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메취
학명: Saussurea triangulata Trautv. &Mey.
이명: 큰분취, 큰산분취, 높산분취, 뿔분취, 세뿔두메취, 뿔끝분취, 좀두메취,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합판화아강 >초롱꽃목 >국화과 >취나물속 /원산지: 한국
분포: 북부지방. /크기: 높이 12~70cm이다. /생육환경: 고산지대에서 자란다.
다년생초본
높이 40센티미터 정도로 자라며, 잎은 어긋난다. 7~9월에 홍자색 두상화(頭狀花)가 핀다. 북부 지방의 높은 산에서 자란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두메취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35075
근생엽은 개화시에 없어지거나 남아 있으며 밑부분의 잎보다 작다. 경생엽은 긴 3각형, 긴 타원형 또는 난형이고 점첨두이며 심장저, 절저 또는 예저이고 밑으로 흐르며 길이 4~10cm로서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가장자리에 치아상의 거치가 있으며 엽병은 길이 14cm로서 위로 올라갈수록 짧아지거나 없어지고 날개가 다소 있다.
두화는 지름 11~15mm로서 엉성하게 산방상으로 달리며 총포는 길이 13~16mm, 지름 7~12mm로서 적자색이고 거미줄같은 털이 약간 있으며 4줄이다. 통상화는 길이 6~12mm로서 자주색이고 관모는 2줄이며 길이 9~10mm로서 갈색이다.
높이 12-70cm이고 능선이 있으며 윗부분에 흔히 굽은 털이 있다.
----------------------------------------------------------
다년초로 근경은 섬유상으로 포복하며 줄기는 곧추서고 높이 30~40㎝이며 능선이 있고 상부에 흔히 굽은 털이 있다.근엽은 화시에도 남아 있고 경엽은 호생하며 장3각형, 장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길이 4~10㎝, 너비 4~5㎝이고 끝은 점차 뾰족해지며 밑은 심형 또는 쐐기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치아상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약간 있고 엽병은 길이 14㎝인 것도 있으나 위로 갈수록 짧아져서 없어진다.
꽃은 7~9월에 홍자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두화는 지름 11~15㎜이다. 총포는 통형으로 길이 13~16㎜, 너비 7~12㎜이고 적자색으로 거미줄 같은 털이 약간 있으며 포편(苞片)은 4열이다.
통상화는 길이 6~12㎜이고 단모는 2열이다. 본종은 버들분취에 비해 잎이 장3각형이고 덤불취에 비해 두화가 넓으며 총포편이 4열이다.
높이가 10㎝ 정도이고 두화가 3~4개 모여 나는 것을 좀두메취 for. alpina Nakai라 하고 백두산에 난다.
고산지대에 난다. 함남북에 나며 만주, 아무르, 우수리, 사할린에 분포한다.
참고 - 동의어 : 큰산분취
출처 - 한국기준식물도감 - 기본정보
보호방안
▶희귀 및 멸종 식물로서 보호되어야한다.
유사종
▶좀두메취 (var.alpina Nak.): 높이가 8-10cm이며 백두산에서 자란다.
------------------------------------------------------------------
사진출처
야생화사랑 /http://cafe.daum.net/lovewildflower 푸조나무
국화과 (菊花科)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09.10 15:53
취나물속 (Saussurea)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2.25 18:29
두메취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06.17 19:15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골취 (0) | 2012.12.30 |
---|---|
자병취 (0) | 2012.12.30 |
그늘취 (0) | 2012.12.29 |
각시서덜취 (0) | 2012.12.29 |
빗살서덜취 (0) | 201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