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식물학 용어 - ㄱ (가과 ~ 꿀샘)

호남인1 2012. 9. 28. 17:29

 

 

 

 

 

 

식물학 용어

(가과 ~ 꿀샘)

 

 

• 가과 (假果, false fruit, pseudocarp, =위과) 씨방이 아닌 부분이 뭉쳐져서 생겨난 열매로, 대개 씨방은 과육(우리가 먹는 부분)의 안쪽에 남게 됩니다. ex) 사과, 딸기 

• 가근 (假根, rhizoid, =헛뿌리) 뿌리처럼 생겼으나 관다발이 들어있지 않은 구조. ex) 송엽난 

가근(헛뿌리) -관다발식물의 뿌리처럼 보이는 은화식물의 근상부(根狀部)를 말하는데 식물에 따라 그 형태 ·기원 ·기능을 달리하며, 대개는 단세포 또는 1열의 세포로 이루어진 사상체(絲狀體)로서 조직적인 분화는 볼 수 없다. 대개 고착작용을 하지만 간혹 흡수작용도 한다.

• 가도관 (假導官, tracheid, =헛물관) 원시 관속식물의 물관. 

가도관(헛물관) -유관속식물(관다발식물)의 목부(木部)에 있으며 수액의 통로가 되는 조직으로, 양치식물과 겉씨식물의 통도(通導)조직을 이루며 쌍떡잎식물에서는 이것이 물관으로 발달되어 있다. 세포벽은 목화(木化)되어 두껍고 통도 외에 식물체를 단단하게 하는 기계적 지지 구실도 하는데, 도관상(導管狀) 헛물관과 섬유상(纖維狀) 헛물관의 두 형식이 있다.

• 가면 모양 꽃부리 (personate corolla, =가면형) 순형화관(입술 모양 꽃부리) 중, 아랫 입술에 해당하는 꽃잎이 특히 커서 마치 사람 얼굴처럼 보인다고 하는 꽃모양을 말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별로 얼굴처럼 보이진 않더군요. '대체 어디가 얼굴모양이라는 거야?' 라는 생각이 드셔도 어쩔 수 없습니다. ^^; ex) 해란초, 금어초, 제비고깔 등.  

• 가면형 (假面形, personate corolla, =가면 모양 꽃부리) 순형화관(입술 모양 꽃부리) 중, 아랫 입술에 해당하는 꽃잎이 특히 커서 마치 사람 얼굴처럼 보인다고 하는 꽃모양을 말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별로 얼굴처럼 보이진 않더군요. '대체 어디가 얼굴모양이라는 거야?' 라는 생각이 드셔도 어쩔 수 없습니다. ^^; ex) 해란초, 금어초, 제비고깔 등.  

• 가시 (prickle, spine, =침) 찔리면 '아야!' 하는 그 가시입니다. 사람이 아픈데 다른 동물이나 곤충도 가시에 찔리면 당연히 아프겠죠? 이렇게 가시는 식물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가시는 보통, 식물의 가지, 잎자루, 턱잎, 껍질 등의 일부분이 변해서 생겨납니다. 예컨대, 아까시나무는 턱잎이, 장미는 나무껍질의 일부가, 좀갈매나무는 가지 끝이 변하여 가시가 됩니다. 기원에 따라 1) 엽침(葉針, spine), 2) 피침(皮針, cortical spine), 3) 경침(莖針, thorn) 등으로 나누기도 합니다.  

• 가엽 (假葉, enation, phyllodia, =헛잎) 마치 잎처럼 보이지만 실은 잎이 아닌 구조. ex) 송엽난, 비짜루 

• 가웅예 (假雄蘂, staminode, =헛수술) 양성화에서 수술이 모양만 남고 제 기능을 할 수 없어 불임성인 것을 말합니다. ex) 물매화 

• 가인경 (假鱗莖, pseudobulb) 줄기가 짧아져서 다육질이 된 것. ex) 난과 

• 가종피 (假種皮, aril) 배주의 주피 이외의 부위가 발달하여 만들어진 종피(열매껍질)를 말합니다. ex) 주목, 노박덩굴 

• 가측생 (假側生, pseudolateral) 마치 측생(옆에서 나옴)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정생(위에서 나옴)인 것. 

• 각두 (殼斗, cupule) 도토리를 보면 아랫부분을 감싸고 있는 동그랗고 딱딱한 껍질이 있습니다. 이러한 참나무속 열매의 컵모양 깍정이를 각두라고 부릅니다. 각두는 여러개의 총포조각이 서로 붙은 채로 딱딱하게 변하여 생겨납니다. ex) 도토리, 밤 등의 각두. 

각피(겉껍데기) 겉으로 드러난 껍데기. ≒각피(殼皮)·외각(外殼).

간기 -DNA가 2배로 증가 세포 분열준기 ; 세포분열 간기-G1(복제준비기) S(DNA복제기) G2(분열 준비기)

갈조류 -녹갈색 또는 담갈색을 띤 해초(海草). 한류의 깊은 곳에 난다. 광합성을 하여 동화(同化) 산물을 생성하며 대부분 세대 교번으로 증식한다. 미역, 다시마 따위가 있고 식용하며 요오드의 원료로 쓴다.

갈조소 -갈조류에 들어 있는 적갈색 색소. 크산토필의 하나로 엽록소와 함께 많은 양이 들어 있으며 광합성에 관여한다.

• 감과 (柑果, hesperidium) 귤처럼 가죽같은 껍질이 있고, 그 속에 여럿으로 나뉜 육질이 있는 열매를 통틀어 감과라고 한다.  

감과 -장과(漿果)의 하나. 속 열매껍질의 일부가 주머니처럼 생기고 속에 액즙이 들어 있는 과일을 이른다. 귤, 감자, 유자 따위가 있다.

• 강모 (剛毛, setose) 굳센 털.  

갖춘꽃 -꽃받침, 꽃잎, 암술과 수술을 완전히 갖춘 꽃. 무궁화 꽃, 벚꽃 따위이다.

• 개과 (開果, dehiscent fruit) 폐과(閉果)의 상대어. 열매의 껍질이 육질이 아니며 말라 있고, 봉합선을 따라 갈라지는 열매를 말합니다.  

• 개방차상맥 (開放叉狀脈, open dichotomous branching venation, free venation, =유리엽맥, =차상맥) 잎맥이 굵기의 변화 없이 Y자 모양으로 갈라지는 것. ex) 고비, 은행나무 

• 개엽 (開葉, aestivation) 눈(芽)에서 겹쳐 있던 잎이나 꽃잎이 펼쳐지는 것. 

개체군 -한곳에서 같이 생활하는 생물 개체의 집단

• 거 (距, spur, =꽃뿔) 꽃부리나 꽃받침의 일부가 뒤쪽으로 돌출한 구조. 보통 속이 비어 있거나 꿀샘이 있습니다. ex) 제비꽃, 물봉선, 현호색 등의 꽃에서 

• 거치 (鋸齒, serrate, =톱니) 톱니처럼 생긴 잎의 가장자리. 

• 건과 (乾果, dry fruit) 육질과(肉質果)의 상대어. 열매의 껍질이 육질이 아니고 목질(木質), 혁질(革質), 또는 막질(膜質)인 열매. 열리는 개과와 열리지 않는 폐과로 나뉩니다.  

• 건막질 (乾膜質, scarious, =건피질) 건질(乾質)로서 얇고 또 무색인 것.  

건생식물 -바위나 모래밭 같이 물기가 적고 마른 곳에서 잘 자라는 식물. 공기가 건조한 곳이나 온도가 낮은 곳, 토양의 염류농도가 높은 곳 따위의 수분흡수가 곤란한 곳에서 생육할 수 있다. 지의류, 이끼식물, 석골풀, 선인장 따위가 있다.

• 건피질 (乾皮質, scarious, =건막질) 건질(乾質)로서 얇고 또 무색인 것.  

• 겨울눈 (winter bud, =동아) 내년 봄에 잎이나 꽃이 되기 위해 올 겨울이 지나기 전에 만들어지는 눈.  

• 격막 (隔膜, septa, =격벽) 두 방 사이의 벽. 

• 격벽 (隔壁, septa, =격막) 두 방 사이의 벽. 

• 견과 (堅果, nut) 도토리나 호도처럼 껍질이 단단한 열매. 크기가 작은 건과를 소견과(nutlet)라고도 합니다.  

• 견모 (絹毛, sericeous) 비단실 같은 털. 

• 결각 (缺刻, lobed) 잎의 가장자리가 들쑥날쑥한 모양. 그 정도에 따라 천열(淺裂), 중열(中裂), 심열(深裂), 전열(全裂)로 나눕니다. 

• 겹산형꽃차례 (compound umbel, =겹산형화서, =복산형꽃차례, =복산형화서) 각각의 산형꽃차례가 다시 산형으로 달려 전체 꽃차례를 이루는 모양. 산형과 식물의 대부분은 산형꽃차례보다는 겹산형꽃차례를 이룹니다.  

• 겹산형화서 (compound umbel, =겹산형꽃차례, =복산형꽃차례, =복산형화서) 각각의 산형화서가 다시 산형으로 달려 전체의 화서를 이루는 모양. 산형과 식물의 대부분은 산형화서보다는 겹산형화서를 이룹니다.  

• 겹입 (compound leaf, =복엽) 얼핏 보기에는 여러 잎이 달린 것 같지만, 실은 하나의 잎이 갈라져서 두 개 이상의 작은 잎을 이룬 잎을 말합니다. 갈라진 작은 잎의 배열 상태에 따라 1) 우상복엽(羽狀復葉, =깃모양 겹잎), 2) 삼출엽(三出葉, =3출 겹잎), 3) 장상복엽(掌狀復葉, =손바닥 모양 겹잎) 등으로 나눕니다.  

• 겹집산꽃차례 (dichasial cyme, =겹집산화서) 집산화서의 일종으로, 꽃차례 축의 끝에 꽃이 달리고, 그 밑 겨드랑이에서 굵기가 같은 2 개의 가지가 발달하여 선단에 꽃이 달리고, 다시 겨드랑이에 같은 굵기의 가지가 발달하는 것이 반복되는 꽃차례입니다. ex) 층층나무의 꽃.  

• 겹집산화서 (dichasial cyme, =겹집산꽃차례) 집산화서의 일종으로, 꽃차례 축의 끝에 꽃이 달리고, 그 밑 겨드랑이에서 굵기가 같은 2 개의 가지가 발달하여 선단에 꽃이 달리고, 다시 겨드랑이에 같은 굵기의 가지가 발달하는 것이 반복되는 꽃차례입니다. ex) 층층나무의 꽃.  

• 겹쳐나기 (imbricate, =복와상) 꽃잎이나 꽃받침 조각이 마치 기왓장처럼 포개져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꽃봉오리일 때의 꽃잎은 대부분이 겹쳐나기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 겹톱니 (doubly serrate, =중거치) 잎에 큰 톱니가 나 있고, 그 큰 톱니에 다시 작은 톱니가 나 있는 것. ex) 개암나무 

• 경생 (莖生, cauline) 줄기에서 나는 것을 말합니다. 한 식물의 잎인데도 근생엽(뿌리에서 나는 잎)과 경생엽(줄기에서 나는 잎)이 매우 달라 보이는 경우가 흔히 있습니다. 근생(根生)의 상대어.  

• 경생 (傾生, reclinate, reclining) 아래로 굽은, 또는 아래로 굽어서 나오는 모양. 

• 경생엽 (莖生葉, cauline leaf, =경엽) 줄기에서 나는 잎을 뜻합니다. 근생엽(根生葉)의 상대어.  

• 경엽 (莖葉, cauline leaf, =경생엽) 줄기에서 나는 잎을 뜻합니다. 근생엽(根生葉)의 상대어.  

• 경침 (莖針, thorn) 가지로 변하게 될 가시. ex) 보리수나무, 산사나무 

• 경엽체 (莖葉體, leafy gametophyte) 선태류의 잎과 줄기로 분화된 배우체를 말하며, 엽상체와 비교된 용어입니다. 

경제식물학 -경제식물을 조사하고 그 재배와 이용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

-생물을 분류하는 가장 큰 단위. 동물계, 식물계 따위가 있다.

계통분류 -생물 진화의 계통에 맞추거나 이를 반영하려고 하는 생물의 분류방법

계통분류학 -생물의 계통 발생을 고려하여 생물을 분류하는 학문

계통수 -생물의 발생과 진화의 관계를 나무에 비유하여 나타낸 그림

• 고배 모양 꽃부리 (hypocrateriform corolla) 꽃의 통부분이 가늘고 길면서 꽃잎은 수평으로 퍼진 모양을 말합니다. ex) 협죽도, 꽃잔디, 앵초 등의 꽃.  

고식물학 -지질 시대의 식물을 연구하는 학문. 주로 화석(化石)을 통하여 연구한다.

• 곡과 (穀果, caryopsis, =영과) 열매의 껍질과 씨앗이 붙어서 분리되지 않는 형태의 열매입니다. 흔히 곡류(grain) 또는 '낟알'이라 부르는 것은 대개 영과입니다. ex) 벼 

• 곤봉형 (棍棒形, clavate) 곤봉처럼 생긴.  

• 골돌 (follicle) 암술 하나가 각각 하나씩의 열매로 되는 것을 말합니다. 봉합선이 하나 있으며 열매가 다 익게 되면 이 봉합선을 따라 열매가 갈라집니다. ex) 작약, 박주가리 

• 공개 (孔開, porous dehiscence) 열매나 꽃밥에 구멍이 생겨 갈라지는 것.  

공변세포 -식물의 기공을 이루고 있는 두 개의 세포. 표피 세포가 변해서 된 것으로 두 개가 서로 붙어서 그 사이에 기공을 구성한다. 반달 모양 또는 콩팥 모양에 가깝다. 기공을 여닫는 구실을 하여 수분을 조절하고 내부를 보호한다.

공생 -종류가 다른 생물이 같은 곳에서 살며 서로에게 이익을 주며 함께 사는 일. 악어와 악어새, 충매화와 곤충, 콩과 식물과 뿌리혹박테리아 따위가 있다.

공진화 -여러 개의 종(種)이 서로 영향을 주면서 진화하여 가는 일. 충매화의 구조와 곤충의 입틀 모양의 진화 따위가 있다.  

-생물 분류학상의 단위. 속의 위, 목의 아래이다.

• 과병 (果柄, fruit stalk) 열매의 자루.  

• 과상 (跨狀, equitant) 잎이 마주 겹쳐나며 바깥 것이 안쪽 것을 둘러싼 모양. ex) 꽃창포 

• 과실 (果實, fruit, =열매) 성숙한 씨방을 말합니다. 보통은 씨방벽이 변해서 된 과피와 배주가 변해서 된 씨앗으로 이루어지며, 모양과 종류가 다양합니다. 식물 분류의 주요 지표가 됩니다. 

• 과포 (果苞, perigynium) 사초과 식물 등에서 수과를 싸고 있는 주머니.  

• 과피 (果皮, pericarp) 열매의 껍질.  

• 관모 (冠毛, pappus) 수과의 머리에 붙어 있는 털뭉치. 국화과에서는 꽃받침이 털로 변한 것을 말합니다. ex) 민들레의 동그란 솜모양을 이루는 털 하나 하나.. 

• 관목 (灌木, shrub, frutex) 교목과 상대되는 용어입니다. 대체로 사람과 키가 비슷한 높이의 나무를 말하며, 흔히 뿌리나 밑부분에서 여러 개의 가지가 갈라져 자랍니다. ex) 진달래, 개나리 

관목 -높이가 2m 이내이고 주줄기가 분명하지 않으며 밑동이나 땅속 부분에서부터 줄기가 갈라져 나는 나무.

• 관상 (管狀, tubular) 빨대처럼 속이 빈 모양. 

• 관속흔 (管束痕, bundle scar) 잎이 떨어진 자리에서 볼 수 있는 관속의 흔적.  

• 관통형 (perfoliate) 마주나는 잎 둘이 줄기 부분에서 서로 붙어 버려서, 마치 줄기가 잎을 관통한 것처럼 보이는 잎모양을 말합니다.   

• 관상화 (管狀花, disk flower, =통꽃, =반상화) 해바라기 꽃을 보면 씨가 맺히는 동그란 중심부분과 그 주변을 빙 둘러 노란 꽃잎이 나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국화과 식물의 두상화는 동그란 중심부분을 구성하는 통꽃과 그 주변을 맴돌아 나는 혀꽃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통꽃과 혀꽃은 꽃 한 송이의 일부분이 아니며, 그 자체가 각각 하나의 꽃입니다. 마치 해바라기 꽃 한송이처럼 보이는 것은 실제로는 이처럼 수많은 통꽃과 혀꽃이 모여 이루어진 수백 송이의 꽃인 셈입니다. 설상화 항목을 참조하세요. 

광합성 -녹색식물이 빛에너지를 이용해 이산화탄소와 물로부터 유기물을 합성하는 작용

-대부분의 식물에서 광합성과 동시에 나타나는 이탄당화합물이 이산화탄소로 산화되는 것이다. 빛을 차단하여도 광호흡은 한동안 계속되며, 이 때 광호흡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생이 일시적으로 일어난다.

• 괴경 (塊莖, tuber) 땅속줄기가 너무나 뚱뚱해진 나머지 덩어리처럼 된 것을 말합니다. 뿌리가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 ex) 감자 

• 괴근 (塊根, tuberous root) 덩어리 모양의 뿌리. ex) 고구마  

• 교목 (喬木, tree, arboreous) 관목과 상대되는 용어입니다. 사람보다 키가 큰 나무를 말하는데, 사실상 관목과 교목의 구분은 그저 편의상 그렇게 나눠 부르는 것일 뿐 구분이 애매한 경우도 있습니다. ex) 은행나무, 참나무  

• 교호대생 (交互對生, decussate) 아래쪽에서 마주나는 잎의 쌍과 그 바로 위에서 마주나는 잎의 쌍이, 위에서 보면 마치 십(十)자 모양처럼 어긋나는 것. 

• 구경 (球莖, corm) 줄기가 저장기관의 역할을 하는 것 중에서, 건조한 막질의 잎에 싸여 있고 다육질이거나 비늘 조각 모양이며 전체적으로 공모양인 것을 구경이라고 합니다. 양파는 구경이 아닌 인경이라는 사실에 유의! ex) 글라디올러스, 택사, 수선화, 천남성 

• 구과 (毬果, cone, =솔방울) 솔방울형 열매. 여러 개의 종린(種鱗)이 중앙의 축에 촘촘히 박혀 있어서 전체적으로 공모양이나 원뿔모양을 이룹니다. 종린 안쪽에 씨앗이 달려 있습니다. ex) 소나무, 굴피나무  

• 구아 (球芽, gemma, =무성아, =살눈, =육아, =주아) 씨앗이나 열매가 아니면서 식물체의 몸 일정 부위에 생겨나 나중에 새로운 하나의 식물로 자라나는 조직을 말합니다. 잎겨드랑이(참나리)나 줄기의 일부 비대(마류), 잎의 비대(백합류의 인경) 등으로 생겨납니다. 

• 구화 (毬花, strobile) 겉씨식물의 꽃. 속씨식물의 꽃에 대해 상대적인 의미를 갖습니다. 암꽃을 대포자구화, 수꽃을 소포자구화라고 합니다. 구과와 혼동하여 쓰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 구심적 (求心的, centripetal) 중심을 향하는 

• 권산화서 (drepanium, helicoid cyme) 꽃이 달린 줄기가 처음에 고사리손처럼 말렸다 점차 조금 펴지는 것. ex) 꽃마리  

• 권수 (卷鬚, tendril, =덩굴손) 덩굴성 식물에서 줄기나 잎의 끝이 물체를 감아 나갈 수 있도록 변형된 부분. ex) 오이, 포도, 칡 

• 극형 (戟形, hastate) 잎의 아래쪽이 뾰족한 귀모양으로 돌출하여, 마치 창끝처럼 생긴 모양. ex) 고마리, 메꽃 

• 근경 (根莖, root stock, rhizome) 땅속에서 기는, 뿌리처럼 보이는 줄기. ex) 연꽃, 둥글레 

• 근생 (根生, radical) 땅속 줄기의 끝에서 나와, 마치 뿌리에서 난 것처럼 보이는 것. 땅 위의 줄기에 달린다는 의미의 경생(莖生)과 상대적 개념입니다. 

• 근생엽 (根生葉, radical leaf, basal leaf, =근출엽) 땅속 줄기의 끝에서 나온 잎으로, 마치 뿌리에서 난 것처럼 보입니다. 국화과나 제비꽃과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꽃이 필 무렵에는 말라죽는 경우도 있습니다.  

• 근생화경 (根生花梗, scape, =꽃줄기, 화경(花莖)) 직접 땅에서 올라와 그 끝에 꽃이 달리는 줄기로서, 대개 잎은 달리지 않습니다. 발음은 같지만 한자가 틀린  화경(花梗)과는 다른 의미입니다. 

• 근출엽 (根出葉, radical leaf, basal leaf, =근생엽) 땅속 줄기의 끝에서 나온 잎으로, 마치 뿌리에서 난 것처럼 보입니다. 국화과나 제비꽃과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꽃이 필 무렵에는 말라죽는 경우도 있습니다.

• 기근 (氣根, aerial root) 난과 식물들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땅 위에 노출되는 뿌리를 말합니다. 

• 기는 줄기 (prostrate stem, stolon, =포복경) 땅위를 기면서 자라는 줄기를 말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마디에서 뿌리가 내려 이것으로 번식하기도 하며, 곧게 위로 줄기가 자라기도 합니다. ex) 뱀딸기, 피막이풀 

• 기반 (基盤, callus) 벼과의 이삭을 구성하는 작은꽃의 자루 끝. 여기에 암수술 등이 붙게됩니다. 

• 기산화서 (dichasium) 꽃줄기 끝에 한 개의 꽃이 달리고, 그 꽃 밑에 두 개의 꽃이 마주보며 달리는 화서. 

• 기생근 (寄生根, haustorial root, haustorium) 다른 식물을 뚫고 들어가 영양분을 빨아 먹을 수 있는 뿌리를 말합니다. 무시무시하죠? ex) 새삼, 겨우살이의 뿌리 

• 기생성 (寄生性, parasitic) 다른 식물에 붙어 그 식물이 만들었거나 저장한 영양분을 빨아먹으며 사는 식물을 형용하는 용어입니다. 기생식물과 부생식물은 다릅니다. 부생식물 항목을 참조하세요. ex) 새삼, 겨우살이 

• 기수우상복엽 (奇數羽狀複葉, oddly pinnate leaf, imparipinnately compound leaf, =홀수깃꼴겹입) 작은잎(소엽)이 줄기(총엽병) 양쪽으로 줄지어 붙어 전체적으로는 마치 깃털을 연상케하는 잎을 우상복엽(깃꼴겹잎)이라고 합니다. 이 때 작은잎의 갯수가 홀수일 때, 이를 기수우상복엽이라고 합니다. 우수우상복엽(偶數羽狀複葉), 장상복엽(掌狀複葉) 항목을 참조하세요.  

• 기저태좌 (基底胎座, basal placentation) 나중에 씨앗이 될 부분인 배주가 씨방의 밑바닥에 붙어 있는 것. ex) 밤나무, 벼과 

• 기판 (基瓣, vexillum, standard) 콩과의 꽃잎 중에서 위쪽에 붙어 있으며 크기도 가장 큰 꽃잎. 익판(翼瓣), 용골판(龍骨瓣) 항목을 참조하세요. 

• 긴 타원형 (oblong, =장타원형) 잎과 꽃잎, 꽃받침조각 등의 모양을 표현할 때 쓰는 용어. 세로와 가로의 비가 약 3:1에서 2:1 사이이며, 긴 양 측면이 평행을 이루는 모양을 말합니다.  

• 깃꼴겹잎 (pinnately compound leaf, =우상복엽) 작은잎(소엽)이 줄기(총엽병) 양쪽으로 줄지어 붙어 전체적으로는 마치 깃털을 연상케하는 잎. 맨 끝에 붙은 소엽이 한 장일 때는 홀수깃꼴겹잎(기수우상복엽), 두 장일 때는 짝수깃꼴겹잎(우수우상복엽)이라고 합니다. 

• 깃조각 (pinna, =우편) 깃꼴겹잎의 작은잎 하나 하나를 말합니다. 

• 까끄라기 (arista) 벼과 식물에서 포영이나 호영의 끝 부분이 자라서 털모양이 된 것을 말합니다. 까끄라기는 벼과를 분류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깔때기 모양 꽃부리 (funnel-shaped corolla) 말 그대로 깔때기 모양을 한 꽃을 말합니다. ex) 메꽃, 독말풀, 담배꽃 

• 꼬리꽃차례 (catkin, ament, =유이화서, =미상화서) 축이 가늘고 길며, 암꽃이나 수꽃이 여러 개 조밀하게 모여 있어 마치 동물의 꼬리같이 보이는 꽃차례입니다. 꽃차례는 밑으로 드리우거나, 위로 곧게 뻗기도 합니다. ex) 밤나무, 버드나무 

• 꼬투리 (legume, =두과, =협과) 콩꼬투리는 다 아시죠? 꼬투리는 콩과식물의 전형적인 열매랍니다. 보통 두 개의 봉합선을 따라 터집니다.   

• 꽃가루 (pollen, =화분, =예분) 수술의 꽃밥 속에 들어 있는 가루 모양의 물질. 사람으로 비유하자면 정자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소포자와 혼동되는 경우가 가끔 있으나 소포자가 더 큰 개념입니다. 

• 꽃가루덩이 (pollinia, pollen mass, =화분괴) 여러 개의 꽃가루가 덩어리진 상태로서, 특히 난초과와 박주가리과의 특징적인 형질입니다.  

• 꽃가루받이 (pollination, =수분) 암술이 꽃가루를 받는 것. 또는 그 방법. 

• 꽃가루자루 (microsporangium, =소포자낭) 소포자(숫포자)가 들어있는 주머니. 대포자낭 항목을 참조하세요. 

• 꽃대 (pedicel, =꽃자루, =화병, =소화경) 하나의 꽃을 달고 있는 자루. 열매가 다 익은 후에도 남아 있는 경우에는 과경(果梗)이라고 부릅니다. 화병과 비슷한 개념으로는 화경(花梗)이 있는데, 화병은 하나의 꽃을 달고 있는 자루인데 비해 화경은 꽃이 여럿 달린 꽃차례가 달리는 자루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화경과 화병이 같은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 꽃덮이 (perianth, =화피) 꽃잎과 꽃받침을 함께 일컬을 때 쓰는 용어입니다. 거의 같은 모양인 것이 안팎으로 있을 때는 안쪽 것을 속꽃덮이(내화피), 바깥쪽 것을 겉꽃덮이(외화피)라고 하며, 다른 모양일 때는 바깥쪽 것을 꽃받침, 안쪽 것을 꽃잎이라고 합니다. 

• 꽃받침 (calyx, =악) 꽃의 가장 밖에서 꽃잎을 싸고 있는 조각들의 총칭. 

• 꽃받침 조각 (sepal, =악편) 꽃받침을 이루는 각 조각이 서로 떨어져 있을 경우, 그 떨어져 있는 각각을 뜻합니다. 보통은 녹색이지만, 색소를 함유하여 마치 꽃잎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 꽃받침통 (calyx tube) 꽃받침이 서로 합쳐져서 만들어진 통모양의 구조.  

• 꽃밥 (anther, =약) 수술의 끝에 달린 화분을 담고 있는 주머니. 

 

• 꽃밥부리 (connective, =약격) 꽃밥은 대개 좌우로 나뉘어 있는데, 그 좌우를 연결하는 조직을 꽃밥부리라고 합니다. 편평하거나, 삿갓나물과 같이 길게 돌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꽃부리 (corolla, =화관) 꽃잎의 모임, 즉 꽃덮이 중에서 안쪽 것을 말합니다. 꽃잎은 서로 떨어져 있거나 붙어 있습니다. 꽃잎이 서로 떨어져 있는 것을 이판화관(polypetalous), 서로 붙어 있는 것을 합판화관(gamopetalous)라고 합니다. 

 

• 꽃뿔 (spur, =거) 꽃부리나 꽃받침의 일부가 뒤쪽으로 돌출한 구조. 보통 속이 비어 있거나 꿀샘이 있습니다. ex) 제비꽃, 물봉선, 현호색 등의 꽃에서 

 

• 꽃술대 (gynostemium, column) 수술과 암술이 융합된 복합체. 고도로 특수화한 기관이며, 박주가리과와 난초과 식물의 특징입니다. 

 

• 꽃실 (filament, =수술대, =화사) 수술에서 꽃밥이 달려 있는 가는 자루.  

 

• 꽃잎 (petal, =화판) 꽃부리(화관)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암수술과 꽃받침 사이에 있습니다. 대개는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 (곤충 눈으로 보기에) 예쁜 색깔과 모양을 지니고 있습니다. 어떤 식물은 꽃받침이 오히려 더 꽃잎처럼 보이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서 살펴 보아야 합니다.  

 

• 꽃자루 (pedicel, =꽃대, =화병, 소화경) 하나의 꽃을 달고 있는 자루. 열매가 다 익은 후에도 남아 있는 경우에는 과경(果梗)이라고 부릅니다. 화병과 비슷한 개념으로는 화경(花梗)이 있는데, 화병은 하나의 꽃을 달고 있는 자루인데 비해 화경은 꽃이 여럿 달린 꽃차례가 달리는 자루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화경과 화병이 같은 의미로 쓰이는 경우도 많습니다. 

 

• 꽃차례 (inflorescence, =화서) 꽃이 달리는 배열 상태를 말합니다. 꽃차례, 즉 화서는 기본적으로, 1) 꽃이 피는 순서에 따라 유한화서와 무한화서로 구별합니다. 유한화서는 위에서 아래쪽을 향해, 무한화서는 아래에서 위쪽을 향해 꽃이 차례로 피게 됩니다. 2) 형태에 따라서는 크게 총방화서와 집산화서로 구분합니다. 총방화서에는 총상, 이삭, 두상, 산형, 산방화서와, 그 변형으로서 꼬리, 살이삭화서가 있습니다. 집산화서에는 전갈, 호상, 배상화서 등이 있습니다. 3) 이 외에도 몇 가지 화서의 복합적 형태로서 원추, 겹산방, 겹산형화서 등이 있습니다. 

 

• 꽃턱 (receptacle, =화탁, =화상) 줄기에 꽃잎, 꽃받침 등 꽃의 모든 기관이 붙는 부위를 뜻합니다. 꽃탁이나 화턱은 올바르지 못한 표현이니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 꿀샘 (nectary, =밀선) 꿀을 분비하는 다세포의 선(腺). 꿀샘이 꽃에 있는 경우는 화내 꿀샘, 꽃 이외의 부분에 있는 것을 화외 꿀샘이라고 합니다.

 

식물학 용어 - 목차 | 식물도감(植物圖鑑) 2010.04.15 10: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