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위질빵
학명: Clematis apiifolia DC.
이명: 질빵풀, /영명: Aoiifolia Virgin`s bower. /꽃말: 비웃음.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미나리아재비목 >미나리아재비과 >으아리속
원산지: 한국. /분포: 중국과 일본에도 분포한다. /크기: 길이가 3m 에 달한다.
생약명: 사위질빵, 좀사위질빵의 莖(경)을 女萎(여위)라 하며 약용한다
낙엽활엽 만경목.
산과 들에 저절로 난다. 길이는 3미터쯤 자란다. 잎은 달걀꼴로 세 쪽씩 붙어 난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흰색 꽃이 피며, 열매는 다섯 개에서 열 개씩 모여서 달린다. 어린잎은 식용한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사위질빵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29871
잎은 대생하고 3출복엽 간혹 2회3출한다. 소엽은 난형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점첨두이고 길이 4-7cm로서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결각상의 톱니가 드문드문 있고 표면에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 맥위에 잔털이 있다.
수과는 5-10개가 모여 달리고 좁은 난형이며 담갈색털이 있는 화주가 달려있다. 암술대가 달려 있다. 암술대에는 길이 1cm 정도의 백색 또는 연한 갈색 털이 있으며 열매는 9월에 성숙한다.
꽃은 7-9월에 피고 액생하는 짧은 취산화서 또는 원추화서에 달리며 화경은 길이 5-12cm이고 꽃은 지름 13-25mm이다. 꽃받침잎은 4개로서 피침상 도란형이며 길이 7-10mm로서 백색이고 표면에 잔털이 있으며 수술은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같다. 꽃잎은 4장으로 십자형이고, 암술과 수술은 각각 여러개이다.
길이가 3m에 달하며 줄기에 세로 능선이 있고 어린 가지에 잔털이 있다.
----------------------------------------------------------------
키가 3m에 달한다. 잎은 3장의 잔잎으로 이루어진 겹잎으로 마주난다. 잔잎 가장자리에는 조그만 톱니들이 있고,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는 취산(聚繖)꽃차례 또는 원추(圓錐)꽃차례로 무리지어 하얗게 핀다. 꽃잎은 없고 4장의 꽃받침잎이 꽃잎처럼 보이며 수술과 암술은 많다.
열매는 9월에 수과(瘦果)로 익는데, 털이 난 암술대가 열매에 달려 바람에 날린다. 양지바른 길가에서 흔히 자란다.
봄에 어린 잎을 나물로 먹기도 하나, 독이 들어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할미밀망(C.trichotoma)은 사위질빵과 거의 비슷하나 잎가장자리의 톱니가 크며, 꽃이 잎겨드랑이에 3송이씩 무리져 피는 점이 다르다.
사위질빵 (학명: Clematis apiifolia A. P. DC.)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전국 각지의 얕은 산지나 길가,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며 다른 이름으로는 백근초, 여위, 위령선, 근엽철선연이 있다.
질빵은 짐을 질 때 사용하는 멜빵을 말하기 때문에 사위의 멜빵이란 의미이다.
옛날에 사위를 아끼는 장모가 사위는 무거운 짐을 지지 못하게 툭툭 잘 끊어지는 사위질빵 덩굴로 짐을 지게 했고, 자신의 짐은 보다 더 질긴 할미질빵 덩굴로 지었다는 전설이 있다.
낙엽 덩굴이며 높이 3m 정도로 자라며 돌이나 나무를 기어오르는 습성이 있고 맹아력이 강하다.
줄기에 세로줄이 있으며 짧은 털이 있다.
잎은 마주나고 3장의 작은잎이 나오거나 2회 3장의 작은잎이 나온 겹잎이며 잎자루가 길다.
작은잎은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 바소꼴로서 길이 4∼7cm이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깊이 패어 들어간 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난다.
꽃은 연노란색으로 7월-9월에 통꽃으로 피며 암꽃과 수꽃이 따로 있다.
잎짬에 원추상 취산꽃차례로 달리며 꽃대는 5-12cm로 2-5단이다.
꽃받침잎은 네 개로서 피침모양의 거꾸로 된 계란형이며 길이 7-10mm로서 흰색이고 표면에 잔털이 있다.
수술은 꽃받침과 길이가 거의 같다.
꽃잎은 4장으로 십자형이고, 암술과 수술은 각각 여러 개이다.
열매는 여윈열매로 5-10개씩 모여 달린다.암술대에는 길이 1cm 정도의 흰색 또는 연한 갈색 털이 있으며 열매는 9월에 성숙한다.
다른 덩굴식물과는 달리 줄기가 힘이 없고 잘 부러져서 별로 쓸모없는 나무로 알려져 있지만 한번 피면 눈처럼 주위를 하얗게 뒤덮어 다른 어느 덩굴식물보다 아름답게 보인다.
어린잎은 묵나물로 이용하고 한방에서는 요슬통, 천식, 각기, 이뇨, 진통, 발한등에 약용한다.
● 북한에서는 질빵풀이라고도 하고 한의학에서는 여위(女萎)라고 부른다.
● 산에서 자라는 낙엽 덩굴나무이다. 잎은 마주나고 세 장의 작은 잎으로 된 겹잎이다. 잎의 뒷면 잎맥 위에 잔털이 있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줄기에 여러 송이가 달리며, 흰색이다. 꽃은 초여름부터 여름이 끝날 무렵까지 피어난다.
● 사위질빵과 비슷한 식물로는 할미질빵(Clematis trichotoma Nakai)이 있다. 사위질빵은 꽃잎이 대개 네 장씩 달려있고 꽃이 여러 송이 모여 나는데 비해, 할미질빵은 꽃잎이 다섯 장인 것이 많고 꽃은 세 송이 정도가 모여 난다.
● 식물 이름 중에 순 우리말이 붙은 것은 나름대로 재미있는 사연을 한 가지씩 담고 있는데 사위질빵도 마찬가지이다.
사위질빵과 할미질빵은 왜 하필 그런 이름이 붙게 되었을까? 사위질빵엔 다음과 같은 얘기가 전해온다.
옛날 옛적 어떤 장모님이 사위는 힘들지 말라고 툭툭 잘 끊어지는 사위질빵 덩굴로 짐을 지게 했고 - 그래서 무거운 짐은 질 수 없도록, 자신의 짐은 보다 더 질긴 할미질빵 덩굴로 지었다는 전설이 있다.
어떤 전설에는 장모님이 아닌 못된 딸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자기 남편에겐 사위질빵, 어머니에겐 할미질빵으로 지겟줄을 해주었단 것이죠. 어떤 전설이 되었건 툭툭 잘 끊어지는 사위질빵과 그것보다는 더 질긴 할미질빵의 특성을 잘 나타내는 이야기라고 할 수 있다.
할미밀망과 사위질빵의 차이점
할미밀망은 대체적으로 작은잎이 5개인 깃꼴겹잎, 사위질빵은 작은잎이 3개인 깃꼴겹잎
할미밀망은 꽃잎처럼 보이는 꽃받침조각이 5~6개, 사위질빵은 4개
할미밀망은 1개의 꽃자루에 꽃이 3개, 사위질빵은 1개의 꽃자루에 꽃이 다수
할미밀망은 봄에 피고, 사위질빵은 한 여름에 피어난다.
자료출처 - 산내들꽃향 /http://blog.daum.net/kj3337/16116853
생육환경
산야에서 흔히 자라며 이 나무가 잘 자라는 토질은 화강암계, 현무암계, 화강편마암계, 편상화강암계, 경상계, 반암계 등이며 대개는 아무데서나 잘 자라는 편이다. 내한성이 강한 양지식물로서 내음성과 대기오염에 대한 저항성은 약하다.
광선: 중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번식방법
▶종자재배법, 종내잡종법, 생태육종법, 분주법 등에 의하여 이루어지지만 대개 분주법에 의해서 번식된다.
▶종자를 노천매장하였다가 뿌리기도 하며 3-4월, 5-6월, 9-10월경에 가지삽목을 실시하기도 한다. 해가림을 해 주어야 한다. 개량된 원예품종을 증식시키고자 할 때에는 할접 또는 휘묻이를 하기도 한다.
결실기: 9월, 10월
이용방안
▶이 나무는 유독성식물이며 식용, 관상용, 약용으로 쓰인다.
▶울타리에 심으면 여름철에 많은 꽃을 볼 수 있고 환경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잘 견디므로 조경 및 보안시설 은폐용으로 적합하다.
▶염료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줄기째 잘라 염액을 내었다. 매염제에 대한 반응이 좋아서 각각의 색이 선명하고 뚜렷하였다.
▶사위질빵, 좀사위질빵의 莖(경)을 女萎(여위)라 하며 약용한다.
①채취 : 가을에 줄기를 채취하여 周皮(주피)를 벗기고 알맞게 썰어서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전초에는 quercetin, 有機酸(유기산), sterol, 소량의 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瀉痢脫肛(사리탈항-下痢脫肛(하리탈항)), 驚癎寒熱(경간한열), 寒熱百病(한열백병-말라리아類(류)), 姙婦浮腫(임부부종), 筋骨疼痛(근골동통), 곽란설리(콜레라성 下痢(하리))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 복용하거나 또는 丸劑(환제)로 하여 복용한다. <외용> 태워서 연기를 쐰다.
유사종
▶할미밀빵(C.trichotoma Nak.): 꽃이 6월에 피고 액생(腋生)하는 취산화서에 3개씩 달리며 수과는 15-16개가 한군데 모여 달린다.
▶좀사위질빵(C. brevicaudata Dc.): 잎이 2회3출이며 열매에 털이 없다
특징
▶강원도 원성군 신림면 성남리의 성황림은 천연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12,993㎡이며 지정사유는 온대 낙엽활엽수림. 이 숲을 구성하는 수종은 다양한데 사위질빵외에 전나무, 소나무, 음나무, 졸참나무, 귀룽나무, 옻나무, 박쥐나무, 느릅나무, 개암나무, 산딸나무, 오갈피나무, 난티나무, 고로쇠나무, 광대싸리등이 자라고 있다.
▶돌이나 나무를 기어오르는 습성이 있고 맹아력이 강하다.
사진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floma /http://floma.kr/xe/
테라우스원 /http://blog.daum.net/teriouswoon/15960222
베라이콘 /http://blog.daum.net/jjuba52/13790273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2.20 10:11
으아리속 (Clematis)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3.02.05 11:29
사위질빵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1.12.20 07:18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무꽃속 (Scutellaria) (0) | 2013.02.08 |
---|---|
좁은잎사위질빵 (0) | 2013.02.08 |
위령선 (0) | 2013.02.07 |
요강나물 (0) | 2013.02.07 |
개버무리 (0) | 2013.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