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콩다닥냉이

호남인1 2014. 12. 17. 20:17

 

 

 

 

 

콩다닥냉이

학명: Lepidium virginicum L

 

 

이명:콩말냉이, 좀다닥냉이 /영명: Pepper-grass /꽃말: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문 >진덩쌍떡잎식물강 >십자화목 >십자화과 > 다닥냉이속

원산지:북아메리카 /분포: 유럽과 아시아 /서식: 길가나 빈터 /크기: 높이 30~50cm

생약명: 다닥냉이, 콩다닥냉이, 꽃다지, 재쑥의 종자를 정력자라 하며 약용한다.

 

2년생 초본 

십자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또는 한해살이풀이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한국에서는 길가나 공터 등에 흔하다. 병 닦는 솔과 비슷한 모양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콩다닥냉이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4059&mn=KFS_28_01_02_01

 

 

 

 

 

-------------------------------------------------------------

근생엽은 총생하여 수평으로 퍼지고 엽병이 길며 길이 3-5cm로서 1회우상복엽이고 열편 전연(前緣)에 톱니가 있으며 정열편은 넓은 난형이고 측열편보다 크며 꽃이 필 무렵에 없어진다. 경생엽은 도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흐른다. 

 

각과는 거의 둥글며 길이 3mm정도로서 윗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고 요두이다. 종자는 2개이고 적갈색이며 가장자리에 있는 막질의 날개가 젖으면 점액이 나온다. 

 

꽃은 5~7월에 피며 백색이고 총상화서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4개이고 녹색이며 타원형이다. 꽃잎도 4개이며 길이 2.5-3mm로서 꽃받침보다 길지만 불완전한 것도 있고 수술은 2개이거나 간혹 4개이다. 

털이 없고 높이 30-50cm이며 상부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북아메리카 원산 

▶유럽과 아시아에 분포한다. 

길가나 빈터에서 흔하게 자란다. 

 

 

 

 

생약명

다닥냉이, 콩다닥냉이, 꽃다지, 재쑥의 종자를 정력자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에 과실이 성숙하였을 때 전초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종자를 떨어내어 체로 쳐서 불순물을 제거한다.

②성분 : 다닥냉이의 종자에는 脂肪油(지방유), sinalbin, 단백질, 糖類(당류)가 함유되어 있고 재쑥의 종자에는 benzyl-siothiocyanate, allyl-isothiocyanate, diallyl disulfide로 이루어진 精油(정유)가 함유되어 있다. 지방유의 收得率(수득율)은 15-20%이고 지방유 중에는 linolenic acid 7.54%, linoleic acid 32.5%, olein酸(산) 25.1%, erucic acid 21.4%, palmitin酸(산) 9.64%, stearin酸(산) 3.81%가 함유되어 있고 비감화부분에는 sitosterol 및 소량의 황색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또 종자에서 2종의 强心作用(강심작용)이 있는 배당체가 분리추출되었는데 그 하나는 helveticoside(erysimin)라고 하는 것이다.

③약효 : 下氣(하기), 行水(행수)의 효능이 있다. 肺閉塞(폐폐새), 痰飮咳嗽(담음해수), 水腫脹滿(수종창만), 積聚(적취), 結氣(결기), 음식으로 인한 寒熱(한열)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4.5-9g을 달여서 복용한다.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粉末(분말)을 조합하여 붙이거나 또는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특징

전체에 털이 없음 

 

 

 

 

 

 

=============================================================================================================================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콩말냉이

 

 

학명: Lepidium virginicum L.

 

일반적특징

2년초로 곧게 서며 털이 없고 중부 이상에서 많은 가지를 치며 높이 30~50㎝이다. 근생엽은 총생하여 수평으로 퍼지고 엽병이 길며 길이 3~5㎝로서 두대우상으로 갈라지고 꽃이 필 무렵에 없어진다. 경엽은 도피침형으로 톱니가 있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엽병으로 흐른다.

 

꽃은 5~7월에 백색으로 피며 가지와 줄기 끝에 총상화서로 달린다. 꽃받침 조각은 4개로 녹색이고 꽃잎은 4개로 꽃받침보다 길지만 불완전한 것도 있다. 수술은 4강(强)하고 암술은 1개이다. 과실은 각과로 원형이고 길이 너비 모두 2.5~3㎜이며 윗가장자리에 좁은 날개가 있고 끝이 폭 들어갔으며 종자는 적갈색으로 가장자리에 막질의 날개가 있다.

본종은 큰다닥냉이에 비해 각과는 원형이다.

 

생태적특징

북미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이우철, 1996.11.15, 아카데미서적

 

 

 

 

 

=============================================================================================================================

 

위키백과

콩다닥냉이

 

 

학명: Lepidium virginicumL.

 

콩다닥냉이(학명: Lepidium virginicum)는 십자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 또는 한해살이풀이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한국에서는 길가나 공터 등에 흔하다. 병 닦는 솔과 비슷한 모양이다.

 

특징[편집]

키는 30~50cm 로 곧추서며, 미세한 털이 나있다. 뿌리켠에서 나는 잎과 줄기에 붙은 잎이 있다. 뿌리잎은 모이거나 수평으로 퍼지고, 길이 3~5cm로 긴 잎자루가 있으며 깃골로 갈라지는 1회우상복엽이다.[1] 갈라진 조각 중 끝에 달린 조각은 넓은 달걀 모양이고 옆에 달린 조각보다 크다. 뿌리잎은 로제트 상태로 겨울을 나며 꽃이 필 때는 사라진다.[2]

 

줄기잎은 거꾸로 선 달걀 모양으로 아랫부분이 좁아지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데, 뿌리잎과 달리 거의 잎자루가 없다. 줄기는 위쪽에서 많이 갈라져 5~7월에 많은 꽃을 다는데,[2]

 

들다닥냉이와 마찬가지로 송이꽃차례(총상화서)가 발달하는 것이 특징이라 병 닦는 솔(bottlebrush)과도 같은 형세다.[3] 꽃잎은 흰빛이며 길이는 1~3mm 정도인데 녹색 타원 모양인 꽃받침보다 약간 길어 각각 4개씩 있다.

 

열매는 각과[1]로 편평한 원형으로 길이 3mm 내외이고 끝이 오목하다. 종자는 적갈색으로, 희고 반투명한 날개가 있다.

밭에 흔한 다닥냉이보다는 꽃이 다소 크고, 줄기에 나는 잎이 보다 넓고 톱니가 있다.[2]

 

재배와 이용[편집]

농작물 사이에 끼어서 자라는 잡초이며 길가나 공터 등에도 흔하다. 건조한 흙과 양지를 좋아한다.

식물의 모든 부분에서 후추 맛이 난다. 식용으로 쓸 수 있는데, 어린 잎은 나물로 먹거나, 부치거나 날것으로 해서 샐러드로 먹는다.[4] 어린 꼬투리는 후추 대용으로 쓸 수 있다. 잎에는 단백질비타민 A, 비타민 C가 있다.[4]

 

 

 

 

=============================================================================================================================

 

사진출처

 

워키피디아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지음님, 아이디카님,

 

 

 

=============================================================================================================================

바로가기

 

십자화과 [Brassicaceae, 十字花科] | 식물도감(植物圖鑑) 

다닥냉이 | 식물도감(植物圖鑑)

콩다닥냉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5. - 4,903種중 (2733. 사초과 - 3470. 쐐기풀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다닥냉이  (0) 2014.12.21
대부도냉이  (0) 2014.12.20
큰다닥냉이  (0) 2014.12.17
큰키다닥냉이  (0) 2014.12.17
국화잎다닥냉이  (0) 2014.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