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풀고사리과

호남인1 2014. 5. 20. 07:24

 

 

 

 

고사리과

 

(학명: Gleicheniaceae

분류: 식물계 > 양치식물문 > 고사리강/양치식물강 > 고사리목 > 풀고사리과

양치식물 고사리목의 한 과.

분포지역: 열대 ·아열대

 

포자낭의 환대(環帶)가 거의 중앙을 비스듬히 돌고 있으므로 완전한 환대가 있는 식물이다. 포자낭군 속의 포자낭은 같이 성숙하고 포막이 없다. 뿌리줄기가 옆으로 기어가며 땅 위에서 자란다. 열대와 아열대에서 3속(屬) 130종(種)이 자라고 한국에서는 풀고사리를 비롯한 2속 3종이 남부지방에서 자란다.

 

발풀고사리 (Dicranopteris pedata (Houtt.) Nakaike) (진도 군내)

 

지상생으로 대형으로 되는 상록성양치, 근경은 지표 가까이를 길게 기고, 여기 저기서 분기하며, 털 만, 혹은 털과 인편을 달며, 우상으로 분기하는데, 원리적으로는 무한으로 신장하는 정단이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치므로 외견상은 차상분기를 하는 듯이 보이며, 신장이 그치지 않는 것은 몇 m의 길이가 된다.

 

엽맥은 유리하고, 등(背)에 포자낭을 단다. 포자낭군은 포막이 없고, 포자낭은 많으면 15개, 일제히 익으며(齊熟), 포자낭은 폭이 넙은 서양배형, 자루가 없으며, 환대는 중앙을 비스듬하게 완전히 감는다. 포자는 많이 만들어지며, 4면체형이거나 좌우상칭형, 주피(周皮)는 없다. 전엽체는 지상생, 녹색, 편평하고, 중앙이 두꺼워지는 수가 있다. 열대, 아열대를 중심으로 양세계에 분포하고, 3속 약 130종이 알려져 있다. 그 중 일본에는 2속 3종이 있다. 살아있는 것을 이삭하여 재배하기는 대단히 어렵다.

 

 

뉴카레도니아 고유의 Stromatopteris Mett.도 ウラジロ과에 포함시킨 적도 있으나, 이것은 독립의 과로서 구별해야 되는 것을 알게 됐다. Stromatopteris과는 솔잎란과에 가깝다는 설이 제기됐었으나, 솔잎란과가 소엽식물, Stromatopteris과가 대엽성의 양치에 속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 같다. 있는 것 같다. ウラジロ과의 분류에도 여러 설이 있었으나, ウラジロ속과 발풀고사리속에 대하여는 대부분이 그 범위를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오스트랠리아의 큔주랜드에 나는 Platyzoma R. Br.를 독립의 과로 취급하기도 하나, 다른 2속과 근연이라는 것을 부정하는 근거는 빈약하다.

 

풀고사리 (Gleichenia japonica Spreng.)

 

 

발풀고사리속 Dicranopteris Bernh.

 

근경에도 잎에도 털이 있으나, 인편은 없다. 털은 다세포성으로 한가닥(單條)의 것, 분지하는 것, 또는 성상모도 있다. 잎은 외견상 차상으로 분기하고, 최종의 중축지(中軸枝)는 잎모양, 또는 다른 중축지의 기부에 잎모양의 부가지(副枝)를 1쌍 단다. 측맥은 2~3회 차상으로 분기하고, 8~15개의 포자낭이 모여서 배생(背生)의 포자낭군을 만든다. 전세계의 열대, 아열대에약 10종이 알려져 있으며, 일본에는 다음의 1종이 생육한다.

 

1. 발풀고사리 Dicranopteris linearis (Burn. fil. ) Under

상록성의 중형 야치, 근경은 딱딱하고, 적갈색의 털이 있다. 엽병은 길이 20~100cm, 지름 2~3mm, 잎은 높이 2m를 넘는 수도 있으며, 각 축(軸)과 멈춘 눈에는 적갈색의 털이 있다.

거의 등분으로 분기를 거듭하여, 초종의 중축지와 다른 중축지의 기부의 부지는 잎모양이고, 우상으로 심열하며, 장타원상피침형으로 길이 15~40cm, 나비 3~8cm, 이명은 희고, 적갈색의 털이 듬성 듬성 남는다.

열편은 선형, 폭 3~4mm, 전연, 예두이거나 요두(凹頭), 포자낭군은 중축과 변연의 중간에 1열로 늘어선다. 염색체수는 2n=78의 2배체, 외국산의 것에는 n=39, 78의 보고가 있다. 트리텔펜이 검출된다.

 

혼슈(후꾸지마겡(本州, 福島縣)이남에서 류큐에 걸친 각지의 산록이나 산지의 양지에 군생한다. 한국남부, 중국 중남부, 타이완, 동남아시아에서 인도네시아에 걸쳐 분포하고, 강의로는 아프리카, 오세아니아의 것도 같은 종으로 본다. イキノコシダ f. shinagawae (H. Ito) Sugimoto는 나가사끼겡 이끼시마(長崎縣 壹岐島)에서 채집된 기형으로 열편이 단소하고, 소우편이 선상인 것이다.

 

엽병으로 짠 바구니는 공예품으로 진중되며, 잎은 생화 등에 쓰이는 수도 있다. 이이 분기하는 모습과 털의 상태 등에 의해 몇 개의 변종을 인정하는수도 있으나, 일본의 것은 모두 기변변종에 속한다.(1. 와까야마겡, 구시혼마지(和歌山縣 串本町) 69. 11. 21. 와다리(旦理),이즈 시끼네지마(伊豆 式根島) 86. 6. 11 오구다(奧田) 3. 나라겡 시모기타야마무라(下北山村) 90. 7. 19 이자와(伊澤) 4. 세이효도(西表島) 85. 6. 5 오구다(奧田)

 

 

2. 풀고사리속 Gleichenia Sm.

근경과 잎에 한줄(單條) 또는 별모양(星狀)의 털이 있으며, 인편도 있다. 잎은 우편을 몇쌍씩 달고, 거의 무한으로 벋으나, 분포의 북한 근처에서는 으편은 겨우 1~3쌍 밖에 없고, 중축의 끝이 신장을 멈춰, 작은 고비말이 상태로 된다.

 

우편은 2회 우상, 연편은 중륵 가까이까지 갈라진다. 엽맥은 단생 도는 1회 분기하고, 유리한다. 쉬는 눈(休止芽)는 인편과 턱잎모양의 포에 싸인다. 포자낭군은 2~6개의 포자가 모여 맥의 분기점에 달리고, 측사(側絲)가 있다.

 

세계의 열대, 아열대를 중심으로 약 120종이 분포하고 있으며, 일본에는 2종이 있다.

 

A. 잎은 잎의 이면이 납질로 희게 된다. 휴지아를 덮는 인편은 거치연, 소우편과 열편은

   축과 거의 직각으로 위치하고, 영편은 원두......................................................1. 풀고사리

 

A. 잎은 잎의 이면은 담록색, 휴지아를 덮는 인편은 전연, 소우편과 열편은

   예각으로 위치하고, 영편은 예두...................................................................2. 암풀고사리

 

 

1. 풀고사리 Gleichenia japonica Spr.

상록성의 중형 양치, 근경은 땅 속을 길게 기고, 딱딱하며, 지름 1cm에 달하기도 한다.

인편은 다소 빽빽이 달리고, 흑갈색에서 다갈색, 피침형으로 연변에는 불규칙적으로 털이 난다. 잎은 높이 수m에 이르기도 하나, 대개는 1m 이내, 엽병은 녹색, 평활, 길이 30~100cm, 지름 4~6mm, 우편(제1차중축지)는 피침형에서 장타원상피침형, 길이 50~100cm, 나비 20~30cm, 지질로 이면은 희고, 성상모가 있다. 소우편은 무병, 거의 선형, 개출하여 달리고, 길이 10~20cm, 나비 8~30mm,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열편은 선형, 전연, 둔두 또는 원두, 나비 약 3mm, 중륵과 75~85도로 만난다. 휴지아의 인편은 암갈색, 피침형으로 연변은 파상으로 깊게 갈라지는 거치연, 탁엽상의 포는 2화 우상으로 깊게 갈라진다.

 

포자낭군은 중륵과 연변의 중간에 1줄로 늘어서며, 포자낭은 3~4개, 히드무레하고, 성상(星狀)의 측사가 있다.

 

트리텔벤(지프로푸테롤)과 포나스테론 A(엑지손)이 검출된다. 염색체수는 n=56의 보고가 있다.

 

혼슈(니가다겡, 야마가다겡 이남에서 류큐에 걸친 각지에 발풀고사리와 비슷한 곳에 나며, 아시아의 열대에 분포하고 있으나, 분포범위가 del가지인지는 뚜렷하지 않다.

 

정월의 장식으로 쓰는 외에 생화로 스이는 수도 있으며, 엽병을 자료로 하여 바구니 드의 공예품도 만드는 수가 있다.

(1. 이즈 하지죠시마(伊豆 八丈島) 79. 5. 22 이자와(伊澤) 2. 이바라기겡 가사마시(次城縣 笠間市) 85. 10. 20 이자와(伊澤), 교또시(京都市) 90. 7. 15 이자와(伊澤)

 

2, 암풀고사리 Gleichenia laevissima (Christ) Nakai.

상록성의 중형 양치, 근경은 길게 기고, 딱딱하며, 흑갈색, 피침형으로 전연의 인편을 다소 빽빽이 단다. 엽병은 기부에 전연으 인편이 있고, 그 밖은 무모, 표면에는 넓고 얕은 골이 지며, 다소 편평해진다.

 

잎은 후지질로 하면은 회록색, 1쌍의 2화우상심열의 우편을 달며, 주축의 정단에는 휴지아가 있고, 인편과 1쌍의 탁엽상의 포가 있다. 우편은 난상장타원형, 길이 35~60cm, 중부의 폭은 30cm 이하, 소우편은 우축과 약 60도로 만나고, 협피침형, 우축 가까이까지 깊게 갈라진다. 열편은 소우편의 축과 약 60도로 만나고, 길이 5~15mm, 나비 2~3mm, 피침형 예두, 전연, 연변이 아래를 향하여 반곡하는 수가 있다.

 

포자낭군은 중륵 가까이로 달린다.

 

큐슈(야꾸시마 포함)(九州. 屋久島)에 드물게 나며, 햇볕이 잘드는 산지 사면에 난다. 한국, 중국, 인도차이나, 필립핀에 분포한다. 일본명은 채집자 가네꼬 야스히라를 기념한 것이다.(5.오이다겡 나바겡(大分縣 那馬溪) 89. 4. 23 이자와(伊澤)

원문출처 /전의식의 한국식물/http://blog.daum.net/kplant1/7903384

 

 

풀고사리과 [ Gleicheniaceae ]

 

전 세계에 3속 130종이 열대와 아열대에 분포하며 우리나라에는 2속 3종이 자라지만 1속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늘푸른 여러해살이 양치식물이다. 근경이 길게 뻗어가고, 잎은 깃처럼 갈라지며 중축우편생장이 중지되어 2개씩 갈라진 것같이 보인다. 엽맥유리맥이고, 포자낭군은 엽맥의 등쪽에 붙으며 보통 10여 개의 큰포자낭으로 되어 있고 포막이 없다. 포자낭은 일제히 익어서 터진다. 포자는 사면체 또는 좌우대칭이다.

원문: 풀고사리과 [Gleicheniaceae] (약과 먹거리로 쓰이는 우리나라 자원식물, 2012.4.20, 한국학술정보(주))

 

한국서식 풀고사리과(Gleicheniaceae) 2속 바로가기

발풀고사리속 (Dicranopteris) 1종

풀고사리속 (Gleichenia) 2종

 

발풀고사리속(Dicranopteris) 1종

발풀고사리 (Dicranopteris pedata (Houtt.) Nakaike)

 

풀고사리속(Gleichenia) 2종

암풀고사리 (Gleichenia laevissima H.Christ)

풀고사리 (Gleichenia japonica Spreng.)

 

발풀고사리속(Dicranopteris) 1종

발풀고사리 (Dicranopteris pedata (Houtt.) Nakaike)

 

 

풀고사리속(Gleichenia) 2종

암풀고사리 (Gleichenia laevissima H.Christ)

풀고사리 (Gleichenia japonica Spreng.)

 

고사리강(Filices)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2.28 11:00

고사리목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5.20 01:40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엽초 3종 동정포인트  (0) 2014.06.07
발풀고사리  (0) 2014.05.22
애기일엽초  (0) 2014.05.20
산일엽초  (0) 2014.05.19
방망이일엽초  (0) 2014.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