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광릉갈퀴

호남인1 2014. 10. 9. 07:01

 

 

 

 

 

광릉갈퀴

 

학명: Vicia venosa var. cuspidata Maxim. 

이명: 광능갈키, 광능갈퀴, 광릉말굴레풀, 선등갈키, 선등말굴레풀, 나물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이판화아강 > 장미목 > 콩과  >나비나물속

원산지:한국 /분포: /서식: 산지의 숲속 /크기: 높이 80-100cm

생약명:

 

다년생초본(특산식물)

콩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80~100센티미터로 줄기는 모가 나며 곧게 선다. 잎은 깃꼴 겹잎으로 어긋맞게 난다. 6~7월에 자줏빛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총상 꽃차례로 핀다. 어린잎과 줄기는 식용하며 전남, 충남, 충북, 강원, 경기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광릉갈퀴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30439&mn=KFS_28_01_02_01

 

 

-------------------------------------------------------------

잎은 호생하고 3-7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우수우상복엽으로서 덩굴손이 짧은 돌기같은 흔적으로 된다. 소엽은 피침형이며 길이 2-6cm, 나비 8-10mm로서 끝이 점차 가늘어지고 미부분이 둔하며 탁엽은 삼각형 비슷하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열매는 편평하고 털이 없으며 길이 3cm정도의 협과이다. 

 

총상화서는 엽액에서 나오며 길이 2-4cm로서 긴 화경 끝에 꽃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달리고 꽃은 6-7월에 피며 길이 12-15mm로서 홍자색이다. 꽃받침은 통형이고 끝이 얕게 갈라진다. 

 

높이 80-100cm이며 곧추 자라고 네모진 원줄기의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약간 짧은 털이 있다.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국내에만 자생하는 특산 식물.

 

 

몸에 좋은 산야초

광릉갈퀴

 

학명: Vicia subcuspidata

개화기: 6~8월

분포: 한국, 북한지방

 

특징

높이 80cm 정도로 자라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다른 물체에 의지하지 않고 곧게 서서 자라는 줄기는 모가 져 있다.<BR><BR>잎은 아카시아처럼 3~4짝의 작은 잎으로 구성된다.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끝부분에는 덩굴손의 흔적이 남아 있으나 덩굴로 자라지는 않는다. 잎의 길이는 3~6cm쯤 된다.

 

잎겨드랑이에 나비처럼 생긴 작은 꽃이 뭉쳐 이루어지는 꽃이삭이 생겨나는데 피어나는 꽃의 수는 그리 많지 않다. 꽃의 크기는 1cm 안팎이고 빛깔은 남빛을 띤 보랏빛이다.

 

분포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나 북한지방에는 드물게 난다. 산록지대의 기름진 땅에 형성되는 풀밭 속에서 자란다.

 

식용법

4~5월경에 한창 자라나는 순을 데쳐 나물로 해서 먹는다. 국거리로도 사용하며 튀김으로 만드는데 이 경우에는 날것을 그대로 조리한다. 맛이 산뜻해서 먹을 만하다.

저자소개 - 장준근

출처: 광릉갈퀴 (몸에 좋은 산야초, 2009.11.15, (주)넥서스)

 

 

 

사진출처

floma / http://www.floma.pe.kr/  희망샘/김성철님, 언제나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깜보/송동섭님, 靑山裏碧溪水님, 풀지기 / 박대문님, 거목님, 홍시님,

 

 

콩과(Leguminosae) | 식물도감(植物圖鑑)

나비나물 | 식물도감(植物圖鑑)

광릉갈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방나비나물  (0) 2014.10.09
가는등갈퀴  (0) 2014.10.09
구주갈퀴덩굴  (0) 2014.10.09
연리갈퀴  (0) 2014.10.09
큰네잎갈퀴  (0) 2014.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