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박하속
속명: Isodon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통화식물목 >꿀풀과 >산박하속
산박하속 은 꿀풀과의 한 속이다. 150여 종을 거느린다.
한국에는 다음 종이 산다.
• 오리방풀 (I. excisus (Max.) Kudo.)
• 흰오리방풀 (I. excisus for. albiflorus Hara.)
• 둥근오리방풀 (I. excisus var. chiisanensis (Nak.) T. Lee)
• 지리오리방풀 (I. excisus var. coreanus T. Lee)
• 산박하 (I. inflexus (Thunb.) Kudo)
• 털산박하 (I. inflexus var. canescens Kudo.)
• 깨나물 (I. inflexus var. macrophyllus Nak(Kudo.).)
• 영도산박하 (I. inflexus var. microphyllus Kudo.)
• 긴잎산박하 (I. inflexus var. transiticus Kudo.)
• 방아풀 (I. japonicus (Burm.) Hara)
• 자주방아풀 (I. serra Nemoto)
산박하 (Isodon inflexus (Thunb.) Kudo)
한국서식 산박하속 (Isodon) 11종 바로가기
긴잎산박하 (Isodon inflexus var. transiticus Matsum. &Kudo)
깨나물 (Isodon inflexus var. macrophyllus (Maxim.) Kitag.) 둥근오리방풀 (Isodon excisus var. chiisanensis T.B.Lee) 방아풀 (Isodon japonicus (Burm.) Hara) 산박하 (Isodon inflexus (Thunb.) Kudo) 영도산박하 (Isodon inflexus var. microphyllus Kudo) 오리방풀 (Isodon excisus (Maxim.) Kudo) 자주방아풀 (Isodon serra (Maxim.) Kudo) 지리오리방풀 (Isodon excisus var. coreanus T.B.Lee)
털산박하 (Isodon inflexus var. canescens (Nakai) Kudo)
흰오리방풀 (Isodon excisus for. albiflorus (Sakata) Hara)
|
|
|
방아풀 (Isodon japonicus (Burm.) Hara)
한국서식 산박하속 (Isodon) 11종 특징비교
1. 긴잎산박하 (Isodon inflexus var. transiticus Matsum. &Kudo)
2. 깨나물 (Isodon inflexus var. macrophyllus (Maxim.) Kitag.)
꽃은 6-8월에 피며 취산화서는 원줄기 윗부분에 대생하여 큰 화서를 형성하고 꽃받침은 길이 5-6mm로서 털이 있으며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8-10mm로서 순형이며 상순이 위를 향하고 하순은 여자 고무신같은 모양이며 이강웅예와 1개의 암술이 있다.
깨나물 (Isodon inflexus var. macrophyllus (Maxim.) Kitag.)
3. 둥근오리방풀 (Isodon excisus var. chiisanensis T.B.Lee)
4. 방아풀 (Isodon japonicus (Burm.) Hara)
꽃은 8~9월에 피고 취산화서는 엽액과 원줄기 끝에서 대생하여 화수(花穗)를 형성하며 전체가 원추화서로 된다. 꽃받침은 길이 3-4mm이고 5개로 갈라지며 열편은 삼각형이고 화관은 통상 순형(筒狀脣形)이며 길이 5-7mm이고 연한 자주색이며 2강수술이 있다.
높이 50-100cm이고 네모진 능선에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으며 곧게 선다.
방아풀 (Isodon japonicus (Burm.) Hara)
5. 산박하 (Isodon inflexus (Thunb.) Kudo)
꽃은 6~8월에 피며 취산화서는 원줄기 윗부분에서 대생하여 큰 화서를 형성하고 꽃받침은 길이 5-6mm로서 털이 있으며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다. 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8-10mm로서 순혀이며 상순이 위를 향하고 하순은 여자 고무신 같은 모양이며 암술은 1개이고, 수술은 4개인데 2개가 길다.
산박하 (Isodon inflexus (Thunb.) Kudo)
6. 영도산박하 (Isodon inflexus var. microphyllus Kudo)
꽃은 6-8월에 피며 취산화서는 원줄기 윗부분에 대생하여 큰 화서를 형성하고 꽃받침은 길이 5-6mm로서 털이 있으며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다.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8-10mm로서 순형이며 상순이 위를 향하고 하순은 여자고무신같은 모양이며 이강웅예와 1개의 암술이 있다.
영도산박하 (Isodon inflexus var. microphyllus Kudo)
7. 오리방풀 (Isodon excisus (Maxim.) Kudo)
꽃은 6-8월에 피며 엽액과 원줄기 끝에서 대생하는 취산화서에 달리고 화서는 길이 5-20cm로서 꽃받침과 더불어 퍼진 털이 있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형이다. 화관은 통부가 짧으며 길이 8-12mm이고 자주색이며 상순은 젖혀지고 얕게 갈라지며 하순은 주형으로서 앞으로 돌출하였다. 4개의 수술 가운데서 2개는 길다.
오리방풀 (Isodon excisus (Maxim.) Kudo)
8. 자주방아풀 (Isodon serra (Maxim.) Kudo)
9. 지리오리방풀 (Isodon excisus var. coreanus T.B.Lee)
10.털산박하 (Isodon inflexus var. canescens (Nakai) Kudo)
꽃은 6-8월에 피며 취산화서는 원줄기 윗부분에 대생하여 큰 화서를 형성하고 꽃받침은 길이 5-6mm로서 털이 있으며 열편은 좁은 삼각형이다.화관은 자주색이고 길이 8-10mm로서 순형이며 상순이 위를 향하고 하순은 여자고무신같은 모양이며 이강웅예와 1개의 암술이 있다.
털산박하 (Isodon inflexus var. canescens (Nakai) Kudo)
11.흰오리방풀 (Isodon excisus for. albiflorus (Sakata) Hara)
꽃은 6-8월에 흰색으로 피며 엽액과 원줄기 끝에서 대생하는 취산화서에 달리고 화서는 길이 5-20cm로서 꽃받침과 더불어 퍼진 털이 있다. 꽃받침은 녹색이며 5개로 갈라지고 열편은 삼각형이며 화관은 통부가 짧고 길이 8-12mm이다. 4개의 수술 중 2개가 길다.
흰오리방풀 (Isodon excisus for. albiflorus (Sakata) Hara)
제목 : 한국산 산박하속(꿀풀과)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글쓴이 : 김상태 글쓴시각 : 2011-07-18 22:43:08
한국산 산박하속(꿀풀과)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http://pltaxa.or.kr/board.html?category=total&idx=3&mode=read&table=scholarship
마윤주p1, 김상태1 1성신여자대학교
본 연구는 한국산 산박하속 식물들에 대하여 원기재 및 기준표본에 대한 검토와 형태학적 형질조사를 통하여 각 분류군의 구분성을 확인하였고, 이들의 분류학적 구조를 명확히 하였다. 외부형태학적 형질들의 확인과 측정 및 주사전자현미경에 의한 화분, 과실, 잎 표면의 관찰 등을 통하여 각각의 분류군에 대한 유형을 파악하였으며,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각 분류군을 기재하였고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지금까지 여러 학자들 간에 분류군 인식에 대한 이견을 보여 왔던 I. excisus complex와 I. inflexus complex에 대하여 각각 34개, 42개의 형질을 선택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하였다. I. excisus complex에 대한 분석 결과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종내 분류군의 구분에 이용된 형질인 엽형, 엽저, 거치 등은 연속적인 형질로 파악되어 종내 분류군 구분에 사용될 수 없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로써 화관의 색이 흰색인 I. excisus for. albiflorus (흰오리방풀)를 제외한 I. excisus complex 내의 모든 분류군을 I. excisus for. excisus (오리방풀)의 동종이명으로 처리하였다.
I. inflexus complex에 대한 분석결과 complex내에 세 개의 그룹이 인식되었고, 이들은 각각 I. inflexus var. inflexus (산박하), I. inflexus var. microphyllus (영도산박하), I. inflexus var. canescens (털산박하)에 해당하였으며, 엽형과 거치에 관련된 형질, 잎 표면 비선모의 밀도, 꽃받침의 길이와 너비 등의 형질이 이들을 구분할 수 있는 주요형질이었다.
기존에 I. inflexus var. macrophyllus와 I. inflexus var. transiticus로 동정되었던 개체들은 연속적인 형질변이를 보이고 있어 I. inflexus var. inflexus와 통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I. excisus complex 및 I. inflexus complex와는 명확히 구분되어 분류학적 문제점이 없었던 독립된 두 종인 I. japonicus (방아풀)과 I. serra (자주방아풀)를 포함하여 한국산 산박하속 식물은 총 4종 2변종 1품종으로 정리되었다
오리방풀 (Isodon excisus (Maxim.) Kudo)
사진출처
인디카 / http://www.indica.or.kr/xe /청명/구름,님, 시냇물님, 대낭님,
floma /http://floma.kr/xe/ /은하수 /염상근님, 박하님,
인어의 향기 / http://www.sollife.com/bbs/zboard.php?id=do&no=10356
야생화동산 / http://blog.daum.net/chogok17/11962519
꿀풀과(Labiat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1.25 07:54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털산박하 (0) | 2014.07.25 |
---|---|
산박하 (0) | 2014.07.25 |
붉은벌깨덩굴 (0) | 2014.07.24 |
벌깨덩굴 (0) | 2014.07.24 |
벌깨덩굴속 (0) | 2014.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