은 인도지나 반도가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남아시아 몬순지대에서 분화된 몇 종은 식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중국과 일본에서는 식용과 약용으로 재배 생산되고 있다.

원산지인 인도, 스리랑카로부터 중국, 한국을 경우하여 일본에 전파된 것으로 추청된다.

 

 

 

재배정보

 

1) 심는 방법

정식시기는 4월 상순~5월 상순이 적당하다. 이랑너비 50cm, 포기사이 15cm로 밀식했을 때 수량성이 높다.

 

(1) 준비물

구경을 이용할 때는 씨감자처럼 쪼개어 쓰거나 자구를 통째로 심는다. 30g 이내의 것을 종구로 심는 것이 경제적이다. 50g 이상 큰 것은 절단하여 심을 수 있으나 줄기썩음병과 같은 병발생이 심하여 좋지 않다.

 

(2) 가꾸기 포인트

음지식물이므로 차광을 이용하여 생육을 조장하고 구경수량을 높일 수 있다. 월동 중에는 피복하여 동해를 예방하여야 한다.

 

 

2) 기후 및 토양

 

(1) 기후조건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생육하고, 그늘지고 습한 곳에서 자생하므로 햇볕이 강하지 않은 곳이 좋다.

 

(2) 토양조건

모래와 자갈이 많지 않고 경토가 깊은 양토가 좋은데, 특히 배수가 잘 되고 습기가 적당한 곳이 좋다. 부식질이 많은 토양에서는 수량은 많지만 정분량이 적고 품질이 떨어진다. 점질토양에서는 생육이 좋지 않고 수량도 적으나 품질은 우수하다.

 

 

3) 관리하기

 

(1) 거름주기

10a당 질소 15kg, 인산 11kg, 칼리 15kg 정도가 적당하다.

 

(2) 꺾꽂이 방법

포복경을 이용한 번식은 감초가 휴면하고 있는 가을에 지상부가 마른 뒤 땅이 얼기 전과 해동 후 출아하기 전에 근경을 채취하여 직경이 약 1cm되는 어린 근경을 1~2개의 액아를 기준하여 길이 10~17cm로 잘라 심는다. 심는 방법은 포기사이 7~10cm, 심는 깊이는 5cm 정도로 한다.

 

(3) 질병관리

ㆍ백견병

증상 - 토양에서 월동한 균핵이 지온상승으로 발아하여 지제부로 침입하여 발병하며 고온, 건조기에 발병이 심하다.

치료 - 기주작물 윤작회피 및 이병식물체 제거

 

ㆍ엽고병

증상 - 이병식물체에서 월동하여 이듬해에 빗방울에 의해 출아중인 포의 부분에 이동하여 증식한 다음 출엽하는 소엽으로 발병한다.

치료 - 기주작물 윤작회피 및 이병식물체 제거ㆍ부패병, 근부병치료 - 기주작물 윤작회피 및 이병식물체 제거

 

 

4) 수확하기

4년 이상 재배한 후 수확한다

 

곤약 [elephant foot, 崑蒻] (경기도농업기술원)

 

 

 

 

 

 

=============================================================================================================================

바로가기

 

천남성 | 식물도감(植物圖鑑) 

곤약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육수꽃차례(육수화서) | 식물도감(植物圖鑑)

한국자생.재배 식물목록(가나다순)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7. - 4,903種중 (4204. 쥐손이풀과 - 4901. 흑삼릉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하속  (0) 2014.12.27
몬스테라  (0) 2014.12.27
점박이천남성  (0) 2014.12.26
섬남성  (0) 2014.12.26
무늬천남성  (0) 201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