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비름속 (Amaranthus)

호남인1 2012. 12. 20. 12:52

 

 

 

 

 

비름속

Amaranthus

 

분류: 피자식물문 >쌍자엽식물강 >이판화아강 >중심자목 >비름과 >비름속

피자식물문(Angiospermae)

쌍자엽식물강(Dicotyledoneae)

이판화아강(Archichlamydeae)

중심자목(Centrospermae)

비름과(Amaranthaceae)

비름속 (Amaranthus)

 

비름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식물이다. 비름속에는 60여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5종이 자라고 있다. 비름은 보통 쓰이는 이름으로, 때로는 참비름이라고 하여 이와 비슷한 털비름, 개비름, 청비름, 눈비름 등과 구별하기도 한다.

 

줄맨드라미 (Amaranthus caudatus L.)

 

일반성분은 수분 85.7%, 단백질 2.9%, 지방 0.4%, 탄수화물 7.4%, 섬유질 1.5%, 무기질 2.1%이다. 비타민A는 4,2101.U, C는 30mg으로 많이 들어있다.『동의보감』, 『규합총서』에는 비름을 무독하고 벌레에 물린 데나 독종(毒腫)이 시작할 때 쇠비름을 붙이면 가라앉는다고 하였다. 또한 『증보산림경제』에서는 산후의 혈리(血痢), 복통에 쇠비름을 찧어 달여 꿀에 섞어 먹으면 좋다고 하였다.

출처 - 식품과학기술대사전, 한국식품과학회, 2008

 

 

비름은 한때 재배하기도 한 인도산 식물로 지금은 집 근처에서 자라는 잡초로 되어 있다. 높이는 1m에 달하며 굵은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사각상 넓은 난형에서 삼각상 넓은 난형이며, 길이 4∼12㎝, 너비 2∼7㎝로서 끝이 둔하거나 다소 파진다. 밑은 예저(銳底)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7월경 피기 시작하며 잎겨드랑이에 둥글게 모여 달리지만 가지 끝이나 원줄기 끝에서는 잎이 없는 화서가 수상화서(穗狀花序:이삭모양의 꽃차례)처럼 길게 자란다. 꽃은 양성이며 수술은 3개이고 암술은 1개이며 꽃잎이 없고 꽃받침잎뿐이다. 열매는 타원형이며 꽃받침보다 짧고 중앙에서 옆으로 갈라져서 뚜껑같이 벌어진다.

 

어린 순은 나물로 하고 있으며 농촌에서는 나물로서 또는 이질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여왔다. 비름속에 딸린 식물은 60종이 열대에서 온대까지 분포하며 우리 나라에서 자라고 있는 것은 5종이다.

 

비름을 때로는 참비름이라고 하여 이와 비슷한 털비름·개비름·청비름·눈비름 등과 구별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통틀어 비름이라는 이름 밑에 활용하고 있다.

 

특히 쇠비름은 일찍부터 약용하였다. ≪동의보감≫에서는 “성한(性寒), 미산(味酸), 무독하며 모든 악창(惡瘡:부스럼)을 다스리고 대소변을 통리(通利)하고 만성종창(慢性腫瘡)을 풀고 갈(渴)을 그치고 모든 충(蟲)을 죽인다.”고 하였고, ≪수양총서류집 壽養叢書類輯≫에서는 “미산, 기한(氣寒), 성활(性滑), 무독하고 말에 물렸을 때 마늘과 함께 먹으면 좋다.”고 하였다.

 

≪증보산림경제≫에서는 “산후의 혈리(血痢)·복통에 쇠비름을 찧어 달여 꿀에 섞어 먹는다. 즙을 짜서 고약을 만들면 종창을 고치고 꿀을 섞어 먹으면 이질을 고친다.”고 하였다.

 

또 ≪잠곡선생필담 潛谷先生筆談≫에는 “비름잎을 흥증(烘蒸)하여 벌레를 죽인다.”고 하였으며, ≪규합총서 閨閤叢書≫에서는 “독종이 시작될 때 쇠비름을 붙이면 가라앉으니 이것은 쇠비름 줄기와 잎 사이에 수은이 있는 까닭이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쇠비름과 비름의 잎에는 수은이 각 0.47ppm과 0.07ppm이 들어 있어 다른 식물에 비하여 그 함량이 높다. 이것이 바로 비름과 쇠비름의 살균·살충효과와 관계있는 것이다.

 

잎 속에 들어 있는 수은은 수은중독의 위험성도 있다. 다만, 수은은 휘발성이 강하므로 삶아서 먹으면 그 잔류량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참고문헌 - 大韓植物圖鑑(李昌福, 鄕文社, 1982)韓國食品史硏究(李盛雨, 敎文社, 1984)

출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서식 비름속 (Amaranthus)의 종

가는털비름 (Amaranthus patulus Bertol.)

가시비름 (Amaranthus spinosus L.)

각시비름 (Amaranthus arenicola Johnst.)

개비름 (Amaranthus lividus L.)

긴이삭비름 (Amaranthus palmeri S.Watson)

긴털비름 (Amaranthus hybridus L.)

눈비름 (Amaranthus deflexus L.)

미국비름 (Amaranthus albus L.)

비름 (Amaranthus mangostanus L.)

색비름 (Amaranthus tricolor L.)

줄맨드라미 (Amaranthus caudatus L.)

청비름 (Amaranthus viridis L.)

털비 (Amaranthus retroflexus L.)

 

 

1. 가는털비름

Amaranthus patulus Bertol.

 

 

 

2. 가시비름

Amaranthus spinosus L.

 

 

3. 각시비름

Amaranthus arenicola Johnst.

 

 

 

4. 개비름

Amaranthus lividus L.

 

 

 

5. 긴이삭비름

Amaranthus palmeri S.Watson

 

 

 

6. 긴털비름

Amaranthus hybridus L.

 

 

7. 눈비름

Amaranthus deflexus L.

 

 

8. 미국비름

Amaranthus albus L.

 

 

9. 비름

Amaranthus mangostanus L.

 

 

 

10. 색비름

Amaranthus tricolor L.

 

 

11. 줄맨드라미

Amaranthus caudatus L.

 

 

 

 

12. 청비름

Amaranthus viridis L.

 

 

13. 털비름 

Amaranthus retroflexus L.

 

 

---------------------------

시진, 자료출처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

 

비름과(Amaranthaceae)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2.12.20 12:41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기과(Menispermaceae)  (0) 2012.12.20
가는털비름   (0) 2012.12.20
비름과(Amaranthaceae)  (0) 2012.12.20
개비름  (0) 2012.12.20
미나리아재비과  (0) 2012.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