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황기
학명: Hedysarum vicioides var. japonicum (Fedtsch.) B.H.Choi &Ohashi
이명: 두메황기 /영명: /꽃말:
분류: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이판화아강 > 장미목 > 콩과 > 묏황기속
원산지: /분포: 함경남도 낭림산 이북의 백두산지역의 중복 이상 /서식: /크기: 높이: 70cm
생약명:
다년생초본
콩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 높이 70센티미터 정도로 자라며, 잎은 5~10쌍의 작은 잎으로 된 겹잎이다. 7~8월에 황색 꽃이 줄기나 가지 끝에 총상 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협과(莢果)로, 1~5마디가 있고 염주 모양이다. 우리나라와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이명
Hedysarum vicioides var. japonicum (Fedtsch.) B.H.Choi &OhashiHedysarum alpinum var. japonicum Fedtsch.Hedysarum ussuriense Schischk. &Kom.
분포: 함경남도 낭림산 이북의 백두산지역의 중복 이상에 난다.
형태
잎은 호생하고 5-10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타원형, 긴 타원형 또는 피침형이고 양 끝이 둔하며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길이 10-15mm로서 황색이고 총상화서에 다소 한쪽으로 치우져서 달린다. 꽃받침은 종형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첫째 열편이 통부보다 2배 정도 길며 기판과 용골판은 길이가 비슷하지만 익판보다는 길다.
열매는 협과로 편평한 선형이고 1-5개의 마디가 있으며 마디사이에 종자가 1개씩 들어 있고 길이 5cm정도이며 겉에 주름이 있고 털 또는 가시같은 털이 있다. 종자는 갈색이며 길이 3mm정도로서 평활하다.
높이가 70cm에 달하고 전체에 복모가 없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출판
Bull. Soc. Nat. Moscou. 13 : 69 ()
참고문헌
1) 한국식물도감(상권 목본부) (정태현, 1957),2) 한국식물명고 (이우철, 1996)
본종은 묏황기에 비해 꽃이 황색이고 화서가 짧으며 포는 대체로 일찍 떨어진다.
나도황기 (두산백과)
분포지역: 한국(평북·함북)·일본
서식장소/자생지: 높은 산의 중턱 이상
높이: 70cm
높은 산의 중턱 이상에서 자란다. 전체에 털이 없고 줄기는 곧게 서며 많은 가지를 친다. 높이는 70cm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깃꼴겹잎이 5∼10쌍 있다. 작은잎은 길이가 1.5∼3cm, 폭이 5∼10mm이며 타원 모양·긴 타원 모양 또는 바소꼴이고 양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에 짧은 털이 있다.
꽃은 7∼8월에 황색으로 핀다. 많은 꽃이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줄기나 가지 끝에 달리는데, 꽃이 다소 한쪽으로 몰린다. 꽃의 길이는 10∼15mm꽃받침은 종(鍾) 모양이며 끝이 5개로 갈라지고 첫째 갈래 조각이 통부(筒部)보다 2배 정도 길다. 기판(旗瓣:콩과 식물 꽃의 화관을 구성하는 다섯 개의 꽃잎 중 가장 바깥쪽에 있는 유난히 큰 꽃잎)과 용골판(龍骨瓣:콩과 식물 꽃의 화관에서 가장 밑에 있는 꽃잎으로 보통 암술과 수술을 감싸고 있다)은 길이가 비슷하다.
열매는 협과로 1∼5개의 마디가 있는 염주 모양인데, 마디 사이에 종자가 1개씩 들어있다. 한국(평북·함북)·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출처: 나도황기 (두산백과)
콩과(Leguminosae) | 식물도감(植物圖鑑)
묏황기속 | 식물도감(植物圖鑑)
나도황기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듭풀속 (0) | 2014.09.29 |
---|---|
털나도황기 (0) | 2014.09.29 |
넓은묏황기 (0) | 2014.09.28 |
묏황기 (0) | 2014.09.27 |
묏황기속 (0) | 201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