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왕모람

호남인1 2014. 4. 27. 07:44

 

 

 

 

왕모람

(학명: Ficus thunbergii Maxim.)

왕모람의 학명풀이(thunbergii: 19세기 스웨덴의 식물학자 Carl Peter Thunberg의 이름에서)

 

이명: 애기모람,모람낭(제주) /분류: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쐐기풀목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 /원산지: 한국

 

생약명 : ▶莖(경) 및 葉(엽)은 벽여, 根(근)은 벽여근, 花托(화탁) 및 과실은 木饅頭(목만두)라 하며 약용한다.

 

상록 만경목

뽕나뭇과에 속한 상록 덩굴성 식물. 줄기에 털이 있고 잎은 어긋난다. 꽃은 여름에 피며, 열매는 둥글고 모람에 비하여 크다. 우리나라의 남쪽 섬 및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Ficus stipulata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http://www.nature.go.kr/newkfsweb/kfi/kfs/kbi/plant/pilbk/selectPlantPilbkDtl.do?mn=KFS_28_01_02_01&orgId=kbi&plantPilbkNo=25685&mn=KFS_28_01_02_01

-------------------------------------------------------------------

 

 

 

 

특징

잎은 호생하며 가죽질이고 길이 1-5㎝, 나비 1-2㎝인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길이 5-10㎜인 엽병에는 적갈색의 털이 밀생한다.

1-5쌍의 엽맥이 있다.

어린 싹의 잎은 1㎝이하로 가장자리에 2-3개의 파형의 거치가 있다. 잎이 소형이므로 애기모람이라고 이름이 붙여진 것 같다. 

열매는 수과로 거친 털이 있으며, 둥근 모양으로 자루가 있고, 지름이 2cm 정도된다.

과경이 있는 열매는 모람보다 직경이 큰 15-17㎜이다. 

암수한그루로서 꽃이 액생하여 7-8월에 피고 수꽃과 암꽃 모두 주머니같이 생긴 은화서(隱花序)속에 밀생한다. 

어린싹의 줄기에 개출모(開出毛)가 있다 

 

 

 

왕모람은 잎이 작고 난형에 가까우며, 어린잎은 얕은 결각이 몇 개 생긴다.  잎 뒷면, 엽병, 열매에 털이 많다,

 

 

 

왕모람의 윞 뒷면은 맥이 현저하게 도드라지며 측맥은 잎가장자리의 주변맥과 이어진다.

 

분포

제주도의 표고 600m 이하의 계곡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줄기가 2-5m 정도. 

 

생육특성

양지와 음지 모두에서 잘 자라나 추위에 약하여 내륙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고, 내건성은 강해 척박한 곳이나 해안지방에서도 잘 자란다.

▶기근은 내어 수간이나 바위에 붙어 자란다. 

 

광선: 중생  /내한성: 약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번식

번식은 1년생 가지를 잘라 3-4월, 6-7월경에 꺾꽂이하면 쉽게 묘목을 얻을 수 있다. 

 

특징

여러개로 갈라진 가지에서 기근이 나와 나무나 바위에 붙어서 자란다.

바위나 고목 같은 곳에 올려 여러 가지 형상을 만들 수 있으며 잘 익은 열매는 먹기도 한다. 

 

유사종

▶왕모람(F. stipulata Thunb.): 잎은 어긋나고 길이 1-5㎝, 나비 1-2㎝인 장타원형인데 둔두, 원저이다. 

 

생육환경

▶남쪽 섬의 숲속 바위 또는 수간에 붙어서 자란다.

▶양지나 음지를 가리지 않으나 추위에 약하여 내륙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고,내건성이 강해 척박한 곳이나 해안지방에서도 잘 자란다.

0℃ 이상에서 월동하고 10~23℃에서 잘 자라나 35℃ 이상에서도 잘 견디며 산다.

배수가 잘 되고 충분한 관수를 요하며 공중습도는 다습한 것을 좋아한다.

 

 

 

 

야용

담벽을 녹화시키는데 이용되며, 각종 모형을 만들어 여기에 식물을 부착시켜 관상한다.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원예종이다.

▶잘 익은 열매는 먹기도 한다.

 

▶莖(경) 및 葉(엽)은 벽여, 根(근)은 벽여근, 花托(화탁) 및 과실은 木饅頭(목만두)라 하며 약용한다.

 

⑴벽여

①4-6월에 잎이 달린 莖(경)과 枝(지)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氣根(기근)을 제거한다.

②약효 : 祛風(거풍), 利濕(이습), 活血(활혈), 해독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 痺痛(비통), 手足關節不利(수족관절불리), 下痢(하리), 淋病(임병), 타박상, 癰腫(옹종), 瘡癤(창절)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60-90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생즙을 내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또는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즙을 내어 바르거나 煎液(전액)으로 熏洗(훈세)한다.

 

⑵벽여근

①연중 수시로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祛風濕(거풍습), 舒筋通絡(서근통락)의 효능이 있다. 頭痛眩暈(두통현운), 류머티즘에 의한 관절통, 産後風(산후풍)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木饅頭(목만두)

①왕모람의 건조한 花序托(화서탁)으로서, 가을에 성숙한 화서탁을 채취하여 花序柄(화서병)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花托(화탁-열매)에 meso-inositol, rutin, β-sitosterol, taraxerol 초산 ester, β-amylin 초산 ester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일종의 gel 狀(상)의 물질이 13% 함유되어 있고 가수분해하면 포도당, 과당 및 arabinose가 생성된다.

③약효 : 通乳(통유), 利濕(이습), 活血(활혈),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乳汁不下(유즙불하), 遺精(유정), 淋濁(임탁-淋病(임병)), 유미뇨, 久痢(구리), 痔血(치혈), 腸風下血(장풍하혈), 癰腫(옹종), 정창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한국서식.재배 무화과속(Ficus)  7종
  모람 (Ficus oxyphylla Miq. ex Zoll.)
  무화과나무 (Ficus carica L.)
  왕모람 (Ficus thunbergii Maxim.)
  인도고무나무
 (Ficus elastica Roxb.)
  좁은잎천선과
 (Ficus erecta var. sieboldii (Miq.) King)
  천선과나무(天仙果 Ficus erecta Thunb.)
  벤자민고무나무 (Ficus benjamina)

어린잎은 얕은 결각이 몇 개 생긴다.

 

 

참조

뽕나무과 (Mor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4.18 09:18

무화과속(Ficus)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4.18 10:28

왕모람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05.29 17:23

모람과 왕모람의 특징비교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4.27 08:56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좁은잎천선과  (0) 2014.04.27
모람과 왕모람의 특징비교  (0) 2014.04.27
무화과속(Ficus)  (0) 2014.04.18
뽕나무과 (Moraceae)  (0) 2014.04.18
드문고사리  (0) 2013.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