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올괴불나무

호남인1 2012. 11. 1. 06:06

 

 

 

 

 

올괴불나무

학명: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이명: 올아귀꽃나무, /분류: 피자식물문 > 쌍자엽식물강 > 합판화아강 > 산토끼꽃목 > 인동과> 인동속

원산지: 한국 /분포: 한국(경남을 제외한 전국)·중국(만주)·우수리강

서식지: 표고 100-1,800m의 산지숲속. /크기: 높이 1m.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이른 봄에 연한 홍색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가을에 붉게 익는다. 관상용이고 한국, 만주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경남을 제외한 전국의 표고 100-1,800m 사이에 자생한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올괴불나무 / http://www.nature.go.kr/wkbik1/wkbik1343p1.leaf?plntIlstrNo=26524

 

 

잎은 대생하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첨두이고 원저 또는 넓은 예저이며 길이 3-6cm, 폭 2-4cm로서 양면에 분백색이 돌고 표면에는 잔털이 밀생하며 뒷면에 융모가 있다. 잎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없으며 엽병은 길이 1-5mm이고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서로 떨어져 있고 둥글지만 약간 편평하며 지름 8mm정도로서 5월에 적색으로 성숙하고 맛이 달다.

 

꽃은 잎보다 먼저 피고 길이 1-1.2cm로서 연한 홍색이며 전년지 끝에 2개씩 달리고 화경은 길이 2-3mm로서 잔털과 선점이 있으며 포에 털이 있고 소포가 없다. 화관은 양순이 깊이 갈라지지만 상하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으며 통부는 짧고 밑부분이 넓으며 꽃받침은 털이 없고 열편이 불규칙하며 가장자리에 선모가 있다. 수술은 꽃잎보다 약간 길고 수술대는 연한 홍색이며 꽃밥은 자주색이고 자방은 서로 합쳐지며 털이 없다.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 핀다.

 

 

올아귀꽃나무라고도 한다.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이다. 어린 가지는 갈색 바탕에 검은빛 반점이 있으며 묵은 가지는 잿빛이다. 나무껍질은 세로로 갈라지고 줄기의 속은 흰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 모양이고 길이 3∼6cm, 나비 2∼4cm이다.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근 모양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면에 부드러운 털이 빽빽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1∼5mm이다.

 

꽃은 3∼5월에 연한 붉은색 또는 노란빛을 띤 흰색으로 잎보다 먼저 피는데, 묵은 가지 끝에서 길이 2∼3mm의 꽃자루가 나와 2송이씩 달린다. 꽃자루에는 잔털이 나고 선점(腺點)이 있다. 꽃받침은 불규칙하게 가운데가 갈라지고 화관은 짧고 5갈래로 갈라지며 위·아랫입술꽃잎의 구별이 뚜렷하지 않다. 수술은 5개로서 화관보다 약간 길다. 열매는 장과로서 공 모양이고 5∼10월에 붉은빛으로 익는다.

 

관상용으로 정원에 주로 심는다. 한국·중국(만주)·우수리강에 분포한다.  [출처] 올괴불나무 | 두산백과

 

 

생육환경

내음력이 강하여 밀도가 높은 활엽수림 밑에서도 개화, 결실하여 내한성이 강하다. 건조에는 약하나 내조성과 내공해성이 강하다. 

광선: 음생  /내한성: 강함  /토양: 보통  /수분: 보통 

 

번식방법

번식은 여름에 익는 종자를 채취하여 보호, 저장하였다가 가을에 노천매장한 후 이듬해 봄에 파종한다. 

결실기: 5월 

 

이용방안

관상용이나 생울타리용으로 이용한다. 열매는 식용할 수 있다. 

 

특징

▶강원도 원성군 신림면 성남리의 성황림은 천연기념물 제93호로 지정되어 있다. 면적은 312,993㎡이며 지정사유는 온대 낙엽활엽수림. 이 숲을 구성하는 수종은 다양한데 올괴불나무외에 전나무, 소나무, 음나무, 졸참나무, 귀룽나무, 옻나무, 박쥐나무, 느릅나무, 개암나무, 산딸나무, 오갈피나무, 난티나무, 고로쇠나무, 광대싸리등이 자라고 있다.

 

▶눈이 녹으면서 가지 끝에 연분홍색의 꽃이 피어 아름답고 초여름에 익는 홍색 열매는 매혹적이다. 

 

 

 

인동속(Lonicera) 31종

 

각시괴불나무 (Lonicera chrysantha Turcz.)

개들쭉나무 (Lonicera caerulea var. emphyllocalyx (Maxim.) Nakai)

괴불나무  (Lonicera maackii (Rupr.) Maxim.)

구슬댕댕이 (Lonicera vesicaria Kom.)

길마가지나무 (Lonicera harai Makino)

넓은잎댕댕 (Lonicera caerulea var. longibracteata for. ovata Hara)

넓은잎산괴불 (Lonicera chrysantha var. latifolia Korsh.)

댕댕이나무 (Lonicera caerulea var. edulis Turcz. ex Herder)

두메홍괴불나무 (Lonicera maximowiczii (Rupr.) Regel )

둥근잎댕댕이 (Lonicera caerulea var. venulosa (Maxim.) Rehder)

물앵도나무 (Lonicera ruprechtiana Regel)

볼레괴불나무 (Lonicera monantha Nakai)

분홍괴불나무 (Lonicera tatarica L.)

붉은인동 (Lonicera periclymenum)

산괴불나무 (Lonicera chrysantha var. crassipes Nakai)

섬괴불나무 (Lonicera insularis Nakai)

숫명다래나무 (Lonicera coreana Nakai)

암괴불나무 (Lonicera nigrum var. barbinervis (Kom.) Nakai)

올괴불나무 (Lonicera praeflorens Batalin)

왕괴불나무 (Lonicera vidalii Franch. &Sav.)

인동덩굴 (忍冬草) (Lonicera japonica Thunb.)

잔털인동 (Lonicera japonica for. chinensis Hara)

절초나무 (Lonicera chrysantha var. longipes Maxim.)

지리괴불나무 (Lonicera cerasoides Nakai)

청괴불나무 (Lonicera subsessilis Rehder)

털괴불나무 (Lonicera subhispida Nakai)

털산괴불나무 (Lonicera chrysantha for. villosa Hort)

털인동 (Lonicera japonica var. repens (Siebold) Rehder)

홍괴불나무 (Lonicera sachalinensis (F.Schmidt) Nakai)

흰괴불나무 (Lonicera tatarinowii var. leptantha (Rehder) Nakai)

흰등괴불나무 (Lonicera maximowiczii var. latifolia (Ohwi) Hara)

===================================================================================================

 

 

사진출처 - 야생화클럽 / http://wildflower.kr/xe/wfc_01

 

 

 

 

 

=============================================================================================================================

바로가기

 

산토끼꽃 | 식물도감(植物圖鑑)

인동 | 식물도감(植物圖鑑)

인동 | 식물도감(植物圖鑑)

올괴불나무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한국서식 인동속(忍冬屬)식물의 꽃과 열매 | 식물도감(植物圖鑑)

大韓民國 植物目錄 6. - 4,903種중 (3471. 아마과 - 4203. 쥐방울덩굴과) | 식물도감(植物圖鑑)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각시괴불나무  (0) 2012.11.01
왕괴불나무   (0) 2012.11.01
섬괴불나무  (0) 2012.11.01
넓은잎댕댕이  (0) 2012.11.01
산괴불나무   (0) 2012.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