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卉.園藝.植物.田園/식물도감(植物圖鑑)

개나리광대버섯

호남인1 2012. 9. 17. 14:18

 

 

 

 

 

개나리광대버섯

학명: Amanita subjunquillea) Imai Fungi

 

이명: 알광대버섯아재비

분포지역: 한국, 일본, 소련 연해주, 중국 북동부 /서식지역: 여름∼가을에 침엽수, 활엽수 혼합림내 지상에 산생∼단생한다

발생장소: [임내지상] [적송림내지상] [혼합림내] [혼합림내지상] /형태: 외생균근균

분류: 진정담자균강 >모균아강 >주름버섯목 >송이과 >만가닥버섯족 >광대버섯속 >개나리광대버섯

 

독버섯(맹독)

꾀꼬리버섯이라는 식묭버섯을 먹었다고 입언한 사망환자가 실제 섭식했던 버섯으로 밝혀진 것이 개나리광대버섯이다. 이버섯은 일본과 한국에서만 서식한다고 알려져 왔으나 최근 중국에서도 발견되고 있다고 한다. 이 버섯이 내포하는 독소도 독우산광대버섯처럼 알파아마니틴으로 추정되고 있다.

 

국가생물종정보지식시스템검색

개나리광대버섯 / 등록정보없슴

 

 

 

개나리광대버섯(=알광대버섯아재비)

균모의 지름은 3.5-8.0㎝이고 처음은 약간 원추형이나 차차 편평하게 된다. 전체는 황색이나 가운데는 황갈색이다. 약간 방사선의 섬유상의 줄무늬가 있고 조선은 없다. 습기가 있을 때는 약간 점성이 있다. 백색의 턱받이의 인편이 부착한다. 육질은 백색이나 표피의 밑은 황색이다.

 

주름살은 백색이고 떨어진 주름살이고 약간 밀생한다.

 

자루의 길이는 7-11.5cm이고 폭은 0.5-1.5㎝로 백황색이고 황갈색의 미세한 인편이 있다. 자루의 윗쪽에는 백색의 막질인 턱받이가 있으며 기부는 부풀어 있다.

 

포자의 크기는 6.5-8.0×5.5-6.5㎛로 거의 구형이고 아미로이드(전분반응)이다.

담자기의 크기는 25-30×6.3-7.5㎛이고 곤봉형이다.

 

발생은 여름부터 가을까지이며 침엽수와 활엽수림의 흙에 단생 또는 군생한다. 맹독성버섯이다. 분포는 한국에서는 소백산, 오대산, 지리산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일본, 러시아연해주, 중국동북부 지역에 분포한다.


 


갓의 형태

초기에는 백색 계란모양이나 정단부위가 갈라지며 갓과 대가 나타난다 크기45∼80㎜ 난형∼광원추형, 성장하면 반반구형, 점차 중고편평형

갓의 색 및 특징: 밝은 황색, 황토색,등황색, 방사상으로 인편상 선 조직 : 육질형. 백색

 

 

자실체의 특징

대: 크기 50∼115×6∼10㎜, 모양 원통형, 기부는 구근상, 색깔 담황색∼담갈황 색의 섬유상 또는 손거스러미상 인피

포자: 6∼9×5.5∼7㎛, 모양 유구형, 구형, 아밀로이드

포자문: 백색 

 

 

맹독성 버섯으로 독우산광대버섯과 형태와 모양이 같으며 중독 증상 또한 같다.

 

개나리광대버섯(왼쪽)과 독우산광대버섯.

 

개나리광대버섯은 독우산광대버섯과 모양이 매우 유사하며, 발생시기 나 장소도 같다. 그러나 전자는 갓의 색깔이 밝은 등황색-황토색 또는 녹황색을 띠며, 대의 표면이 옅은 등황색을 띤다는 점이 다르다.

 

 

 

독버섯' 섭취시 대처

 

■ ‘독버섯’은 통상 각 주름부분이 백색을 띄고, 대(자루) 부분은 표고버섯보다도 가는 편이고 각 부분이 잘 떨어집니다. 습기가 많고 기온이 20~25℃에서 주로 서식하며 여름부터 가을에 많이 발생하므로 산과 계곡으로 여행시 무분별한 버섯섭취는 식중독 발생의 원인입니다.

 

야생 독버섯은 왜 위험한가?

1999년부터 7년간 야생 독버섯을 먹고 총 18건의 중독사고로 121명의 중독 환자가 발생하였고, 그 중 11명은 사망하였다. 특히 “아마톡신” 성분이 들어있는 야생 독버섯(독우산광대버섯, 개나리광대버섯)은 먹은 후 8~10시간이 지나면 복통과 구토, 설사를 일으키고, 심하면 급성간부전증과 급성신부전증을 유발하여 간이식을 받지 못하면 사망할 정도로 위험하다.

 

● 종류

붉은사슴뿔버섯, 붉은꼭지버섯, 긴골광대버섯, 노랑싸리버섯, 파리버섯, 붉은싸리버섯, 좀우단버섯, 개나리광대버섯, 노란길민그물버섯, 마귀곰보버섯, 화경버섯, 두암먹물버섯 흰독큰갓버섯 등

 

● 증상

섭취시 메스껍고, 구역질나고, 구토, 설사, 경련, 어지러움, 복통 등이 나타납니다.

 

☞ 대처방법

1. 119에 긴급 전화하여 환자 발생과 위치를 알린다.

2. 구급차가 올 때까지 환자의 의식은 있으나 경련이 없다면 물을 마시고 토하게 한다.

3. 먹고 남은 버섯은 버섯에 따라 독소물질이 다를 수 있으므로 비닐봉지 등에 담는다.

4. 버섯을 소지하고 신속히 가까운 의료기관에 이송한다. 5. 의사에게 버섯을 전달하여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이 되게 한다.

 

☞ 독버섯에 대한 잘못된 상식 1

. 독버섯은 화려하고 벌레가 먹지 않는다.

2. 독버섯은 은수저의 색깔을 검은색으로 변화시킨다.

3. 독버섯의 독소물질은 끓이면 무독하다.

4. 버섯을 염장하면 무독화 된다.

 

※ 하나만 먹어도 생명을 위협하는 야생 독버섯 : 붙임 참조 【 독우산광대버섯 】, 【 개나리광대버섯 】

독버섯[1].hwp

 

 

식용버섯인 노란달걀버섯(Amanita hemibapha subsp. javanica ) - 흔히 이 버석으로 오인하고 개나리광대버섯을 채취하는수가 있다.

 

 

독버섯인 "개나리광대버섯"의 발생초기의 모습 - 식용버섯인 노란달걀버섯과 너무도 흡사하다.

 

 

인용.참고자료

균류도감 - 알광대버섯아재비(개나리광대버섯) - 야샹화클럽/http://wildflower.kr/xe/20004885

독버섯 구별하기 - http://blog.naver.com/iloveknp/30121761562

 

 

개나리광대버섯 - 포토 | 식물도감(植物圖鑑) 2007.05.21 09:51

 

 

 

 

 

 

 

독버섯[1].hwp
0.5MB

'花卉.園藝.植物.田園 > 식물도감(植物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걀버섯   (0) 2012.09.17
노란달걀버섯   (0) 2012.09.17
큰갓버섯(식용) VS 흰독큰갓버섯(독버섯)  (0) 2012.09.17
흰독큰갓버섯   (0) 2012.09.17
큰갓버섯  (0) 2012.09.16