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노박덩굴속(Celastrus)

호남인1 2014. 8. 6. 21:26

 

 

 

 

 

노박덩굴속(Celastrus)

 

속명: Celastrus

분류: (미분류)속씨식물군 >(미분류)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장미군노박덩굴목노박덩굴과 > 노박덩굴속(Celastrus)

 

노박덩굴 (Celastrus orbiculatus Thunb.)의 열매

 

 

 

노박덩굴류 [bittersweet, ― 類]

 

화려한 색의 열매를 맺는 몇 종류의 덩굴식물.

 

흔히 노박덩굴과(―科 Celastraceae)에 속하는 노박덩굴속(―屬 Celastrus) 식물을 말한다.

노박덩굴(C. orbiculatus)과 켈라스트루스 스칸덴스(C. scandens) 등을 포함한 노박덩굴속 식물은 목본성 덩굴식물로서 관상용 식물로 심기도 한다.

 

꽃은 하얀색으로 무리지어 피며 꽃이 지고 나면 노란색에서 오렌지색의 삭과(蒴果)가 맺힌다. 삭과 안에는 노란색 또는 심홍색을 띠는 종의(種衣)가 씨를 감싸고 있는데, 삭과가 터지면 종의에 싸인 채 씨가 밖으로 나온다.

 

노박덩굴은 번식력이 강한 덩굴식물로 12m까지 뻗으며 미국에서 자라는 종류들은 7.5m까지 뻗으나 열매가 열리지 않는 개체들이 많다. 이 2종 모두 지지대를 칭칭 감아 올라간다.

 

영어로 비터스위트(bittersweet)라고 하면 노박덩굴속 식물 외에 가지과(Solanaceae)에 속하며 덩굴식물인 까마중류 나 솔라눔 둘카마라(Solanum dulcamara)라는 풀을 일컫기도 한다.

이 종은 4.5m까지 길게 자라며 별처럼 생긴 꽃은 자주색과 노란색으로 핀다. 꽃이 지고 나면 밝게 빛나는 초록색의 장과(漿果)가 열리는데, 열매가 익으면서 밝은 빨간색으로 바뀐다(→ 색인 : 까마중류).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노박덩굴속 식물로는 노박덩굴을 비롯하여 털노박덩굴(C. stephanotifolius)·푼지나무(C. flagellaris) 등 3종류가 있다.

출처: 식물 | 브리태니커

 

 

 

 

한국서식 노박덩굴속 (Celastrus) 6종 바로가기

개노박덩굴 (Celastrus orbiculatus var. strigillosus (Nakai) Makino)

노박덩굴  (Celastrus orbiculatus Thunb.)

덤불노박덩굴 (Celastrus orbculatus var. sylvestris (Siebold) Nakai ex Mori)

털노박덩굴 (Celastrus stephanotiifolius Makino)

푼지나무 (Celastrus flagellaris Rupr.)

해변노박덩굴 (Celastrus orbculatus var. puntatus (Thunb.) Rehder)

 

푼지나무 (Celastrus flagellaris Rupr.)의 열매

 

 

한국서식 노박덩굴속 (Celastrus) 6종 특징비교

 

1. 개노박덩굴 (Celastrus orbiculatus var. strigillosus (Nakai) Makino)

잎은 타원형이며 길이 5-10cm, 폭 3-8cm로서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고 밑부분이 둥글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엽병은 길이 1-2.5cm이다. 잎 뒷면 맥위에 주상의 돌기가 있다. 

열매는 구형이고 지름 8mm로서 10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3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황적색 종의(種衣)로 싸여 있다. 

꽃은 이가화 또는 잡성화로서 5-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1-10여개가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3-5mm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수꽃에 5개의 긴 수술이 있으며 암꽃에 5개의 짧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화서가 평활하다. 

 

개노박덩굴 (Celastrus orbiculatus var. strigillosus (Nakai) Makino)

 

 

 

2. 노박덩굴 (Celastrus orbiculatus Thunb.)

꽃은 이가화 또는 잡성화로서 5-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1-10개가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3-5mm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수꽃에 5개의 긴 수술이 있으며 암꽃에 5개의 짧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각각의 꽃은 지름 4㎜ 정도로 매우 작아서 눈에 잘 띠지않는다.

줄기는 갈색 또는 회갈색이고 털이 없다. 남사등(南蛇藤) 또는 취화소(臭花椒)라 한다.

 

노박덩굴 (Celastrus orbiculatus Thunb.)

 

 

 

 

3. 덤불노박덩굴 (Celastrus orbculatus var. sylvestris (Siebold) Nakai ex Mori)

잎은 원형이며 얇고 길이 10cm, 폭 10cm로서 엽병은 길이 2.1cm이다. 

열매는 구형이고 지름 8mm로서 10월에 황색으로 익으며 3개로 갈라지고 종자는 황적색 종의(種衣)로 싸여 있다. 

꽃은 이가화 또는 잡성화로서 5-6월에 피며 황록색이고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1-10여개가 달리며 소화경은 길이 3-5mm이다. 꽃받침잎과 꽃잎은 각각 5개이고 수꽃에 5개의 긴 수술이 있으며 암꽃에 5개의 짧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덤불노박덩굴 (Celastrus orbculatus var. sylvestris (Siebold) Nakai ex Mori)

 

 

 

4. 털노박덩굴 (Celastrus stephanotiifolius Makino)

잎은 호생하고 넓은 타원형, 타원형, 원형 또는 난상 원형이며 급첨두 또는 급예두이고 원저 또는 예저이며 길이 6~10cm, 나비 5-8cm로서 표면에 털이 없고 뒷면은 연한 색이며, 특히 중륵 위에 굽은 오황색(汚黃色) 털이 많고 엽병은 길이 2-3cm이다. 

열매는 삭과로 지름 5-6mm로서 난상 구형이며 3개로 갈라진다. 

취산화서는 액생하며 짧은 화경에 몇 개의 꽃이 달리고 꽃은 녹황색이며 짧고 굽은 강모가 있으며 소화경이 짧다. 

가지는 회갈색이며 피목이 드문드문 있고 털이 많지 않으며 소지에 밑으로 꼬부라진 짧은 강모가 있다.  

중부 이남에서 자란다.

 

털노박덩굴 (Celastrus stephanotiifolius Makino)

 

 

 

5. 푼지나무 (Celastrus flagellaris Rupr.)

꽃은 이가화로서 6월에 피고 지름 6-7mm이며 황록색이고 액생하는 취산화서에 1-3개씩 달리며 화경이 없고 소화경은 길이 2-6mm이다. 꽃받침은 작으며 5개로 갈라지고 꽃잎은 긴 타원상 주걱형으로서 현저하지 않다. 

줄기에 기근이 있어 노목의 줄기나 바위에 붙어서 자라고 여러개가 모여서 난다. 줄기는 짧은 털이 있으며 갈색에서 회갈색으로 되고 가지가 길어져서 덩굴로 되는 것도 있다. 

 

푼지나무 (Celastrus flagellaris Rupr.)

 

 

 

6. 해변노박덩굴 (Celastrus orbculatus var. puntatus (Thunb.) Rehder)

바닷가의 산기슭이나 바위 부근에서 자란다. 길이 약 10m이다. 가지는 갈색 또는 잿빛을 띤 갈색이고 뚜렷한 피목(皮目)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 모양이며 길이 3∼5cm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근 모양이다. 두껍고 윤이 나며 가장자리에 뭉툭한 톱니가 있다. 겉면 맥이 오목하게 들어가고 잎자루가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이거나 잡성화로서 5월에 녹색을 띤 노란빛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고 수꽃에는 5개의 긴 수술이 있으며, 암꽃에는 5개의 퇴화한 짧은 수술과 1개의 암술이 있다.

 

해변노박덩굴 (Celastrus orbculatus var. puntatus (Thunb.) Rehder)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 http://www.geocities.jp/thmt77/th-a-onituruumemodoki.htm

 

.


노박덩굴과 [Celastr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덤불노박덩굴   (0) 2014.08.07
노박덩굴  (0) 2014.08.07
노박덩굴과 [Celastraceae]  (0) 2014.08.06
노박덩굴목(Celastrales)  (0) 2014.08.06
쌍떡잎식물  (0) 2014.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