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모람
(학명: Ficus thunbergii Maxim.)
왕모람의 학명풀이(thunbergii: 19세기 스웨덴의 식물학자 Carl Peter Thunberg의 이름에서)
이명: 애기모람,모람낭(제주) /분류: 속씨식물 >쌍떡잎식물강 >쐐기풀목 >뽕나무과 >무화과나무속 /원산지: 한국
생약명 : ▶莖(경) 및 葉(엽)은 벽여, 根(근)은 벽여근, 花托(화탁) 및 과실은 木饅頭(목만두)라 하며 약용한다.
상록 만경목
뽕나뭇과에 속한 상록 덩굴성 식물. 줄기에 털이 있고 잎은 어긋난다. 꽃은 여름에 피며, 열매는 둥글고 모람에 비하여 크다. 우리나라의 남쪽 섬 및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Ficus stipulata이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
특징
잎은 호생하며 가죽질이고 길이 1-5㎝, 나비 1-2㎝인 난형 또는 타원형이다. 길이 5-10㎜인 엽병에는 적갈색의 털이 밀생한다.
1-5쌍의 엽맥이 있다.
어린 싹의 잎은 1㎝이하로 가장자리에 2-3개의 파형의 거치가 있다. 잎이 소형이므로 애기모람이라고 이름이 붙여진 것 같다.
열매는 수과로 거친 털이 있으며, 둥근 모양으로 자루가 있고, 지름이 2cm 정도된다.
과경이 있는 열매는 모람보다 직경이 큰 15-17㎜이다.
암수한그루로서 꽃이 액생하여 7-8월에 피고 수꽃과 암꽃 모두 주머니같이 생긴 은화서(隱花序)속에 밀생한다.
어린싹의 줄기에 개출모(開出毛)가 있다
왕모람은 잎이 작고 난형에 가까우며, 어린잎은 얕은 결각이 몇 개 생긴다. 잎 뒷면, 엽병, 열매에 털이 많다,
왕모람의 윞 뒷면은 맥이 현저하게 도드라지며 측맥은 잎가장자리의 주변맥과 이어진다.
분포
제주도의 표고 600m 이하의 계곡과 들에서 자란다.
.
높이
줄기가 2-5m 정도.
생육특성
양지와 음지 모두에서 잘 자라나 추위에 약하여 내륙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고, 내건성은 강해 척박한 곳이나 해안지방에서도 잘 자란다.
▶기근은 내어 수간이나 바위에 붙어 자란다.
광선: 중생 /내한성: 약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번식
번식은 1년생 가지를 잘라 3-4월, 6-7월경에 꺾꽂이하면 쉽게 묘목을 얻을 수 있다.
특징
여러개로 갈라진 가지에서 기근이 나와 나무나 바위에 붙어서 자란다.
바위나 고목 같은 곳에 올려 여러 가지 형상을 만들 수 있으며 잘 익은 열매는 먹기도 한다.
유사종
▶왕모람(F. stipulata Thunb.): 잎은 어긋나고 길이 1-5㎝, 나비 1-2㎝인 장타원형인데 둔두, 원저이다.
생육환경
▶남쪽 섬의 숲속 바위 또는 수간에 붙어서 자란다.
▶양지나 음지를 가리지 않으나 추위에 약하여 내륙지방에서는 월동이 불가능하고,내건성이 강해 척박한 곳이나 해안지방에서도 잘 자란다.
0℃ 이상에서 월동하고 10~23℃에서 잘 자라나 35℃ 이상에서도 잘 견디며 산다.
배수가 잘 되고 충분한 관수를 요하며 공중습도는 다습한 것을 좋아한다.
야용
▶담벽을 녹화시키는데 이용되며, 각종 모형을 만들어 여기에 식물을 부착시켜 관상한다.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원예종이다.
▶잘 익은 열매는 먹기도 한다.
▶莖(경) 및 葉(엽)은 벽여, 根(근)은 벽여근, 花托(화탁) 및 과실은 木饅頭(목만두)라 하며 약용한다.
⑴벽여
①4-6월에 잎이 달린 莖(경)과 枝(지)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氣根(기근)을 제거한다.
②약효 : 祛風(거풍), 利濕(이습), 活血(활혈), 해독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성 痺痛(비통), 手足關節不利(수족관절불리), 下痢(하리), 淋病(임병), 타박상, 癰腫(옹종), 瘡癤(창절)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9-15g(신선한 것은 60-90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생즙을 내거나 술에 담가 복용한다. 또는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즙을 내어 바르거나 煎液(전액)으로 熏洗(훈세)한다.
⑵벽여근
①연중 수시로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祛風濕(거풍습), 舒筋通絡(서근통락)의 효능이 있다. 頭痛眩暈(두통현운), 류머티즘에 의한 관절통, 産後風(산후풍)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0-60g을 달여서 복용한다.
⑶木饅頭(목만두)
①왕모람의 건조한 花序托(화서탁)으로서, 가을에 성숙한 화서탁을 채취하여 花序柄(화서병)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花托(화탁-열매)에 meso-inositol, rutin, β-sitosterol, taraxerol 초산 ester, β-amylin 초산 ester이 함유되어 있다. 종자에는 일종의 gel 狀(상)의 물질이 13% 함유되어 있고 가수분해하면 포도당, 과당 및 arabinose가 생성된다.
③약효 : 通乳(통유), 利濕(이습), 活血(활혈), 消腫(소종)의 효능이 있다. 乳汁不下(유즙불하), 遺精(유정), 淋濁(임탁-淋病(임병)), 유미뇨, 久痢(구리), 痔血(치혈), 腸風下血(장풍하혈), 癰腫(옹종), 정창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6-15g을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하여 복용한다. <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는다
한국서식.재배 무화과속(Ficus) 7종 |
모람 (Ficus oxyphylla Miq. ex Zoll.) |
무화과나무 (Ficus carica L.) |
왕모람 (Ficus thunbergii Maxim.) |
인도고무나무 (Ficus elastica Roxb.) |
좁은잎천선과 (Ficus erecta var. sieboldii (Miq.) King) |
천선과나무(天仙果 Ficus erecta Thunb.)
|
참조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4.18 09:18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4.18 10:28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05.29 17:23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4.04.27 08:56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좁은잎천선과 (0) | 2014.04.27 |
---|---|
모람과 왕모람의 특징비교 (0) | 2014.04.27 |
무화과속(Ficus) (0) | 2014.04.18 |
뽕나무과 (Moraceae) (0) | 2014.04.18 |
드문고사리 (0) | 201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